[전체] “권세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9)
사전(34)
- 권세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36(헌종 2)∼1899. 조선 말기의 의병장. [내용] 본관은 안동(安東). 호는 성대(星臺). 경상북도 봉화 출신. 참봉을 지냈으며, 안동 병진의 정신적 지주 구실을 하였다. 1895년 민비시해사건과 단발령에 격분한 안동지역 의병들...이칭별칭 조원(祖源)| 성대(星臺)
- 이목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79(고종 16)∼1919. 독립운동가. [내용] 호는 학산(鶴山). 경상북도 안동 출신. 1906년 안동군 주사로 임명되어 군수 직무대행을 수행하면서 이상룡(李相龍)ㆍ권세연(權世淵) 등의 의병활동을 지원하였다 하여 일본헌병에 구류되...이칭별칭 학산(鶴山)
- 훤연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날씨가 화창함. 別徠餘懷 尙爾依. 比日暄姸, 권세연(權世淵), 32-171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반전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음식과 옷. 飰氈之戒 食息靡甘 奈何, 권세연(權世淵), 32-171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형우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아내의 병. 荊憂間歇 而村.一倍.張 死亡種種樵汲皆染出 目下經過 便一患難中 良苦良苦, 권세연(權世淵), 32-170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25)
- 1896년 권세연(權世淵) 격문(檄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896년 안동에서 궐기한 권세연(權世淵)이 경상북도일대의 군민들에게 일본의 간섭으로 우리나라의 문물과 제도가 파괴되는 상황을 개탄하면서 의병투쟁의 정당성을 밝히고 있는 격문(檄文)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격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격문 | 현소장처영천 영천향교
- 1898년 권세연(權世淵)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898년 2월 12일에 권세연이 보낸 편지이다. 권세연은 어버이와 식구들이 늘 위태로워서 근심스러우며, 자신도 허약한데다 나이를 먹어서 사는 재미가 없다고 하였다. 그리고 돌아가신 스승님의 삼년상이 끝난 것에 대한 슬픔 마음도 드러내고 있다. 저번에 상대방이 편지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松雪軒遺稿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松雪軒 張末孫(1431~1486)의 遺稿이다. 처음에는 인동장씨 가계도가 나오고, 장말손의 연표가 있는데 태어날 때부터 20세까지 기재되어 있다. 다음에는 松雪軒記가 있는데, 여기에서는 장말손을 칭송하는 내용이 있고, 쓴 사람은 通仕郞前行崇陵參奉 永嘉 權世淵이다. 뒤에...자료구분전적 | 현소장처장덕필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1913년 안동군 임북면(臨北面) 미질동(美質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약수탕으로 유명하여 ‘움터’ 또는 ‘飮터’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미질동 출신의 李穆鎬(1990년 애국장)은 만주방면으로 가서 항일 운동을 전개하였고, 李運鎬(2003년 건국포장)는 을미의병기에 權世淵의병장이 이끈 安東義陣에...내용분류경제-농/수산업-토지대장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토지대장 | 현소장처안동시청
- 1913년 안동군 임북면(臨北面) 계곡동(桂谷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昌(1990년 애족장), 李承淵(1996년 애족장)은 일제강점기때 3․1 만세시위에 참여하였다. 李宜鎬(2003년 애족장)는 을미의병때 權世淵義陣에 참여하여 左副將을 맡아 활약하였다. 1913년 현재 계곡동에는 權氏, 金氏,...내용분류경제-농/수산업-토지대장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토지대장 | 현소장처안동시청
주제어사전(9)
-
권세연 / 權世淵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의병장(1836∼1899). 민비시해사건과 단발령에 격분하여 안동의 의병장이 되었고 뛰어난 격문을 발표하여 의병규합에 큰 몫을 하였다. 각지의 의병장들과도 긴밀한 유대관계를 맺고 활약했으나 관군에 의해 패배하였다. 1983년에 건국포장이 추서되었다
-
박주대 / 朴周大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은사(1836∼1912). 1895년 을미사변 때 창의통유문을 지어 유문에 보내고 안동 의병장 권세연을 비롯하여 이강년·서상렬 등 의병장을 지원하였다. 또 아버지 박득녕이 써오던《역서일기》를 평생 이어서 썼다. 저서로는《나암유고》·《나암수록》·《문음보》
-
송인박 / 宋寅鏷 [종교·철학/유학]
1861-1945. 고조는 희윤, 증조는 상근, 조는 심환이다. 어려서 족조인 송운찬에게 나아가 운찬의 아들 재관과 함께 수학하여 경사를 익히고, 시재가 있어서 권상한으로부터 당인의 풍조가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선배인 김노수, 권세연, 신석정, 김동진등과 교의가 있
-
안호연 / 安浩淵 [종교·철학/유학]
1827년(순조 27)∼1898년(광무 2). 조선 말기 학자. 부친 안도묵과 모친 권벽도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과거에 뜻을 두지 않았다. 세상이 점점 더 혼란스러워지자 이름난 선비 권세연‧김원수 등과 함께 학문을 강학하거나 소백산과 명승지를 유람하며 감회를 읊는
-
남계집 / 楠溪集 [종교·철학/유학]
있다. 시는 「춘일(春日)」·「매화(梅花)」·「조춘(早春)」 등 경치를 읊은 것이 많으며, 소백산 등 산천을 유람하면서 김원수(金遠銖)·권세연(權世淵) 등 당시의 선비들과 수창한 것이 상당수에 달한다. 특히, 「기김석규덕천적중(寄金碩奎德川謫中)」과 「기김조영안변적중(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