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권성익”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
사전(5)
- 권성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35(영조 11)∼1821(순조 21).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문서(文瑞), 호는 연곡(延谷). 영해(寧海 : 지금의 英陽에서 출생하였다. 아버지는 중두(重斗)이며, 어머니는 재령이씨로 형환(亨煥)의 ...이칭별칭 문서(文瑞)| 연곡(延谷)
- 연곡고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곡고택이 제일 깊은 위치에 있고 앞쪽에 민속자료 제402호인 춘우재(春雨齋) 고택이 있다. 『연곡유집(延谷遺集)』 1권에 실린 상량문에 의하면 저곡(渚谷)마을 입향시조인 야옹(野翁) 권의(權檥)의 8세손인 연곡 권성익(權聖翊)이 정조 13년(1795)에 창...연계항목연곡고택(延谷古宅)
- 연곡유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권성익(權聖翊)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석인본. 1936년 6대손 정섭(廷燮)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족후손 상규(相圭)의 서문, 권말에 정섭의 지(識)가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과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 사무자유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정재로(丁載老)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석인본. 1938년 후손 규직(奎稷)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황용한(黃龍漢)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권성익(權聖翊)ㆍ정문교(丁文敎)ㆍ정주섭(丁珠燮)의 발문이 있다...
- 남야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박손경(朴孫慶)의 시문집. [내용] 10권 5책. 목활자본. 1801년(순조 1) 아들 한동(漢東), 종질 한사(漢師), 권성익(權聖翊) 등이 간행했고, 그 뒤 1910년에 다시 족현손(族玄孫) 의집(義集) 등이 「주서...
고서·고문서(8)
- 사무자시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보고 利를 구하고자 다투는 行態를 지적하고 있다. 銘 衆香窩銘 8 形色은 수없이 많고 臭味는 서로 같지 않지만 서로 합하여 서로 크게 조화를 이루게 되면 馨德이 비로소 發하게 된다고 하였다. 附錄 行狀 9 權聖翊(...분야문학 | 유형문헌
- 만수재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819년) 뒤에는 어머니 역할을 훌륭히 해낸 일들을 기록하여 壙中에 넣어주었다. 遺事 王考贈通訓大夫司僕寺正延谷府君遺事略 31 저자의 할아버지인 延谷 權聖翊(1735~1821, 字 文瑞)의 일대기를 기록하고자 한 것으로 완결을 짓지 못하고 1783년까지의 일과 약간의 언...분야문학 | 유형문헌
- 연곡유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825~1912)가 쓴 저자의 묘갈명이다. 識(1936) 1 權廷燮이 그의 6대조인 延谷 權聖翊의 일생을 총평하고 『延谷遺集』 2권 1책을 편집 간행하게 된 경위를 기록한 글이다. 권정섭의 증조부인 素軒 權人夏와 從叔父 質菴 權絅模가 편집한 뒤에, 先考인 兢齋가 몇...분야문학 | 유형문헌
- 능고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대한 墓表이다. 내용은 앞의 저자 소개에 자세하다. 輓 14 姜世白, 權聖翊, 權㙖, 金虎鍊, 金弼衡, 族孫 休寧등이 지은 저자에 대한 輓詞이다. 祭文 17 權思浹이 지은 저자에 대한 祭文이다. 識 18 1909년 門孫朴周大가 지은 것과 1910년 朴萬鎭이...분야문학 | 유형문헌
- 소헌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8 퇴계선생은 주자의 학문을 계승하여 사단칠정론과 이기설을 의심할 여지 없이 정립하였다. 나의 증조할아버지인 延谷 權聖翊(1735∼1821)은 어릴 때부터 갈암 이현일을 私淑하여 선대 학자들의 理氣說을 모아서 원고를 완성하였지만 책으로 간행하지 못하였다. 지금 이 책을...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7)
-
권성익 / 權聖翊 [종교·철학/유학]
1735년(영조 11)∼1821년(순조 21). 조선 후기의 학자. 과거에 여러 번 응시하였으나 끝내 등과 못하였다. 향리에 있으면서 천명설과 성리설을 깊이 연구하여〈성지위천명〉·〈성리설변〉등을 지었는데, 이황의 이기호발설을 중심으로 하여 그 변화에 대한 의견을 밝혔다
-
연곡유집 / 延谷遺集 [종교·철학/유학]
권성익의 문집. 2권 1책. 석인본. 권정섭의 증조부인 소헌 권인하와 종숙부 질암 권경모가 편집한 뒤에, 권정섭의 아버지인 긍재가 몇 사람에게 교정을 청하여 2책으로 정리했고, 권정섭이 이를 석인으로 간행하였다.
-
사무자시집 / 四無子詩集 [종교·철학/유학]
정재로의 시문집. 석인본, 발: 정문교, 정주섭, 1938. 권1에는 황룡한 쓴 서문과 300여 수의 시. 권2에는 임지로 떠난 형과 아들에게 보낸 편지 등이 수록, 기문인 「포사기」와 「중향와명」이 수록되어 있다. 부록에는 권성익이 쓴 행장‧정종노가 찬한 저자의 묘
-
남야문집 / 南野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박손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01년에 간행한 시문집. 10권 5책. 목활자본. 1801년(순조 1) 아들 한동(漢東), 종질 한사(漢師), 권성익(權聖翊) 등이 간행했고, 그 뒤 1910년에 다시 족현손(族玄孫) 의집(義集) 등이 「주서차록(朱書箚
-
권택모 / 權宅模 [종교·철학/유학]
1774년(영조 50)∼1829년(순조 29). 조선 후기 성리학자. 조부는 권성익이다. 부친 권세언과 모친 통덕랑 유익춘의 딸 풍산유씨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부인은 조학수의 딸 풍양조씨이다. 손재 남한조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주기설의 병통을 지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