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권성”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0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92)
사전(73)
- 권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53(효종 4)∼1730(영조 6).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경중(敬仲), 호는 제월재(霽月齋). 인(靭)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전(佺)이고, 아버지는 양(讓)이며, 어머니는 한극겸(韓克謙)의 딸이다....이칭별칭 경중(警仲)| 제월재(霽月齋)| 정간(貞簡)
- 권성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42(인조 20)∼1708(숙종 34).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서여(恕余), 호는 구소(鳩巢). 찬성 벌(橃)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승경(承慶)이며, 아버지는 뇌(賚)이다. 유직(柳稷)의 문인이다. ...이칭별칭 서여(恕余)| 구소(鳩巢)
- 권성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87(선조 20)∼1671(현종 12).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자수(子守), 호는 동암(東巖). 영주군 도지촌(道知村)에서 출생하였다. 아버지는 경기전참봉 호신(虎臣)이며, 어머니는 밀양박씨로 선...이칭별칭 자수(子守)| 동암(東巖)
- 권성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02(선조 35)∼1662(현종 3)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초명은 기원(起源), 자는 호연(浩然). 할아버지는 별좌 대성(大成)이고, 아버지는 주(?)이다. [생애] 1630년(인...이칭별칭 호연(浩然)|기원(起源)
- 권성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35(영조 11)∼1821(순조 21).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문서(文瑞), 호는 연곡(延谷). 영해(寧海 : 지금의 英陽에서 출생하였다. 아버지는 중두(重斗)이며, 어머니는 재령이씨로 형환(亨煥)의 ...이칭별칭 문서(文瑞)| 연곡(延谷)
고서·고문서(525)
- 1 第一統統首權聖國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40년_상부내면(上府內面) 1840년 상부내면(上府內面) 第二十上里里 1 第一統統首權聖國 第一戶 幼學權聖國年肆拾伍丙辰本安東父學生有範祖學生德猍曾祖學生鎰瑞 外祖學生崔得參本慶州妻朴氏年參拾肆丁卯本慶州父學生時宗祖學生舜華曾 祖學生鎰鉉外祖學生김尙華本慶州婢順連...연도_면이름1840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二十上里里
- 3 第三統統首權性國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43년_상부내면(上府內面) 1843년 상부내면(上府內面) 第二十上里里 3 第三統統首權性國 第一戶 幼學權性國年肆拾捌丙辰本安東父學生有範祖學生德徠曾祖學生鎰瑞外祖 學生崔得參本慶州妻朴氏年參拾柒丁卯本慶州父學生時宗祖學生舜華曾祖 學生鎰鉉外祖學生김尙華本慶州婢順...연도_면이름1843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二十上里里
- 계해년 권성구(權聖矩)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금계 의성김씨 학봉 종가
- 계해년 권성구(權聖矩)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금계 의성김씨 학봉 종가
- 1735년 권성하(權聖河) 서간(書簡)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구술자료(3)
- 퇴계의 문인 권성기의 일화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이야기와 한데 묶여진 것으로 구연한 것인데, 독립된 설화로 볼 수 있어서 따로 수록한다. *조사일시1983-08-09 | 조사장소대구직할시 동구 불로1동 | 제보자배동벽
- 전라북도 진안군_1. 바에 흥게 2. 싸호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권성봉 김봉열(1914년생.남.토민), 권성봉(1918년 진안군 백운면 재실 출생.남.3세에 중평 입촌) 이소라 이소라 1. 방게류 2. 싸호 류 1, 2. 멕받형(선후창) 1. 에헤야 - 하, 에헤에야, 아에 - 위, 에 에, 바에 - 흥게 로 – 다 2.녹음지역전라북도 진안군 성수면 도통리 중평 | 녹음날짜1987.4.15 | 가창방식1, 2. 멕받형(선후창)
- 이호철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대한 그리움, 기억 - 민주화운동 경험과 남북한 체제에 대한 인식 - 문학인, 분단작가, 월남민으로서 정체성 월남민 구술 연구사업의 자료로서 구술자의 녹취문과 동영상 음성 자료 강원용, 구상, 권성, 김규식, 김근태, DJ(김대중), 김동리구술자이호철 | 직업작가(문인) | 지역함경도
기초학문(24)
- 『단권성경주석』(單券聖經註釋) 연구: 기적과 그리스도론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안수강, 게재일 : 201557581 안수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교회사학회 2015 『단권성경주석』(單券聖經註釋) 연구: 기적과 그리스도론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유형논문 | 게재일2015
- 해상시위의 기본권성과 집시법적용가능성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기춘, 게재일 : 200541627 이기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 해상시위의 기본권성과 집시법적용가능성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안전에 대한 권리'의 기본권성에 대한 국제인권법적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채형복, 게재일 : 201460762 채형복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제법평론회 2014 '안전에 대한 권리'의 기본권성에 대한 국제인권법적 분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유형논문 | 게재일2014
- 다문화시대, 초등학교에서의 한국적 홀리스틱 교육의 실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권성아, 게재일 : 201451567 권성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2014 다문화시대, 초등학교에서의 한국적 홀리스틱 교육의 실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유형논문 | 게재일2014
- 한국 기독교시에 나타난 치유성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권성훈, 게재일 : 201252271 권성훈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종교학회 2012 한국 기독교시에 나타난 치유성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26)
- 민세안재홍전집 : ‘臨制四方’의北斗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985 1935 9 4 10 7 安在鴻 안재홍 夏天星象 7 ‘臨制四方’의北斗 紫微垣外의明朗한七星 신문 조선일보 4면1단 석간 생활문 과학 직접자료 5권 헤리클레쓰 星座, 北斗七星, 天權星, 알코아,...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全羅北道金溝西屯面龍井里居던朴判成이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全羅北道金溝西屯面龍井里居던朴判成이가兒名은才童인데나간지十九年이라其이종兄聖晩이가京城셔留단말을듯고왓스니南入門外동의젼골보쥬집李明西家으로차즈시오 동의젼골留 權聖晩 고게재일1906년 5월 31일 | 기사분류광고
- 南署芚芝坊西氷庫十六統八戶段文浩의瓦家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南署芚芝坊西氷庫十六統八戶段文浩의瓦家立旨二張과同十六統七戶裴殷煥의瓦家板刻文券과牙山畓三石十八斗落文券七張을遺失엿기로고쳐文券成出엿스니누구던지습득여도休紙施行시오 玉洞 太永善 告白게재일1901년 6월 18일 | 기사분류광고
- 공군관리_1980_030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98 <참모건의서(1979년도 1차 SOC)>사격술 향상을 위한 사격장 개선책 권성발 121 <참모건의서(1979년도 2차 SOC)>야간기구 식별 표시등 개선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80
- 뎡삼품 김교셕金教碩으로 외부참셔관을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군보병뎡위 홍창걸 뎨삼대즁대쟝 륙군보병뎡위 권셩찬은 면본직고 륙군보병뎡위 홍상걸洪△杰로 륙군보병령을임고 륙군보병참령 리용구李容九로 진위뎨련뎨삼대 대쟝을 보고 륙군보병참령 홍창걸洪昌杰로 진위뎨련 뎨이대 대쟝을보고 륙군보병뎡위 권셩찬權成燦으로 진위...게재일1902년 3월 25일 | 기사분류관보
기타자료(41)
- 권성;權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6553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校友 제1호 1926―04―30 150면 권성;權成 1926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권성;權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6993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20면 권성;權成 제3회 1926년 3월 25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권성봉;權成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7413 남한 경남 東萊高等普通學校 2-22 卒業證書臺帳 제1호(冊中1号) n.r. 29면 - 권성봉;權成奉 1931년 3월 31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東萊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권성기;權聖基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3939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42 252면 3. 졸업생 성명;1) 법학사;(1) 법학과;g. 1935년 3월 졸업 권성기;權聖基 (본적)경북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권성기;權聖基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2360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40 304면 3. 졸업생 성명;1) 법학사;(1) 법학과;g. 1935년 3월 졸업(34명) 권성기;權聖基 (본적)경북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
권위주의 정권 시기 정보기관의 형성과 변천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정주진 | 연세대학교 | 2023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16)
-
권성 / 權晟 [종교·철학/유학]
1653(효종 4)∼1730(영조 6). 조선 후기의 문신. 권인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권전, 아버지는 권양, 어머니는 한극겸의 딸이다. 현감 권현에게 입양되었다. 1687년(숙종 13) 알성문과에 장원급제, 지평·장령·집의·헌납·사간 등을 지냈다. 1703년조광조·
-
권성익 / 權聖翊 [종교·철학/유학]
1735년(영조 11)∼1821년(순조 21). 조선 후기의 학자. 과거에 여러 번 응시하였으나 끝내 등과 못하였다. 향리에 있으면서 천명설과 성리설을 깊이 연구하여〈성지위천명〉·〈성리설변〉등을 지었는데, 이황의 이기호발설을 중심으로 하여 그 변화에 대한 의견을 밝혔다
-
권감 / 權瑊 [종교·철학/유학]
1673(현종 14)∼1746(영조 22).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우참찬 권성이다. 1710년(숙종 36)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그뒤 장릉참봉이 되었다. 남원현령, 동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
권영 / 權塋 [종교·철학/유학]
1678(숙종 4)∼? 조선 후기의 문신. 한성부서윤 권성원 증손, 할아버지는 장령 권격, 아버지는 권상명, 어머니는 좌의정 이세백의 딸이다. 1732년(영조 8)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승지, 사직을 역임하였다.
-
연곡유집 / 延谷遺集 [종교·철학/유학]
권성익의 문집. 2권 1책. 석인본. 권정섭의 증조부인 소헌 권인하와 종숙부 질암 권경모가 편집한 뒤에, 권정섭의 아버지인 긍재가 몇 사람에게 교정을 청하여 2책으로 정리했고, 권정섭이 이를 석인으로 간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