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권상하” 에 대한 검색결과 35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22)

사전(24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자 가운데 김창협(金昌協)‧윤증(尹拯) 등 출중한 인물이 많았으나, 는 스승의 학문과 학통을 계승하여 훗날 ‘사문지적전(師門之嫡傳)’으로 불릴 정도로 송시열의 수제자가 되었다. 이와 같은 학파적인 위치로 인하여 정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렸다. 1715년 『가례...
    이칭별칭 치도(致道)| 수암(遂菴), 한수재(寒水齋)| 문순(文純)
  • 정언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84(숙종 10)~ 미상. 조선 중기의 학자. [개설]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달부(達夫), 호는 극복당(克復堂).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도동(道東)이다. [내용] 18세 때 이미 경사(經史)에 관통하였다. (...
    이칭별칭 달부(達夫)| 극복당(克復堂)
  • 조태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72(현종 13)∼1727(영조 3).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양주(楊州). 자는 제박(濟博), 호는 고박재(古朴齋). 아버지는 호조참의 가석(嘉錫)이며, ()의 문인이다. [내용] 1717년(숙...
    이칭별칭 제박(濟博)| 고박재(古朴齋)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치·행정가관료/문신, 학자 인물 한국 조선 현종~숙종 이현숙 이범직 2008 치도(致道) 수암(遂菴), 한수재(寒水齋) ...
  • 민우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덕로(德老)의 딸이다. 20세 전 사마시(司馬試)에 장원으로 합격하고 21세 때 성균관에 들어가 학문을 닦았다. ()를 사사하였다. 1726년(영조 2) 봉릉참봉(奉陵參奉) 및 세자세마(世子洗馬)에 제수되었으며 다시 명릉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물러나와 학...
    이칭별칭 사원(士元)| 정암(貞庵)| 문간(文簡)

고서·고문서(65)

  • 1706년 ()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706년 12월 14일에 가 쓴 편지이다. 해수병으로 고생하고 있으며 노선생이 읊조린 시를 베껴 달라고 부탁하는 내용이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전주 효자 전주이씨가
  • 1711년 ()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711년 4월 2일에 가 자신의 제자 이간에게 안부를 전하기 위해 보낸 편지이다. 는 지난번 상대방의 방문에 감사해하며 그 때 회포를 풀지 못한 것을 안타까워한다. 또한 자신은 예전처럼 지내고 있고 부인의 병도 조금 나아졌다고 전하고 있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가 이인찰방에게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皮封 利仁 郵軒 侍人 / 耆叔兄 拜上狀 近絶相聞 不審霜秋 政況何似 瞻戀無已 弟月初入華陽 參萬東享事 仍與多士行鄕飮禮歸家 僅數日雖甚憊頓 幸免疾作耳 就中華陽書院 在洞外卄餘里 厥初設立 未盡善也 近有事端 院屬離散 決無守護之勢 多士合議 將移建于洞中 以十月始役 而院儲蕩殘 無以爲計 ...
    분야문학 | 유형문헌
  • 11 第十一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70년_상부내면(上府內面) 1870년 상부내면(上府內面) 第十八路東里 11 第十一統統首 第一戶 幼學年伍拾玖壬申本安東父學生致源祖學生應曄曾祖學生 國弘外祖學生曺命爀本昌寧妻李氏年伍拾辛巳本慶州父學生春城祖學生 煒靖曾祖學生承楷外祖學生安泰敎本順...
    연도_면이름1870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十八路東里
  • 한수재선생연보(寒水齋先生年譜)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개인-전기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기초학문(1)

  • 문하(門下)의 강학(講學) 활동 연구 –강문팔학사(江門八學士)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대식, 게재일 : 2015
    60751 김대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교육사학회 2015 문하(門下)의 강학(講學) 활동 연구 –강문팔학사(江門八學士)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
    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8)

  • 대비로자나경공양차제법소(大毘盧遮那經供養次第法疏) 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대비로자나경공양차제법소(大毘盧遮那經供養次第法疏) 2 大毘盧遮那經供養次第法疏 대비로자나경공양차제법소 형태서지 版本大毘盧遮那經供養次第法疏 大日經供養法疏上(下) 不可...
    대표표제어대비로자나경공양차제법소(大毘盧遮那經供養次第法疏) 2 | 대표서명大毘盧遮那經供養次第法疏 | 한글서명대비로자나경공양차제법소 | 서지형태형태서지
  • 대비로자나경공양차제법소(大毘盧遮那經供養次第法疏) 3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대비로자나경공양차제법소(大毘盧遮那經供養次第法疏) 3 大毘盧遮那經供養次第法疏 대비로자나경공양차제법소 형태서지 版本大毘盧遮那經供養次第法疏 大日經供養法疏上(下) 不可...
    대표표제어대비로자나경공양차제법소(大毘盧遮那經供養次第法疏) 3 | 대표서명大毘盧遮那經供養次第法疏 | 한글서명대비로자나경공양차제법소 | 서지형태형태서지
  • 화엄경관자재보살소설법문별행소(華嚴經觀自在菩薩所說法門別行疏) 3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本) 31.9x22.6 H6, p.577.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223.81 체원 無 卷末: 木記: 華嚴經觀音品別行錄 / 發願文(木板 1面) 版心題: 觀音疏 古書目錄(嶺南大學校 中央圖書館, 2001), p.188.
    대표표제어화엄경관자재보살소설법문별행소(華嚴經觀自在菩薩所說法門別行疏) 3 | 대표서명華嚴經觀自在菩薩所說法門別行疏 | 한글서명화엄경관자재보살소설법문별행소 | 서지형태형태서지
  • 해운통신 김호 68 ILO 선원관계조약 및 권고 71 편집후기 및 판권지 78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9
  • 산보 박종규 52 해운계 동향 기획조정실 57 국제노동기구(ILO) 선원관계조약 및 권고 (2) 61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9

기타자료(1)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8266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33면 ; 제4회 1937-03-20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37)

  • / [종교·철학/유학]

    1641-1721. 조선 숙종 때의 성리학자. 송시열, 송준길의 문인이다. 1660년 진사가 되었으나 관직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1680년 경신대출척으로 송시열이 귀양에서 돌아오자 화양으로 가서 이후 10년 동안 주희와 정이의 저술을 적정하였다. 인물

  • 강상찰 / 江上札 [역사/조선시대사]

    조선 후기 문인 가 조카 권섭·권영 등에게 보낸 간찰을 모아 엮은 서간집. 조선 후기의 문인 수암 (, 1641∼1721)가 조카 권섭(權燮)·권영(權瑩) 등에게 전한 간찰집으로 15첩이다. 이 첩은 가 조카들의 일상과 학문에 대한 질의에 답한

  • 권진응 / 權震應 [종교·철학/유학]

    1711∼1775. 증조부는 , 한원진의 문인이다. 어려서부터 수업하여 오직 학문에만 힘썼고 과거 시험을 보지 않았으나 초선에 뽑혀 자의가 되었다. 후에 의 일로 <유곤록>을 소론한 것 때문에 제주에 귀양을 갔다가 몇 해 뒤에 방면되었으나 병으로 죽었

  • 이간 / 李柬 [종교·철학/유학]

    1677-1727. 조선 숙종때의 유학자. 의 제자이다. 인물성동론과 미발순선설을 주장하여 동문인 한원진과 일대 논쟁을 벌였다. 이것이 유명한 호락논쟁이다. 그의 입장이 낙론이고 한원진과 그 스승인 의 입장이 호론이다. 저서에 <외암집>이 있다.

  • 채지홍 / 蔡之洪 [종교·철학/유학]

    1683년(숙종 9)∼1741년(영조 17).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영용, 어머니는 유승주의 딸이다. 의 문인으로 강문팔학사 중 한 사람이다. 의 문하에서 수학, 동문인 한원진·윤봉구·이간·윤혼 등과 교유하며 학문을 강론하였다. 저서로는『봉암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