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권상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0)
사전(24)
- 권상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권상유 필적 1656(효종 7)-1724(경종 4).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 글씨는 ≪근묵≫에 있다.이칭별칭 계문(季文), 유도(有道)| 구계(?溪)| 정헌(正獻)
- 권상유(權尙游)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권상유 권상유 權尙游 정치·행정가관료/문신, 학자 인물 한국 조선 숙종 이현숙 이범직 2008 계문(季文), 유도(有道) 구계(癯溪) 정...
- 이재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있으면 급히 도와주었다. 평생에 재산을 모르고 항상 검소한 생활을 하니 모두가 나라의 그릇[國器]이라 칭송하였다. 일찍이 판서 권상유(權尙遊)ㆍ김진규(金鎭奎)와 지우가 깊었다. 글씨를 잘 써서 당세에 이름을 떨쳤다. 작품으로는 글씨로「이재항서첩(李載恒書帖)」이 목판...이칭별칭 군망(君望)
- 이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사 홍만조(洪萬朝), 서장관 임봉원(任鳳元)을 대동하였으며, 2차는 1703년 부사 심평(沈枰), 서장관 이세석(李世奭)과 같이, 3차는 1713년 부사 권상유(權常游), 서장관 한중희(韓重熙)를 대동하였으며, 4차는 부사 예조판서 민진원(閔鎭遠)과 같이 가서 어...이칭별칭임창군(臨昌君)
- 의작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예전처럼 지냄. 弟依昨 時政記紙 只餘此二丈 故送上, 권상유(權尙游), 23-179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56)
- 고금도(古今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3908 B023908 고금도 古今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肅宗 29年 8月 9日_003 ○下直, 水原府使權尙游, 鐵原府使鄭來祥, 安義僉使金堂羽, 寧城僉使任繼勳, 古今島僉使金夏鼎, 昌原府使郭基之, 薪智島萬戶金廷煒, 金郊察訪金鳴殷, 庇仁縣監金盛始, 順川郡守劉大老,...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고금도(古今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3935 B023935 고금도 古今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肅宗 29年 8月 9日_003 ○下直, 水原府使權尙游, 鐵原府使鄭來祥, 安義僉使金堂羽, 寧城僉使任繼勳, 古今島僉使金夏鼎, 昌原府使郭基之, 薪智島萬戶金廷煒, 金郊察訪金鳴殷, 庇仁縣監金盛始, 順川郡守劉大老,...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고금도(古今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制使、水使後稟處, 恐爲合宜。” 吏曹判書權尙游言: “曾爲巡撫使, 親見 古今島、防踏, 最爲賊路要衝。 古今島 ...출처전거肅宗實錄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대정(大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3581 B043581 대정 大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8年 4月 2日_029 ... 則必無時象, 故欲令島民公眼, 見爀之年年入來而曰, 此玉堂, 必所爲無據, 年年渡海也。 在魯曰, 北道之人, 有何偏論乎? 故判書權尙游, 有三子, 而爀爲中子, 其兄若弟, 皆旱世而無子,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3726 B013726 강도 江都 정치행정 肅宗實錄 三十八年(1712) 五月 숙종실록_13805012_003 ○刑曹參判權尙游在淸風地, 上疏言:○臣目覩廣州、楊根, 以至驪州所在麥田, 皆成赤地。 且聞畿邑麥凶, 皆無異同。 宜捐江都、南漢及京賑廳幾萬石米穀, 及時分賑。○答曰:출처전거肅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권상유 / 權尙游 [종교·철학/유학]
1656(효종 7)∼1724(경종 4).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증영의정 권격, 어머니는 함평이씨로 돈녕부도정 이초로의 딸이다. 대사간, 도승지, 이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성리설에 밝았으며, 특히『논어』와『주역』에 관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