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권산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사전(3)
- 권산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03년(태종 3)∼1456(세조 2). 조선 전기의 의인(義人).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덕보(德甫), 호는 죽림(竹林), 시호는 충민(忠愍)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40년(세종 22)에 천거되어 녹...이칭별칭 덕보(德甫)| 죽림(竹林)|충민(忠愍)
- 운곡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왕신리에 있는 서원. [내용] 1784년(정조 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권행(權幸)의 공적을 추모하기 위하여 이 지역에 추원사(追遠祠)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권산해(權山海)와 권덕린...
- 현덕왕후(顯德王后)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權專) 해주 최씨(海州崔氏) : 최용(崔鄘)의 딸 (언니)김영명(金永命)의 처, 조청로(趙淸老)의 처, 권산해(權山海)의 처, 윤영손(尹鈴孫)의 처 (동생)권자신(權自愼), 권자근(權自慬) 문종(文宗) →(자녀)1남 2녀 (1자)...
고서·고문서(8)
- 閭陽驛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錦州 寧遠 군사 兵部尚書王之臣覆鎮守遼東太監紀用及廵撫遼東袁崇煥疏言奴子選精兵二萬東江換班突于初七初八渡河而西哨馬已至閭陽驛其直窺錦寧無疑矣所幸鎮臣紀用奮勇以當前矛撫臣袁崇煥運奇以任中權山海鎮臣劉應坤慎重以居後勁自不至貽皇上東顧之憂但警報迭至策應不可無人乞將各臣移鎮使兵馬聯絡呼...출처전거『明實錄』 熹宗哲皇帝實錄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1936년 노봉서원(魯峯書院) 통문(通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노봉서원은 예천에 세워진 안동권씨 문중의 서원으로 배향인물은 그 선조인 권산해이다. 이 통문은 권산해에 이어 노봉서원에서 추배할 인물들을 사림에 알리고 동의를 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인물들은 비록 도학적 연원이나 학문종사에 있어 기여한 사람들은 아니나, 공적이나...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경주 옥산서원
- 갈산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三首, 輓金-天鐸, 輓戚叔將仕郞李-憲熹, 輓族兄棄庵公, 雲住山, 耆老同話, 方塘灌水, 方塘▼(習+見)月 卷二 書 與城北皇甫氏僉案 (1) 先祖인 竹林 權山海가 端宗 때 殉節하였는데, 권종락의 노력으로 다시 復官이 되어 제사 절차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래서 莊陵別壇...분야문학 | 유형문헌
- 하수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27 春曹[禮曹]에 올리는 呈文으로 안동권씨 本孫宗洛을 대신해서 지었다. 魯陵誌에 수록된 선조 權山海(1403∼1456)는 사육신에 비견되는 節臣이므로, 본손 宗洛의 上言으로 正祖께서 吏曹侍郞에 추증하고 旌閭를 하사하셨는데, 유독 아직 設壇配食의 褒贈을 받지 못했으니...분야문학 | 유형문헌
- 경암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哀辭 (18) 23세에 요절한 權維淸의 죽음에 대한 애사. 贈吏曹參判竹林權公神道碑銘 (19) 竹林 權山海의 신도비명. 竹林 權山海 成三問, 權自愼 등과 교유한 것, 병자년에 六臣과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 발각되자 자신의 뜻이 이루어지지 못함을 알고 향년 54세로...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5)
-
권산해 / 權山海 [종교·철학/유학]
1403(태종 3)∼1456(세조 2). 조선 전기의 의인. 1440년(세종 22)에 천거되어 녹사·주부가 되었으나 모두 나가지 않았다. 1454년(단종 2)에 처음으로 종부시첨정이 되었다 .이듬해 성삼문·박팽년 등이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다가 참형되었다는 소식듣고, 그
-
권종락 / 權宗洛 [종교·철학/유학]
미상∼1819년(순조 19). 조선 후기 학자. 죽림공 권산해 후손, 부친 권익수와 모친 이주윤의 딸 월성이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간재 이헌경의 문인으로 경전의 뜻을 익혔으며, 함께 깊이 교유한 인물로는 번암 채제공, 이계 홍양호 등이 있다. 영주 금성단과 영월 창
-
권만 / 權潫 [종교·철학/유학]
1571(선조 4)∼1635(인조 13). 아버지는 응성, 어머니는 영양남씨이다. 고려태사 권행의 후손으로 고조는 장릉충신 죽림공 권산해이고, 증조부는 별제 권철명, 조부는 진사 권경이다. 그는 1571년(선조 4) 5월 8일에 안동 신양리에서 태어났는데, 얼마 되
-
권복시 / 權復始 [종교·철학/유학]
1556년(명종 11)∼1636년(인조 14). 조선 중기의 문신. 권산해의 5세손, 부친은 천사부장을 지낸 권녕이다. 학행으로 봉직랑에 이르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경주 지역 향리 주민을 설득하여 의병을 모아 망우당 곽재우를 따라 화왕산성에서 회맹에 참가하였다.
-
운곡서원 / 雲谷書院 [종교·철학/유학]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왕신리에 있는 서원. 1784년(정조 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권행의 공적을 추모하기 위하여 이 지역에 추원사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권산해, 권덕린을 추가배향, 운곡서원으로 개편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였다. 1868년(고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