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권문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0)
사전(27)
- 권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34(중종 29)∼1591(선조 24). 조선 중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예천(醴泉). 자는 호원(灝元), 호는 초간(草澗). 아버지는 지(祉)이다. 1560년(명종 15)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좌부승지‧관...이칭별칭 호원(灝元)| 초간(草澗)
- 초간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권문해(權文海)의 시문집. [내용] 4권 3책. 목판본. 1812년(순조 12) 간행되었다. 권두에 정종로(鄭宗魯)의 서문과 권말에 황용한(黃龍漢)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과 고려대학...
- 초간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죽림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누정. [내용]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43호. 1582년(선조 15)에 권문해(權文海)가 창건하였다. 처음에는 조그마한 초가집으로 초간정사(草澗精舍)라고 하였는데, 임진왜란...연계항목초간정(草澗亭)
- 대동운부군옥책판(부)고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89년(선조 22) 권문해(權文海)가 편찬한 ≪대동운부군옥≫의 책판과 고본. [내용] 667판, 고본 3종 27책. 보물 제878호. 이 중 책판은 초판본의 판목이 남아 있는 것이며, 고본은 체재와 형식 등이 다소 다른 미완질의 것...
- 대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세기까지 사용되었다. 맨 처음 쓰인 것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유희령(柳希齡)이 편찬한 『대동시림(大東詩林)』‧『대동연주시격(大東聯珠詩格』, 권문해(權文海)가 편찬한 운서(韻書)인 『대동운부군옥( 大東韻府群玉)』이라는 책들에 대동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고서·고문서(23)
- 초간선생문집(草澗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운서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운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운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운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주제어사전(12)
-
권문해 / 權文海 [종교·철학/유학]
1534(중종 29)∼1591(선조 24). 조선 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지(祉)이다. 1560년(명종 15)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좌부승지·관찰사를 지내고 1591년에 사간이 되었다. 이황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유성룡·김성일 등과 친교가 있었다. 저서로는 우
-
권문해 초간일기 / 權文海草澗日記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전기 문신 권문해가 1580년부터 1591년까지 일상적인 일에서 국정의 대요(大要) 등 주변에서 일어난 일을 기록한 일기. 보물 제879호. 『초간일기(草澗日記)』는 권문해(權文海, 1534~1591)가 1580년(선조 13)에서 1591년(선조 24)까지 11년
-
예천 초간정 원림 / 醴泉草澗亭園林 [지리/자연지리]
(大東韻府群玉)』을 저술한 조선 선조 때 학자인 초간(草澗) 권문해(權文海, 1534∼1591)가 1582년(선조 15)에 지은 정자로, 명칭은 그의 호에서 유래하였다.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612년(광해군 4)에 재건하였는데 1636년(인조 14)에 다시 붕괴되
-
노옹화구설화 / [문학/구비문학]
신라 때 김유신(金庾信)을 찾아온 한 노인이 변신술을 부렸다는 내용의 설화. 신이담(神異譚) 중 변신담(變身譚)에 속한다. 지금은 전하지 않는 『수이전(殊異傳)』에 수록되어 있었다고 하며, 조선 선조 때 권문해(權文海)가 엮은 『대동운부군옥(大同韻府群玉)』에 실려 있
-
죽통미녀설화 / 竹筒美女說話 [문학/구비문학]
대나무 통 속에 미녀를 넣고 다니는 사람을 김유신(金庾信)이 만났다는 내용의 설화. 신이담(神異譚) 중 초인담에 속한다. 지금은 전하지 않는 『수이전(殊異傳)』에 들어 있었다 하며, 조선 선조 때 권문해(權文海)가 엮은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권9에도 실려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