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권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6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41)
사전(198)
- 권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88(숙종 14)∼?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일보(一甫), 호는 강좌(江左). 석충(碩忠)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유(濡)이고, 아버지는 두굉(斗紘)이며, 어머니는 조계윤(趙啓胤)의 딸이다. [내...이칭별칭 일보(一甫)| 강좌(江左)
- 지족당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권만두(權萬斗)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1907년 주손(胄孫) 찬복(燦復)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이, 권말에 권한모(權翰模)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고려대학교 도서관
- 권만(權萬)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950 인물 권만(權萬) 권만 權萬 1688 1749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일보(一甫), 호는 강좌(江左). 1721년 사마시에 합격하였고, 1725년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유형분류인물
- 권만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74(현종 15)∼1753(영조 29).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용경(用卿), 호는 지족당(知足堂). 의근(宜謹)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며, 아버지는 생원 중재(重載)이다. [내용] ...이칭별칭 용경(用卿)| 지족당(知足堂)
- 권만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12(순조 12)∼1886(고종 23).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형중(衡重), 호는 근계(近溪). 아버지는 도기(度璣)이며, 어머니는 영천이씨(永川李氏) 진흡(振0x9D4B)의 딸이다. 이휘재(李...이칭별칭 형중(衡重)| 근계(近溪)
고서·고문서(317)
- 3 第三統統首權萬儀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10년_유포면(柳浦面) 1810년 유포면(柳浦面) 第十亭子里 3 第三統統首權萬儀 第一戶 能櫓軍鰥夫權萬儀年伍拾參戊寅本仁同父甘男祖甫叱石乙曾祖山伊外祖 金正化本金海子牧子軍毛吉介年貳拾壹庚戌子水軍千暹年拾陸乙卯婦崔召 史年貳拾參戊申女年柒甲子等丁卯戶口相准 第二...연도_면이름1810년_유포면(柳浦面) | 면이름유포면(柳浦面) | 마을이름第十亭子里
- 9 第九統統首權萬衡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10년_청양면(靑良面) 1810년 청양면(靑良面) 第十一下亭子里 9 第九統統首權萬衡 第一戶 幼學權慶龍改[名]萬衡年參拾肆丁酉本安東父幼學得善祖學生戒碩曾 祖學生範安外祖學生林泰悅本醴泉妻朴氏年參拾肆丁酉籍密陽父學生 厚奉祖學生時建曾祖學生翔柱外祖學生金致張本金海...연도_면이름1810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十一下亭子里
- 3 第三統統首權萬中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40년_웅촌면(熊村面) 1840년 웅촌면(熊村面) 第三十巖谷里 3 第三統統首權萬中 第一戶 幼學權春卓改[名]萬中年參拾柒甲子本安東父學生致元祖學生道男曾祖學生德 八外祖學生李化國本慶州妻禹氏年參拾參戊辰本昌寧父學生昌赫祖學生寬國 曾祖學生道默外祖學生김希才本慶州弟...연도_면이름1840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三十巖谷里
- 1 第一統統首權萬中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49년_웅촌면(熊村面) 1849년 웅촌면(熊村面) 第二十七巖谷里 1 第一統統首權萬中 第一戶 幼學權萬中年肆拾陸甲子本安東父學生致元祖學生道南曾祖學生德八外 祖學生李化國本慶州妻禹氏年肆拾貳戊辰本昌寧父學生昌赫祖學生寬國 曾祖學生道默外祖學生김希才本慶州弟幼學春江...연도_면이름1849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二十七巖谷里
- 1 第一統統首權萬紀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65년_농소면(農所面) 1765년 농소면(農所面) 第二十二達川里 1 第一統統首權萬紀 第一戶 府軍官權萬紀年肆拾丙午本安東父業武重向祖業武會一曾祖業武宇衡外祖業武方玧本溫 陽妻崔姓年肆拾陸庚子本慶州父業武鳳祖學生應年曾祖業武萬碩外祖業武李業本慶州率子 大才年拾伍辛未...연도_면이름1765년_농소면(農所面) | 면이름농소면(農所面) | 마을이름第二十二達川里
기초학문(3)
- 북한의 이념적 변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권만학, 게재일 : 200513196 권만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경희대학교 출판국 2005 북한의 이념적 변화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24유형논문 | 게재일2005
- Visual Attention by Scr een Vector s: Independent, Continuing, Converging, and Diverging Vector s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권만우, 게재일 : 201563372 권만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5 Visual Attention by Scr een Vector s: Independent, Continuing, Converging, and Diverging유형논문 | 게재일2015
- Algorithm Development for film rating using Human Bio-feedback data toward content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권만우, 게재일 : 201663409 권만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Atlantis Press 2016 Algorithm Development for film rating using Human Bio-feedback data toward content유형논문 | 게재일2016
신문·잡지(112)
- 權萬重(金鶴商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權萬重(金鶴商店) 서울 權萬重 金鶴商店 貫鐵町 124-1 식료품 - 식료잡화 소매 29.88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權萬重(金鶴商店)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식료잡화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국권이무(無)하고민권을몽(夢)하는치물배(痴物輩)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못하고 민권만을 외치는 사람들의 어리석음을 질타하고 있음. 왕실 간 경쟁이었던 과거에는 국권의 문제가 정치의 문제로 국한되어 백성들과는 상관없었지만 민족 간 경쟁의 시대 - 민족 국가(nation-state)의 시대 - 인 당대는 국권의 문제가 곧 민권의 문제라는 사실...대표표제어국권이무(無)하고민권을몽(夢)하는치물배(痴物輩)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대한매일신보 | 출처대한매일신보 | 키워드국권 침탈, 민권 주장, 민족 국가, 국권과 민권
- 森林合同條件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북도에 아인 삼림회샤 합동됴약을 아국글과 한문으로 각각 셩립엿데한문합동에 북도연변삼림을 작벌권만잇고 아문합동에 삼림긔디 연대소 쳔하류를 병야 양목과 벌목권을 병기로 셩립지라 삼림회샤 아인등은 아국글노 합동거슬 빙쟈고 버히고 심으권리를 다...게재일1903년 6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 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p.604. 파리 국립도서관 無 下卷만 소장 海外所在 韓國文化財 目錄(文化財管理局 文化財硏究所, 1993), p.487.대표표제어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 2 | 대표서명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 | 한글서명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 서지형태형태서지
- 强盜捉得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곳으로 가져오라 지라 삼쳑군에서 슌교와 포슈를 발야 심산공곡에셔 젹한과 방포며 졉젼야 젹당 권만셕과 강명션은 포살고 은치언은 착득엿데 춍과칼이 칠팔병이나 되더라더라게재일1902년 9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11)
- 권만기;權萬琪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9816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53면 권만기;權萬琪 제4회 1944-03-20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권만형;權萬馨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7657 북한 평남 평양공립농업학교 교우회회보 창간호 1932―01―31 125면 1. 평양공립농업학교교우회 회원명부;4) 본과 졸업생;(18) 제18회 졸업생 35명 1929년 3월 권만형;權萬馨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평양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권만영;權萬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9980 남한 경북 대구농업학교 2-15 졸업대장(1회~33회) n.r. 25면 권만영;權萬永 경북 영주군 문주면 적동리 343 제8회 4252년 3월 25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권만기;權萬基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0256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59면 권만기;權萬基 제12회 1946년 3월 29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지상토론 학생의 책가방 무게 줄일 수는 없는가?) 책가방 무게 이렇게 줄이자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육론 잡지 권만선 權萬善 1993 12 충북교육 111...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권만선 | 사료철명충북교육
연구과제(1)
-
강원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손승철 | 강원대학교 | 2015 | 국내 | 강원
주제어사전(24)
-
권만 / 權潫 [종교·철학/유학]
1571(선조 4)∼1635(인조 13). 아버지는 응성, 어머니는 영양남씨이다. 고려태사 권행의 후손으로 고조는 장릉충신 죽림공 권산해이고, 증조부는 별제 권철명, 조부는 진사 권경이다. 그는 1571년(선조 4) 5월 8일에 안동 신양리에서 태어났는데, 얼마 되지
-
권만 / 權萬 [종교·철학/유학]
1688(숙종 14)∼? 조선 후기의 문신. 권석충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권유, 아버지는 권두굉, 어머니는 조계윤의 딸이다. 1721년(경종 1) 사마시에 합격하였고, 1725년(영조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28년 정자로 재직시 이인좌의 난이 일어나자
-
무토궁방전 / 無土宮房田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민전 위에 설치되었던 수조지. 대체로 민전(民田) 위에 설치된 것이었으므로 궁방이 토지에 대한 수조권만을 지닌 토지였다. 당시 궁방전의 주종을 이루었던 토지로서, 궁방전 전호(佃戶)에 대한 요역의 감면혜택으로 인하여 민전의 투탁현상이 나타남으로써 크게 확
-
박용상 / 朴龍相 [종교·철학/유학]
1680년(숙종 6)∼1739년(영조 15). 조선 후기 학자. 이재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721년(경종 1)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관직에 뜻을 두지 않고 고향에서 학문에 정진하는 한편, 후학을 양성하는 데에 힘썼다. 김성탁·권만·권상일·이광정 등과 교유하였다.
-
오국헌 / 吳國獻 [종교·철학/유학]
었다고 하나 전하지 않고『어은유고』5권만이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