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권렴” 에 대한 검색결과 5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1)

사전(1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302(충렬왕 28)∼1340(충혜왕 복위 1). 고려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사렴(士廉). 할아버지는 보(溥)이며, 아버지는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준(準)이다. [생애] 음보(蔭補)로 1311...
    이칭별칭 사렴(士廉)
  • TD_L14_D_2981 인물 田不詭遇, 重大匡, 蔭進, 射御, 武夫 松齋準 墓誌 D_14_01_01 대동운부군옥 14권 1장 1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4권 1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3575 인물 習慣, 豪傑, 文章, 政事, 馳騁, 御人 玄福君, 松堂, 李益齋, 洪陽坡, 閔及庵, 崔拙翁, 裴僕射天慶 誌序 D_15_06_15 대동운부군옥 15권 6장 15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5권 6장 1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후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33년 권일수(權一洙)‧권양호(權養浩) 등이 간행하였다. 권말에 아들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원집 8권 4책, 명성집람(明誠集覽) 5권 2책, 합 1...
  • 수비권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340년(충혜왕 복위1). 고려 제27대 충숙왕(忠肅王)의 후비(后妃). [생애 및 활동사항] 본관은 안동(安東). 아버지는 좌상시(左常侍)현복군(玄福君)권형(權衡 : 일명 )이다. 1335년(충숙왕 복위 4) 8월 궁에 들어와...

고서·고문서(32)

  • 宋呂端請升視,然後率羣臣降拜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630 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ITKC_MP_0597A_1630_030_0030 宋呂端請升視,然後率羣臣降拜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詩文門1_蔡學士詩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金鴉騰海前. 叢宵鼓角雲棲吏, 珠樹樓臺火食仙. 但得玄明一升足, 不妨官俸日蕭然.” 又“仙舟宮燭夢依然, 萬事升沈十九年. 北去塞橫天際鶻, 南來海跕霧中鳶. 羈愁曉鏡三分雪, 鄕思淸江二頃田. 回首陽關雙玦怨, 可憐猶羨左魚懸.”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八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下仕者 無不登名王朝 其勢然也 今高麗得自官人 而其秀民往往已用所設科仕其國矣 顧復不遠数千里 來試京師者 盖以得扵其國者 不若得諸朝廷者爲榮 故雖得末第宂官 亦甚榮扵其國 况擢高科官華近 爲天下之所 共榮者乎 元統元年 天子親策進士 旅叨掌試内 高麗中父翩翩而来儀乎 한문학, 기록문화,...
    국가중국 | 서명안아당집 | 왕대기타  
  • 文牒牒道 其文其爲擾雜 其語過勿恭 非進奉之禮也 大抵兩國相通文牒 必指於某國其州例有恒矣 往年秋八月恒平等十[一人所齎]來文牒徒以讒諛之事 直指牒京朝 禮賓省其可以任意而交受 [平具] 事呻報朝庭 朝庭之議不上於一 而使之遣還金[此一字消不見] 齎來 此亦失禮之甚矣 當察使更傳報于朝庭 朝庭共...
    국가일본 | 서명일기 | 왕대희종(熙宗)  2
  • 看(주루락일간)에 桃李花開(도리화개) 빗난 사랑 生前(생전) 사랑 이러할 제 死後期約(사후긔약)이 업슬소냐 너는 죽어 무엇 되며 나는 죽어 무엇 되리 너는 죽어 물이 되되 天上(텬상)의 銀河水(은하수) 地上(디상)의 長江大海(장강대해) 다 바리고 七年大旱(칠년...
    구분잡가 | 편저자듸-‧제-‧핸드포-드

신문·잡지(2)

  • 샹무신보 샤에셔 긔게가 샹고로 신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심과 츙의를 힘써 아모죠록 상무를 흥앙케야 귝가에셔 신 은덕을 만분지 일이나 갑게시오 일너라
    게재일1899년 12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파일분절요망. 自覺した女, 148쪽. 朝鮮奇談集 成島秋雪 149 凉風 はやしや矢代 152 讀め<國民叢書>を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3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1701년(숙종 27)∼1781년(정조 5). 조선 후기 학자. 부친 권후준의 4남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형 권순과 동생 권호·권집이 있다. 제산 김성탁의 문인으로, 훈수 정만양·지수 정규양 형제와 함께 학문을 토론하기도 하였으며, 1729년(영조 5)에는 밀암 이

  • 임필대 / 任必大 [종교·철학/유학]

    1709년(숙종 35)∼1773년(영조 49).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은 임수국이다. 이의태··최흥원·김낙행·이상정 등과 교유하였다. 1771년(영조 47) 향교의 훈장이 된 후 퇴계 이황의 사단칠정론을 가르쳤다. 저서로《문회약조》·《제의문결약조》·《봉선절목》

  • 근인당집 / 近仁堂集 [종교·철학/유학]

    象靖) 등의 시를 차운한 것이 많으며, 교우인 신효원(申孝源)·신상권(申尙權)·임필대·이행원(李行遠) 등에 대한 만사가 들어 있다.서에는 권순(權淳)·()·임필대·이상정·박손경(朴孫慶) 등과 주고받은 서한이 많은데, 모두 학문에 관한 것이다.

  • 후암집 / 厚庵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1933년 권일수·권양호 등이 간행하였다. 권말에 아들의 발문이 있다. 원집 8권 4책, 명성집람 5권 2책, 합 13권 6책. 목판본. 원집 권1∼3에 시 300수, 가 4편, 사 2편, 권4에 서 48편, 권5에 잡저 15편, 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