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권득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
사전(9)
- 권득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70(선조 3)∼1622(광해군 14).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중지(重之), 호는 만회(晩悔). 박(博)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종묘서령 덕유(德裕)이고, 아버지는 예조판서 극례(克禮)이며, 어머니는 ...이칭별칭 중지(重之)| 만회(晩悔)
- 권득기(權得己)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권득기 권득기 權得己 정치·행정가관료/문신, 학자 인물 한국 조선 선조~광해군 이현숙 이범직 2008 중지(重之) 만회(晩悔), 거원자(居元子) ...
- 도산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대전광역시 중구 탄방동에 있는 서원. [내용] 1693년(숙종 19) 지방유림의 공의로 권득기(權得己)와 권시(權諰)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 권정기(權正己)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徐固)의 딸 (형)권수기(權守己) (동생)권득기(權得己) (누이)성오(成澳)의 처 온양정씨(溫陽鄭氏): 정지임(鄭之臨)의 딸 (1자)권저(權詝) (2자)권인(權諲) (3자)권지(權訨) (4자)권양(權諹) (5자)권잉(權䚮) (1녀)정하응(鄭河應)의 처 ...
- 만회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ㆍ학자 권득기(權得己)의 시문집. [내용] 11권 10책. 목판본. 1712년(숙종 38) 증손 이진(以鎭)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명(詩銘) 36수, 권2에 기ㆍ논ㆍ제(題)ㆍ소(...
고서·고문서(4)
- 1618년 권득기(權得己) 별급문기(別給文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상속/증여-분재기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 현소장처대전 무수동 안동권씨 유회당 종택
- 黃海道 庄土文績_제35책 : 黃海道交河郡石串面所在庄土順和宮提出圖署文績類 34. 嘉慶五年-庚申-五月初六日全書房宅奴福伊處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장, 90.8x52.5cm(가로x세로), 한지, 관인 무, 수결, 배면 1800년(정조 24) 5월 6일 權得琦 재주 權得琦 재주 全書房宅奴福伊 奴 全書房宅奴福伊 奴 同生三寸 權一銖/ 同生弟 權得僑/ 同姓六寸大父 權泰順 鄭大...자료명黃海道 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黃海道 庄土文績_제35책 : 黃海道交河郡石串面所在庄土順和宮提出圖署文績類 95. 乾隆五十七年-壬子-初四日陳厚重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현) 석곶(면/방) 冰石洞 토지 4 興 전답 전문 전문 50냥 權得己/趙好郞/李順興 19303_35.pdf자료명黃海道 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추안급국안 : 병술년(1706, 숙종 32) 임부(林溥) 등 신문기록(1)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捲得其端緖 然後始爲請刑例也而不利之心一款緣臣有嫌不得推 問諸意以爲姑置此一事只以謀害一款遽爲請刑獄體 不當云其言果是矣然則姑停鞫事以待他大臣之外 無他道矣盖林溥疏中兇𢡖可愕之言則關係至重 孰不驚心臺閣之啓請拿鞫良以此也而累次按問 反覆思度則此事終非張大成獄之事也何者此事源頭 出於尹順命之招而順...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12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주제어사전(3)
-
권득기 / 權得己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 권박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종묘서령 권덕유이고, 아버지는 예조판서 권극례이며, 어머니는 윤천석의 딸이다. 큰아버지인 선공감역 권극관에게 입양되었다. 1589년(선조 22) 진사시에 합격하고, 1610년(광해군 2) 식년문과에 장원급제하
-
권이진 / 權以鎭 [종교·철학/유학]
1668(현종 9)∼1734(영조 10). 조선 후기의 문신. 예조좌랑 권득기 증손, 할아버지는 우윤 권시, 아버지는 현감 권유, 어머니는 산림 송시열의 딸이다. 윤증의 문인이다. 1694년(숙종 20)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한평현령, 전라도도사, 평안도관찰사 등
-
권시 / 權諰 [종교·철학/유학]
1604(선조 37)∼1672(현종 13).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좌랑 권득기, 어머니는 전주이씨로 도정 첨의 딸이다. 1649년 효종 즉위 뒤 공조좌랑에 임명되어 처음으로 벼슬길에 나갔으며, 경상도사 등을 역임하고, 그 뒤 집의·진선 등을 거쳐 16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