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권두인” 에 대한 검색결과 4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4)

사전(17)

  • 하당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892년(고종 29) 의 후손 권재덕(權載德)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이광정(李光庭)의 서문과 권말에 김한동(金翰東)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 신익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단칠정설에 있어서도 사단이 칠정의 일부분, 즉 칠정이 발하여 절도에 맞게[中節] 된 것이라는 주기설(主氣說)을 반대하고, 사단과 칠정은 근본적으로 다른 것으로서 사단은 도심이며, 칠정은 인심이라고 하였다. 당시 영남의 대표적인 유학자인 ()‧권두경(...
    이칭별칭 명중(明仲)| 극재(克齋)
  • 금성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람이 많았다. 그와 막역하게 사귀던 당대의 이름난 사람으로는 이동표(李東標)ㆍ() 등이 있다. 『숙종실록(肅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이칭별칭 문숙(文叔)
  • 권덕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72(현종 13)∼1759(영조 35).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윤재(潤哉), 호는 포헌(逋軒). 아버지는 진원(震元)이며, 어머니는 예안김씨로 종발(宗渤)의 딸이다. 열여섯 살에 ()의 문...
    이칭별칭 윤재(潤哉)| 포헌(逋軒)
  • 삼기재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등이 실려 있다. 시는 음풍영월(吟風詠月)하여 지은 것은 별로 없으며, 이명하(李明夏)ㆍ이숭일(李嵩逸)ㆍ이성구(李成龜)ㆍ김도방(金道方)ㆍ유세림(柳世霖) 등 현인(賢人)이나 유학자의 시에 차운(次韻)하여 지은 것이 많다. 서(書)는 이현일(李玄逸)ㆍ(...

고서·고문서(27)

  • 판결문( 判決文)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
    CJA0001169-0023 국가기록원 대구지방재판소 형사부 判決文 판결문 판결문 일본어 1911. 8. 4 판사 모리시마(森島彌四郞), 야마우치(山内銀次郎), 니시야마(西山久二郞) 도량형법 위반 (36세, 명주실장수) 경상북도 의성군 북부면 후...
    제목권두인 판결문(權斗仁 判決文) | 사건유형도량형법 위반 | 소장처국가기록원
  • 1716년 () 동계중수서(洞契重修序)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향약을 시행함으로써, 향촌지배질서를 확립해 나갔었다. 본 자료는 1716년 연이은 흉년과 재난으로 중단된 내성현의 동계를 새롭게 시행하면서 작성된 서문이다. 서문은 내성현유곡(酉谷) 출신의 ()이 작성하였다.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계문서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1703년 세호계안(世好稧案)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703년에 작성된 세호계안에는 진솔회의 모임과 관련해 의결된 9개조의 규약과 당시 집회에 참석하였던 87명의 명단이 나오고 있어서 주목된다. 처음 봉정사에서 모임을 가졌을 때는 62명 이었다가, 1년 후에 25명이 늘은 것은 이후부터 명단에 이름을 추가로 넣지 않았기...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계문서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 1702년 중수우향계회문(重脩友鄕稧回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702년 10월 28일에 우향계의 후손들 중 안동권씨 10명, 고성이씨 1명, 흥해배씨 1명이 연명하여 11월 10일에 계회를 개최함을 알리는 글을 각 계원들의 문중에 돌렸다. 이들은 선조들의 뜻을 이어서 새롭게 우향계를 고치기로 의결했지만, 그동안 시간이 지체되었다...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9 第九統統首私奴莫同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壹己巳率婢談音德年肆拾肆丙申同婢一所生奴命男二所生奴爾分三所生婢二德等 四口前逃亡奴談音沙里良妻幷産自隱玉年貳拾貳戊午買得婢洪玉前逃亡婢夫府案付束伍軍禮山年肆拾庚子戶口准 第四新戶大代來幼學年伍拾參丁亥本安東父學生永示+善祖僉正彦卿曾祖通政大夫應守外祖學生鄭三立本東萊妻今故率 同生斗儀年肆拾捌...
    연도_면이름1699년_범서면(凡西面) | 면이름범서면(凡西面) | 마을이름第十一末應亭里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43∼1719). 1678년(숙종 4) 증광 진사시에 3등 22위로 합격하였다. 기사환국 이후 영남의 선비 가운데 학문과 행실이 뛰어난 자 약간 명을 천거했는데, 수위를 차지하여 효릉참봉에 제수되었다. 다시 문학과 행검으로 추천되었고, 품계를

  • 권구 / 權渠 [종교·철학/유학]

    1672년(현종 13)∼1749년(영조 25). 조선 후기 유학자. 조부는 군수 권단. 부친 선교랑 권징과 모친 졸재 유원지의 딸 풍산유씨의 1남 6녀 가운데서 외아들로 태어났다. 부인은 이의의 딸 재령이씨이다. 갈암 이현일 문하에서 수학, 권두경·이재··조덕

  • 권덕수 / 權德秀 [종교·철학/유학]

    1672년(현종 13)∼1759년(영조 35).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진원, 어머니는 김종발의 딸이다. 열여섯 살에 의 문하에서 글을 배웠다. 1728년(영조 4) 이인좌의 난이 일어나자 향중에 격문을 돌려 의병을 일으켰고, 관찰사 박문수에게 타일러 무사

  • 죽일집 / 竹日集 [종교·철학/유학]

    에 저자의 또다른 저술인 귀허집에 대한 글로 의 귀허집서와 권두경의 제귀허집초본후, 김서경의 제귀허집갑면이 수록되었다. 마지막으로는 십대손 김상우가 쓴 유사략과 후손 김상학이 쓴 발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