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권두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
사전(7)
- 권두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43(중종 38)∼1617(광해군 9).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경앙(景仰), 호는 남천(南川). 영주 출신. 성손(誠孫)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담(譚)이고, 아버지는 장악원주부 유년(有年)이며, 어머...이칭별칭 경앙(景仰)| 남천(南川)
- 권두문(權斗文)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권두문 권두문 權斗文 정치·행정가관료/문신 인물 한국 조선 선조 이현숙 이범직 2008 경앙(景仰) 남천(南天) 양반 남자 154...
- 권두문(權斗文)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948 인물 권두문(權斗文) 권두문 權斗文 1543 1617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경앙(景仰), 호는 남천(南川). 1572년 친시문과에 급제하여 교서관이 되었고, 검열 등을 거쳐 1586...유형분류인물
- 노산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m 높이의 절벽이 있어 천연의 요새를 이루었다. 조선 선조 때 김광복(金光福)이 축조하였으며, 1592년(선조 25) 4월 군수로 부임한 권두문(權斗文)이 산성을 보수하고 왜군을 맞아 싸울 대비를 하였다. 왜군이 강릉‧정선을 경유하여 평창을 공격한다는 소식을 듣...
- 구호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북도 영주시 영주4동에 있던 서원. [내용] 1780년(정조 4)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권정(權定)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812년에 권두문(權斗文)‧김대현(金大賢)‧김영조(金榮祖)...
고서·고문서(10)
- 남천선생문집(南川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是望。】尹安性爲北道兵使, 金大來爲司諫院司諫, 鄭㷤爲議政府舍人, 柳穡爲司諫院正言, 李民宬爲侍講院司書, 蔡衡爲禮曹佐郞, 白大珩爲刑曹佐郞, 成俊耉爲侍講院說書, 尹守謙爲承政院注書, 李繼先爲東萊府使, 金潤身爲宣川郡守, 姜絪爲白川郡守, 權斗文爲杅城郡守, 洪汝誠爲襄陽府使, 吳大男爲...출처전거宣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취사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南‧李徽音‧金幾善‧金泰時‧金大賢 ‧朴善長‧權斗文‧金允安‧金涌‧黃汝一‧李久 등 저자의 師友 38명의 행적을 기록한 것이다. 字나 나이 등 간단한 인적사항을 포함하여 관련 인물에 대한 일들을 간략하게 서술하고 있다. 善行錄 15 孝行과 節行 등의 德性을 지닌 宋衆賢‧朱...분야문학 | 유형문헌
- 만취일고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가서 옛날 使相이 병들었다는 소식을 들음. 19일:使相과 함께 활쏘기를 시험함. 23일:고개를 넘어 黃曙의 집에서 숙박함. 28일:使相이 遞職되고 새 使相으로 徐渻이 되었다는 소식을 들음. 29일:길을 떠나 圓塘에 도착해 金玏과 權斗文(1543~1617)과 鄕兵의 일로...분야문학 | 유형문헌
- 도은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인들을 수록하고 있다. 附南溪門人錄 23 韓光載의 家集錄을 근거로 하여 洪進‧洪迪‧韓應寅‧成泳‧閔應箕‧權斗文‧權虎臣‧權俊臣‧李汝馪‧琴復吉 등 南溪 許忠吉의 문인들을 수록하고 있다. 附三松門人錄 23 三松行蹟을 근...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3)
-
권두문 / 權斗文 [종교·철학/유학]
1543(중종 38)∼1617(광해군 9). 조선 중기의 문신. 권성손의 증손, 할아버지는 권담, 아버지는 장악원주부 권유년, 어머니는 상원, 권극제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재주가 뛰어나 이름이 높았다. 1572년(선조 5) 친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교서관에 임명된 뒤
-
구호서원 / 鷗湖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영주시 영주4동에 있던 서원. 1780년(정조 4)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권정(權定)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812년에 권두문(權斗文)·김대현(金大賢)·김영조(金榮祖)·권창진(權昌震) 등을 추가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
남천문집 / 南川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학자 권두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35년(추정)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간행연도는 확실하지 않으나, 대략 1735년(영조 11)경으로 추정된다. 10대손 동철(東轍)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유심춘(柳尋春)의 서문이 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