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권덕수” 에 대한 검색결과 2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

사전(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72(현종 13)∼1759(영조 35).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윤재(潤哉), 호는 포헌(逋軒). 아버지는 진원(震元)이며, 어머니는 예안김씨로 종발(宗渤)의 딸이다. 열여섯 살에 권두인(權斗寅)의 문하...
    이칭별칭 윤재(潤哉)| 포헌(逋軒)
  • 포헌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5권 3책. 목판본. 1778년(정조 2)에 간행되었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이상정(李象靖)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만(挽) 289수, 권2에 소(疏...
  • 농와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金道和)가 지은 행장, 이수영(李秀榮)이 지은 묘갈명, () 등이 지은 만사, 김백흠(金百欽)이 지은 애사, 이심(李杺)이 지은 명농와기(明農窩記)로 구성되어 있다. 본집에 수록된 대부분이 시로서 연대순으로 배열되었는데, 한정한 인간생활을 자연 속에...

고서·고문서(16)

  • 포헌선생문집(逋軒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忠節卓異, 贈職事承傳, 僉知贈吏參, 忠節卓異, 贈職事承傳, 學生鄭匡衡贈監察, 孝學卓異, 贈職事承傳。 再政。 以金炳國爲禮曹判書, 李敎象爲工曹正郞, 金洛鎭爲宗廟令, 禹錫河爲禧陵令, 尹泰膺爲顯隆園令, 金綺秀爲魯城縣監, 左參贊單徐衡淳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1 第二十一統統首孫宗杰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相准 第二戶 主鎭騎兵年陸拾陸辛丑本安東父通政大夫石靑祖通大夫以龍曾祖正兵守 外祖正兵朴進生本密陽妻金召史年伍拾參甲寅本慶州父學生善述祖宣務郞禮賓 主簿慶喜曾祖宣武原從功臣折衝將軍行釜山鎭管多大浦水軍 僉節制使潤龍外祖宣務郞禮賓主簿李廷汝本蔚山率女召史今各戶去率婿林松 突各戶去率婢是今庚...
    연도_면이름1726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三豆峴里
  • 7 第七統首御保癈病良人金生立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巳加現主全羅道禮山居幼學申君父贖良內弓人金就仁母私婢 春伊婢登化今故婢永介三所生婢進梅年參拾乙未率雇工長只案付主鎭步兵全好昌年貳拾玖丙申父正兵守敏母良女孔召史辛酉戶口相准 第三戶老步兵崔永立年陸拾玖丙辰本金海父私奴永守祖永己曾祖私奴永上外祖正兵金元石本慶州母女贖良厚邑時年貳拾玖丙申母私婢 ...
    연도_면이름1684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第一南門內里
  • 포헌선생문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하고 있다. 答柳山陰聖和 (21) 山陰縣監 柳聖和가 婦人喪을 당한 를 위로하기 위해 보낸 편지에 대한 답장으로, 아내가 죽을 때의 상황 및 장례절차, 자신의 소회 등을 서술하고 있다. 與金南原世平 (22) 南原府使 金世平에게 보내는 편지로, 남쪽으로 왔다가...
    분야문학 | 유형문헌

신문·잡지(1)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1672년(현종 13)∼1759년(영조 35).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진원, 어머니는 김종발의 딸이다. 열여섯 살에 권두인의 문하에서 글을 배웠다. 1728년(영조 4) 이인좌의 난이 일어나자 향중에 격문을 돌려 의병을 일으켰고, 관찰사 박문수에게 타일러 무사하

  • 농와문집 / 農窩文集 [종교·철학/유학]

    지은 묘갈명, () 등이 지은 만사, 김백흠(金百欽)이 지은 애사, 이심(李杺)이 지은 명농와기(明農窩記)로 구성되어 있다.

  • 포헌문집 / 逋軒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5권 3책. 목판본. 1778년(정조 2)에 간행되었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이상정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만 289수, 권2에 소 2편, 서 39편, 권3·4에 잡저 12편, 서·지·발문 등 4편, 잠언 5편, 상량문 1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