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권대재” 에 대한 검색결과 6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4)

사전(1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옥천집(玉川集)』 (1620-1689) 1620(광해군 12)-1689(숙종 1...
    이칭별칭 중거(仲車)| 소천(蘇川)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945 인물 () 1620 1689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중거(仲車), 호는 소천(蘇川)‧간은(艮隱)‧돈간재(敦艮齋)‧용문(龍門). 1646년 생원‧진사시에, 1653...
    유형분류인물
  • 어진익(魚震翼)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가 임진왜란 때 기의(起義)했던 동래부 사람들의 자손에게 천역을 면제해 주고 국가에서 녹용할 것을 청하였고, 어진익이 김정서(金廷瑞)‧송계남(宋繼男) 등 24인의 자손들의 세계(世系)와 역명(役名)을 갖추어 아뢰어 그들이 혜택을 받았다. 윤5월 쓰시마도주...
    유형분류인물
  • 관왜(館倭)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관왜의 수도 늘었다. 1675년 ()의 보고에 의하면, 동래부의 관왜(館倭)는 ‘많으면 1천여 명이고 적어도 5,6백이 못되지는 않는다’고 하였다. 이들은 왜관을 오고가는 일본인 또는 인근의 주민을 상대로 장사를 하거나 어업에 종사하기도 하였는데 규칙을 어기...
    유형분류제도
  • 위봉산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묘겸부윤계문병축영건항궁우이진전(肅宗乙卯兼府尹啓聞甁築營建行宮又移眞殿)’이라 하였다. ≪위봉진사례 威鳳鎭事例≫에 의하면, 행궁(幸宮) 6칸, 정자각(丁字閣) 2칸, 좌우의 익랑(翼廊) 각 5칸, 내외3문(內外三門) 각 3칸 등이고, 전주‧익산‧김제‧금구‧...

고서·고문서(50)

  • 75023B075023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顯宗 15年 6月 3日_020 ○下直, 東萊府使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3019 B073019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0年 9月 18日_012 ○又啓目, 東萊府使, 釜山僉使閔暹, 譯官李俊漢·洪禹載等原情云云。 ·閔暹等段, 旣已遲晩, 竝只照律, 李俊漢·洪禹載等段, 承服不冬, 竝只刑推得情, 何如? 啓姑停刑推議處。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1805 B071805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0年 9月 18日_012 ○又啓目, 東萊府使, 釜山僉使閔暹, 譯官李俊漢·洪禹載等原情云云。 ·閔暹等段, 旣已遲晩, 竝只照律, 李俊漢·洪禹載等段, 承服不冬, 竝只刑推得情, 何如? 啓姑停刑推議處。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4970 B074970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顯宗 15年 4月 5日_003 ○謝恩, 京畿監司沈梓, 東萊府使, 兼文學李堂揆。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5024 B075024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顯宗 15年 7月 18日_011 ○以備邊司粘目, 東萊府事, 釜山僉使閔暹拿推事, 捧承傳。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1620(광해군 12)∼1689(숙종 15). 조선 후기의 문신. 지중추부사 권상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예조판서 권협, 아버지는 진사 권의중, 어머니는 신종사의 딸이다. 1653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승문원에 선발되었다. 1658년(효종 9) 문과중시에 병과로 급

  • 권해 / 權瑎 [종교·철학/유학]

    1639(인조 17)∼1704(숙종 30).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증 이조판서 권위, 아버지는 호조판서 , 어머니는 정랑 이진의 딸이다. 1665년(현종 6)에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홍문관부정자로 처음 벼슬길에 오른 뒤, 대사성, 강화유수, 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