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권농관” 에 대한 검색결과 8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3)

사전(5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173년(명종 3)에는 안찰사(按察使)와 감창사(監倉使)가 권농사를 겸하였다. 그 뒤 따로 두었다가 1287년(충렬왕 13)에는 안렴사(按廉使)로 겸하게 했으며,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으로 바꾸었다. 즉, 1395년(태조 4) 정분(鄭芬)의...
    이칭별칭권농감고(勸農監考)|방외감(方外監)|풍헌(風憲)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국 역대 왕조에서 농사의 장려를 담당하던 관청
    정의중국 역대 왕조에서 농사의 장려를 담당하던 관청 | 문광부표기Gwonnonggwan | MR표기Kwŏnnonggwa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권농윤음(音)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권농윤음 권농윤음 音 윤음(綸音), 윤발(綸綍), 사륜(絲綸), 윤지(綸旨) 관찰사(觀察使), 유수(留守) 삼명일(三名日), 망궐례(望闕禮), 회례연(會禮宴), 정지급성절망궐 행례의(正至及聖節望闕行禮儀), 정지백관...
    상위어윤음(綸音), 윤발(綸綍), 사륜(絲綸), 윤지(綸旨) | 하위어관찰사(觀察使), 유수(留守) | 관련어삼명일(三名日), 망궐례(望闕禮), 회례연(會禮宴), 정지급성절망궐 행례의(正至及聖節望闕行禮儀), 정지백관조하의(正至百官朝賀儀), 정지회의(正至會儀), 계주윤음(戒酒綸音), 척사윤음(斥邪綸音), 수성윤음(守城綸音)
  • 이명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司醞署副直長)을 역임하였으며 지돈녕부사에 이르렀다. 지방관으로는 공주와 홍주의 목민관으로 있으면서 ()과 병마절제사를 겸직하였다. 특히, 홍주에서는 선정을 베풀어 명관으로 칭송이 높았고, 김종직(金宗直)이 만시를 지어 그의 죽음을 애도하였다. 시호는...
    이칭별칭 백부(伯扶)| 강평(康平)
  • 도감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초기 지방수령을 보좌하던 관원. [내용] 조선 초기 지방 각 관은 면단위로 과 함께 감옥우리를 담당하는 함정감고(檻穽監考), 도둑을 잡는 포도감고(捕盜監考), 산을 지키는 산직감고(山直監考) 등이 있었는데, 이들은 도감고와

고서·고문서(22)

  • 1595년 신억수(申億守) 등 초사(招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595년(선조28) ()인 신억수(申億守)와 이웃사람인 허만(許萬)과 임세원(林世元)이 영해부(寧海府)에 올린 사실 확인서이다. 같은 동네에 사는 사내종 고미(古未)는 이리저리 걸식하다가 자기 집 앞에 배가 고파 쓰러진 계집종 연금(...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초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초사 | 현소장처영해 인량 재령이씨 충효당
  • 1553년 임하댁(臨河宅)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穀)을 대신 갚으라는 독촉에 쫓기게 되었다. 환곡을 거둬들이기 위해 특별히 임명된 별차관(別差官)과 포도장(捕盜將)의 등쌀에 못 이겨 결국 밭을 팔아 갚기에 이르렀고, 별차로 임명된 ()은 밭값 면포(綿布) 7통(同) 가운데 1통 값에 해당하는 벼와 포목을...
    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서울역사박물관
  • 李熹公實錄資料 2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3001482014300148_001 李熹公實錄資料 2 자료제79호 洌陽歲時記 궁내청 공문서관 85351 02 11 正月 元朝에 임금이 音을 八道觀察使와 四都留守에 내린다는 내...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648 중국 정사 원사 본기 247 충렬왕(忠烈王) 9 1283 5 21 元史12 本紀12 世祖9 至元二十年五月 設高麗國四員 몽원특수관계, 몽고식 관제, 至元 20년은 충렬왕 9년(1283)에 해당한다. 본
    국가중국 | 서명원사 | 왕대충렬왕(忠烈王)  9
  • 1801년 김시찬(金是瓚) 호구단자(戶口單子)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통, 5통을 1리로 하고 몇 개의 리를 합해서 1면을 만들고 통에는 통주, 리에는 이정, 면에는 을 둔다”는 규정에 의한 것이다. 이 호구단자는 김시찬의 가족사항만이 남아 있고, 솔거노비를 기록했을 것 같은 부분이 잘려져 나갔다. 호구단자를 확인할 때는 창준자...
    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신문·잡지(2)

  • 농업을힘쓸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거시 가리오 대뎌 농란거슨 텬하에 큰 근본이라 농가아니면 곡식이 어셔나며 의복이 어셔나며 각목이 어셔나리오 그런고로 관원을여 각디방에 보야 백셩의 농짓거슬 권면게 고로 디방관을 이라지라 지금 셔각국과 일본흔셔 졍부에셔 셩...
    게재일1903년 5월 21일 | 기사분류논설
  • 졍부란거슨 인민의 총요 셩이란거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셩을 위일이오 셩위일은 곳 나라을 위일이라 소이연으로 학교를 셜시야 교육을 식힌다 을 여 농를 권다 공한지디를 쳑야 인민을 심은다 병원을 셜시야 민을 호위다 각항구에 병션을 파송야 보호다 대도회쳐 공장의 쳐소에 물건을  쥬어가며...
    게재일1899년 1월 24일 | 기사분류논설

주제어사전(5)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농민에게 농경을 권장하고 수리와 관개 업무를 관장하던 관직. 조선시대에는 1395년(태조 4) 정분의 건의로 각 주·부·군·현의 한량 품관 중 청렴하고 재간 있는 자를 으로 삼아 저수지를 수축해 가뭄과 장마에 대비하게 하였다. 의 근무 성적은 각

  • 제언절목 / 堤堰節目 [경제·산업/산업]

    1778년(정조 2) 비변사에서 제정, 시달한 제언수축에 관한 절목. 태조 이래 ()으로 하여금 방죽과 관개시설의 설치를 권장해오다가 1662년(현종 3) 조복양(趙復陽)의 건의에 따라 진휼청(賑恤廳)에 이를 전담하는 제언사(堤堰司)를 설치하고 <제언사목

  • 도감고 / 都監考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초기 지방수령을 보좌하던 관원. 조선 초기 지방 각 관은 면단위로 과 함께 감옥우리를 담당하는 함정감고, 도둑을 잡는 포도감고, 산을 지키는 산직감고 등이 있었는데, 이들은 도감고와 소감고로 나뉘었다. 1478년(성종 9) 수령의 보조원은 통주·이정·권농

  • 오가작통 / 五家作統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다섯 집을 한 통으로 묶은 행정자치조직. ≪경국대전≫의 완성과 더불어 더욱 정비 법제화되었다. 즉, “서울과 지방 모두에 다섯 집을 한 통으로 하여 통에는 통주를 두었으며, 그리고 지방에는 매 5통마다 이정을, 매 면마다 을 두며, 서울에는 매 일방마

  • 농가집성 / 農家集成 [경제·산업/산업]

    리 나라 고유의 기술도 많이 언급되어 있다. 이로써 조선 중기의 농민과 을 위한 전형적인 농업지침서가 이루어진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