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권기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
사전(2)
- 권기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86(고종 23)∼1920. 독립운동가. [내용] 본관은 안동(安東). 본명은 혁린(赫麟). 경상북도 안동 출신. 1912년 만주 봉천성(奉天省)으로 망명하여 이시영(李始榮)‧김좌진(金佐鎭) 등 항일지도자들과 접촉하면서 독립군 양성을 ...이칭별칭혁린(赫麟)
- 개령민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을 신속히 수습하도록 명하였다. 난이 수습된 뒤, 주동자 김규진‧안인택(安仁宅)‧이복대(李卜大)와 난에 가담한 이방 문기표(文基杓), 공문서를 소각한 정지평(鄭之平) 등 5명을 효수하였다. 그리고 좌수 권기일(權基一), 수교 조인국(趙仁國)‧박경한(朴慶漢) 등...
고서·고문서(16)
- 1863년 권기일(權基一) 단자(單子)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863년에 무장현 성동면 학천리에 사는 진사 권기일이 무장현감에게 올린 단자이다. 이 단자는 그의 나이 85세 때 올린 것으로, 그는 구순을 바라보는 나이에 집안 형편이 매우 궁색하여 생계가 어려운데다 병까지 얻어 삶을 연명하기가 어렵다며 우피와 꿀 담요 등을 내려...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고창 읍내 안동권씨가
- 1822년 권기일(權基一) 백패(白牌)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822년 윤3월에 권기일이 진사시에 합격한 후 받은 백패이다. 그는 3등 63인의 성적으로 입격하였다.내용분류정치/행정-과거-백패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백패 | 현소장처고창 읍내 안동권씨가
- 1813년 권기일(權基一) 소지(所志) 1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813년에 무장현 성동면 학천리에 사는 권기일이 태인현감에게 올린 소지이다. 권기일은 전라도 금구현 효정리에 있는 그의 15대조 화원군 권중달의 묘소 위토답을 되찾고 위토답을 팔아먹은 족친들로부터 그들이 빌려간 묘전을 추급할 수 있게 해줄 것을 요청하였다. 이 소지...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고창 읍내 안동권씨가
- 1813년 권기일(權基一) 소지(所志) 2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813년에 무장현 성동면 학천리에 사는 권기일이 태인현감에게 올린 소지이다. 태인 동촌에 사는 권치보 등 4인의 안동권씨 종인들은 금구현에 있는 화원군 권중달묘소의 위토답에서 나오는 묘전을 종중 유사로부터 빌려간 후 갚지 않을뿐더러 위토답까지 문권을 위조해서 팔아먹...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고창 읍내 안동권씨가
- 1858년 권기일(權基一) 호구단자(戶口單子)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고창 읍내 안동권씨가
주제어사전(1)
-
권기일 / 權奇鎰 [역사/근대사]
1886-1920. 독립운동가. 본관은 안동. 본명은 혁린(赫麟). 경상북도 안동 출신. 1912년 만주 봉천성(奉天省)으로 망명하여 이시영(李始榮)·김좌진(金佐鎭) 등 항일지도자들과 접촉하면서 독립군 양성을 위해 학교를 설립하였다. 1919년 3월 부민단(扶民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