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권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9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50)
사전(423)
- 김종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선산(善山). 할아버지는 이(珥)이고, 아버지는 생원 방로(邦老)이며, 사예 숙자(叔滋)의 재종형이다. 권근(權近)의 문인이다. [내용] 1396년(태조 5)
- 주역천견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학자 권근(權近)이 지은 『주역』의 해설서. [내용] 3권 3책. 목판본. 보물 제550호. 『오경천견록(五經淺見錄)』의 하나이다. 서울의 이겸로(李謙魯)가 소장하고 있다. 저자 권근은 『양촌집(陽村集)』...연계항목주역천견록(周易淺見錄)
- 권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29(세종 11)∼1482(성종 13). 조선 전기의 문신. [개설] 자는 신지(愼之). 검교정승 희(僖)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찬성사 근(近)이고, 아버지는 좌찬성 제(?)이며, 어머니는 판사재감사 이준(李儁)의 딸이다. 형이 남(...이칭별칭 신지(愼之)| 양정(襄靖)|영가군(永嘉君)
- 춘추천견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 말ㆍ조선 초의 문신ㆍ학자 권근(權近)의 『춘추』 주석서. [내용] 우리나라 최초의 유교경전 주석서인 『오경천견록』의 하나이다. ‘춘추천견록’이라는 제목 아래에 ‘춘추설(春秋說)’이라는 작은 제목이 붙어 있어서 이 책이 본격적인 주석...
- 권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海東雜錄 權陽村思想의 硏究(都光淳, 敎文社, 1989) 權陽村の入學圖說に就いて(李丙燾, 東洋學報 17‧18, 1929) 陽村權近硏究(朴天圭, 史叢 9, 1964) 權近(尹炳奭, 韓國의 人間像 4, 1969) 權陽村의...이칭별칭 가원(可遠)| 양촌(陽村)| 문충(文忠)
단행본(1)
- 朝鮮王朝事大使行之硏究 [중국문화대학 | Chinese Culture University]저자 : 葉泉宏... | 출판사 : 上大聯合 | 출판일 : 2014.06.분야역사 | 유형단행본自序 摘要 第一章 麗末鮮初變局與事大使行制度之建立 第一節 元朝對高麗的政治控制與不平等國交 第二節 歸化人邊安烈與麗末政局的變革 第三節 權近與明朝事大外交的展開
고서·고문서(255)
- 7 第七統統首權根伊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49년_하부내면(下府內面) 1849년 하부내면(下府內面) 第七鶴東里 7 第七統統首權根伊 第一戶 烽燧軍權根伊年肆拾捌壬戌本安東父貞禹祖己奉曾祖得世外祖尹聖化 本坡平妻尹召史年肆拾貳戊辰本坡平父世華祖甘山曾祖東澤外祖김時喆本김 海等丙午戶口相準 第二戶 營旗牌官...연도_면이름1849년_하부내면(下府內面) | 면이름하부내면(下府內面) | 마을이름第七鶴東里
- 주역대전 : 해제_1. 권근(權近)의 주역천견록(周易淺見錄)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주역대전 58 해제 1. 권근(權近)의 주역천견록(周易淺見錄) 1. 생애 權近(1352~1409)은 본관이 안동이고 초명은 晉이며, 자는 가원(可遠)인데 뒤에 사숙(思叔)으로 고쳤다. 양촌(陽村)은 그의 호이다. 이광호에 의하면, 그의 증조부인 국재 권보(...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 壬寅年 8月 29日에 忝下生 權瑾淵이 사돈에게 보낸 簡札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926 1656_01 壬寅年 8月 29日에 忝下生 權瑾淵이 사돈에게 보낸 簡札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이시선 종가, 일상생활, 사회관계, 서간통고류, 서간류, 간찰 한자 고문서 SL112.JPG 壬寅年 8月 29日에 忝下生 權...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양촌선생문집(陽村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입학도설(入學圖說)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구술자료(3)
- 권근 묘소와 수리산 연못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보자 우홍명이 생극면 방축리에서 전해지는 이야기라면서 구연해 주었다.조사일시2010.07.01 | 조사장소우홍명 자택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오향2리 행군이길168-3 | 제보자우홍명
- 권근 묘소와 수리산 못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자들이 방축리 노인회관을 찾았을 때, 제보자들이 모여 있었다. 권근 묘소를 팔 때 이야기를 물어보자 제보자 박석돌이 구연해 주었다.조사일시2010.07.10 | 조사장소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 방출길54(방축리노인회관) | 제보자박석돌
- 권근 묘소와 수리산 못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자가 권근 묘소를 쓸 때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느냐고 묻자, 제보자 황월주가 구연해 주었다.조사일시2010.07.10 | 조사장소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차평리 음성로1908(버스정류장) | 제보자황월주
기초학문(6)
- 권근(權近) 예기천견록의 예학사적 위상- 체제 재구성의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장동우, 게재일 : 201817707 장동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권근(權近) 예기천견록의 예학사적 위상- 체제 재구성의 문제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유형논문 | 게재일2018
- 권근 역학과 원대 오징 역학의 관련성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435592 한국연구재단 대한철학회 2004 권근 역학과 원대 오징 역학의 관련성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유형논문 | 게재일2004
- 權近의 『周易淺見錄』에 나타난 성리학적 의리역학의 정초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학권, 게재일 : 201364794 김학권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동양철학회 2013 權近의 『周易淺見錄』에 나타난 성리학적 의리역학의 정초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세션3. [철학] 陽村 權近의 “天人心性合一”論 淺析: 敬에 기초한 ‘心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안재호10360 안재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세션3. [철학] 陽村 權近의 “天人心性合一”論 淺析: 敬에 기초한 ‘心學’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유형논문
- 조선전기 관료문인들의 불교적 내면의식에관한 연구 - 권근‧변계량‧김수온‧서거정‧성현의 시문(詩文)을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윤섭, 게재일 : 201664525 김윤섭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6 조선전기 관료문인들의 불교적 내면의식에관한 연구 - 권근‧변계량‧김수온‧서거정‧성현의 시문(詩文)을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유형논문 | 게재일2016
신문·잡지(6)
- 詔曰嗚呼라朕이 列祖丕基嗣守야于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詔曰嗚呼라朕이 列祖丕基嗣守야于今四十有四載라屢經多亂에治不徯志야進庸이或非其人에騷와日甚고 施措가多乖時宜야艱虞方急니民命之困瘁와國步之岌업이未有甚於此時야慓慄危懼에若涉淵氷이라幸賴元良이德器가天成고令譽가夙彰야問寢視膳之暇에비益弘多고施政改善之方은付託有人이라朕이窃惟권勤傅...게재일1907년 7월 20일 | 기사분류관보
- 명월관확쟝광고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외국각쥬품 건찬합 一 셔양진요리각 경편요리 一 각국권연 여송연각 一 명창 가동 뎡거복도유 一 권근불계고 다소 불계고 연회 가셔 치르압다 명월관쥬인 김동식 고 경셩황토현긔렴비압 뎐화칠이십오반게재일1907년 6월 22일 | 기사분류광고
- 강원로동신문_1947_1113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원산, 강원도 김일성, 한일무, 리의전, 쓰딸린, 김태윤, 권근렬, 김구, 이승만 인민위원회 조선 인민들의 영광스러운 명절이며 우리 민족 사상에서 영원히 빛날 1946년 11월 3일! 이 날 우리 북조선 인민은 세계에 그 유례를 보지 못하는 가장 진보적이고...대표표제어강원로동신문_1947_1113_03 | 날짜1947년 11월 13일 | 책임주필한성(韓星)
- 공전문화_1973_006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191 가을 들길을 거닐며 홍태용 192 대화 정권근 193 미로 주진희 195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3
- 공전문화_1974_00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특집 한국정신의 흐름-논어소고 정권근 151 하기 봉사활동을 다녀와서 박운석 162 방송실 주변 이명동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4
멀티미디어(54)
- 과 마음을 만나고 문장의아름다움을감상할기회를제공하기위해개설하였다.다만 작품의 감상은 현대 한국어 번역문을 사용하여, 한문 독해력을 갖추지않아도수강하는데에무리가없도록하였다. 1주차. 이색과 권근 – 사대부의 나라,사대부의 문학 2주차. 강희맹과 김종직 – 교훈과 풍자강좌제목조선의 문장가 열전 | 강의자송혁기
- 과 마음을 만나고 문장의아름다움을감상할기회를제공하기위해개설하였다.다만 작품의 감상은 현대 한국어 번역문을 사용하여, 한문 독해력을 갖추지않아도수강하는데에무리가없도록하였다. 1주차. 이색과 권근 – 사대부의 나라,사대부의 문학 2주차. 강희맹과 김종직 – 교훈과 풍자강좌제목조선의 문장가 열전 | 강의자송혁기
- 과 마음을 만나고 문장의아름다움을감상할기회를제공하기위해개설하였다.다만 작품의 감상은 현대 한국어 번역문을 사용하여, 한문 독해력을 갖추지않아도수강하는데에무리가없도록하였다. 1주차. 이색과 권근 – 사대부의 나라,사대부의 문학 2주차. 강희맹과 김종직 – 교훈과 풍자강좌제목조선의 문장가 열전 | 강의자송혁기
- 과 마음을 만나고 문장의아름다움을감상할기회를제공하기위해개설하였다.다만 작품의 감상은 현대 한국어 번역문을 사용하여, 한문 독해력을 갖추지않아도수강하는데에무리가없도록하였다. 1주차. 이색과 권근 – 사대부의 나라,사대부의 문학 2주차. 강희맹과 김종직 – 교훈과 풍자강좌제목조선의 문장가 열전 | 강의자송혁기
- 과 마음을 만나고 문장의아름다움을감상할기회를제공하기위해개설하였다.다만 작품의 감상은 현대 한국어 번역문을 사용하여, 한문 독해력을 갖추지않아도수강하는데에무리가없도록하였다. 1주차. 이색과 권근 – 사대부의 나라,사대부의 문학 2주차. 강희맹과 김종직 – 교훈과 풍자강좌제목조선의 문장가 열전 | 강의자송혁기
기타자료(2)
- (연재교양) 우리 교육 선각자 권근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연재교양) 우리 교육 선각자 권근 (연재교양) 우리 교육 선각자 권근 (연재교양) 우리 교육 선각자 權近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론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박은목 | 사료철명문교행정
- (연재교양) 한국교육고전 입학도설 권근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연재교양) 한국교육고전 입학도설 권근 (연재교양) 한국교육고전 입학도설 권근 (연재교양) 한국교육고전 入學圖說 權近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학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강길수 | 사료철명문교행정
연구과제(1)
-
연행록 정본화 및 DB 구축 (3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이희목 | 성균관대학교 | 2018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39)
-
권근 / 權近 [종교·철학/유학]
1352-1409. 여말선초의 유학자. 이색의 문인이다. 고려말 조선 초에 대제학, 대사성들의 관직을 역임하였다. 고려 말에 친명정책을 주장하여 원나라 사신의 입국을 반대하였다. 조선의 태종 즉위 후 사병의 폐지를 주장하는 등 왕권확립에 기여하였다. 왕명으로 《동국사
-
양촌선생문집 / 陽村先生文集 [언론·출판/출판]
집부(集部) - 별집류(別集類) 권근(權近) 저, 조선사편수회 편, 영인본, 조선총독부, 1937, 40권 8책. 여말선초의 양촌(陽村) 권근의 시문집이다. 경성제국대학장본 목판본을 조선총독부 조선사편수회에서《조선사료총간(朝鮮史料叢刊) 第13》으로 영인한 책이다.
-
양촌응제시 / 陽村應制詩 [문학/한문학]
명나라 태조가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 권근(權近)에게 친제하여 하사한 ‘태조고황제어제시(太祖高皇帝御製詩)’ 3수와 권근이 명 태조의 명에 의하여 지은 응제시(應製詩) 24수를 모아 간행한 책. 1책. 목판본. 보물 제1090호. 1462년(세조 8)에 간행되었다. 1
-
응제시주 / 應製詩註 [문학/한문학]
조선전기 문신 권람이 조부 권근의 응제시를 해석하여 1461년에 간행한 주석서. 1책. 목판본. 권근이 1396년(태조 5)에 소위 표전문사건(表箋文事件)을 해결하기 위하여 명나라에 갔는데, 명제(明帝)가 조선에서 명에 보낸 표전의 글귀 중에 불손한 말이 있다고 트집
-
구맥요 / 求麥謠 [문학/고전시가]
1408년(태종 8)경에 항간에서 널리 불렸다는 참요(讖謠). 『태종실록』에 가창의 배경과 함께 권근(權近)의 한역시(漢譯詩)가 전한다. 이에 따르면, 4월 16일 명나라 흠차관(欽差官)주 01)으로 조선에 온 황엄(黃儼)이 전국에서 잘생긴 여자로 문무(文武) 군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