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권규” 에 대한 검색결과 36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61)

사전(3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393(태조 2)∼1421(세종 3). 조선 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할아버지는 검교정승(檢校政丞) 희(僖)이며, 아버지는 찬성(贊成) 근(近)이다. [생애] 1404년(태종 4) 태종의 3...
    이칭별칭 제간(齊簡)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48(인조 26)∼1722(경종 2).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국서(國瑞)ㆍ덕장(德章), 호는 남록(南麓). 협(?)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근중(謹中)이고, 아버지는 영의정 대운(大運)이며, 어머니는 ...
    이칭별칭 국서(國瑞), 덕장(德章)| 남록(南麓)
  • 계서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도(度)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1912년 손자 용하(庸夏) 등이 편집, 간행하였는데,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과 권말에 권상익(權相翊)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 도서 등에
  • 우복정경세신도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높이는 64㎝, 이수(螭首)의 높이는 115㎝이다. 비문은 해서체(楷書體)로서, 좌참찬 조경(趙絅)이 찬한 것을 이조좌랑지제교(吏曹佐郞知製敎) 이동표(李東標)가 썼다. 한편, 제전(題篆)은 ()가 쓰고, 음기(陰記)는 정경세의 현손 정주원(鄭胄源)이 찬하고...
    연계항목우복정경세신도비(愚伏鄭經世神道碑)
  • 간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조선시대 국왕의 옳지 못한 처사나 과오에 대해 간관(諫官)들이 행하던 간언. [내용] 전근대 왕조국가에서 군주의 언동은 정치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므로, 국왕에게 잘못이 있을 경우 그것을 바로잡기 위한 제도를 두고 있었다. 그에 의...

단행본(5)

  • 정본 여유당전서 9-논어고금주 2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
    분야종교‧철학 | 유형단행본
    1.論語古今註 卷六 2.論語古今註 卷七 3.論語古今註 卷八 4.論語古今註 5.論語古今註 卷十
  • 정본 여유당전서 19-상례사전 2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1.喪禮四箋 卷六 2.喪禮四箋 卷七 3.喪禮四箋 卷八 4.喪禮四箋 5.喪禮四箋 卷十
  • 정본 여유당전서 25-경세유표 2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
    분야정치‧법제 | 유형단행본
    1.經世遺表 卷六 2.經世遺表 卷七 3.經世遺表 卷八 4.經世遺表 5.經世遺表 卷十
  • 정본 여유당전서 2-문집 1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
    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1.文集 卷八 (1)對策 2.文集 (1)策問 (2)議 (3)疏 3.文集 卷十 (1)原 (2
  • 정본 여유당전서 31-흠흠신서 2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
    분야정치‧법제 | 유형단행본
    (3)祥刑追議 九 3..欽欽新書 卷八 (1)祥刑追議 十 (2)祥刑追議 十一 (3)祥刑追議 十二 4.欽欽新書 (1)祥刑追議 十三

고서·고문서(286)

  • 【輿地考】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230 附 雜纂集 一 ITKC_MP_0597A_0230_010_0070 【輿地考】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
    권차명附 雜纂集 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大礼記録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2015362015201536_004 大礼記録十 第五輯 第二編 第十一章 第三節 第二 皇族御服 국립공문서관 本館-3A-019-00・礼00259100 0090 1 문서 장신 ...
    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5. 11.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讀禮通考 十五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870 與猶堂全書補遺○讀禮通考箋註 ITKC_MP_0597A_1870_000_0120 讀禮通考 十五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讀禮通考箋註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讀禮通考 十九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870 與猶堂全書補遺○讀禮通考箋註 ITKC_MP_0597A_1870_000_0130 讀禮通考 十九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讀禮通考箋註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十一【職官考】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230 附 雜纂集 一 ITKC_MP_0597A_0230_010_0540 十一【職官考】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
    권차명附 雜纂集 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기초학문(2)

  • 국제아동인범의 이행-아동권리협약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양희, 게재일 : 2013
    65750 이양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법학연구소 2013 국제아동인범의 이행-아동권리협약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국제개발협력으로서 사회권- 사회약 제2조 상 “국제지원과 국제협력” 조항을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오시진, 게재일 : 2016
    17098 오시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안암법학회 2016 국제개발협력으로서 사회권- 사회약 제2조 상 “국제지원과 국제협력” 조항을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
    유형논문 | 게재일2016

신문·잡지(27)

  • 則訓頒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한국관민간 외국의나갈일이 잇경우에 일본통감부와 일본리관이 그외국려권을 발급다말은 이왕에긔얏거니와 일작 농상공부에셔 그려권 규측을 각도각항구에 한벌식보고 일쥰시라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10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 부쥬 송병련에 식임고 츙북...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부쥬 송병련에 식임고 츙북관부쥬 리범응에 송슌갑임고 평남관부쥬 김치황에 양덕용임고 함북관부쥬 홍승병에 목윤상임다 以上九月十六日 길쥬부쥬 리긔에 최봉희 임고 한셩판소쥬 엄쥬훈에 류흥 임다 以上九月十五日즁츄원의관 리샹쥰 륙품 홍...
    게재일1902년 9월 23일 | 기사분류관보
  • 中셔瑞麟坊沙後동十六統十戶瓦家十三間家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中셔瑞麟坊沙後동十六統十戶瓦家十三間家主李鍾源板月分典于三合豐矣社中遺失故玆仰佈內外國人中誰某拾得休紙施行홈 三合豐典舗 告白
    게재일1906년 1월 5일 | 기사분류광고
  • 中셔瑞麟坊沙後동十六統十戶瓦家十三間家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中셔瑞麟坊沙後동十六統十戶瓦家十三間家主李鍾源板月分典于三合豐矣社中遺失故玆仰佈內外國人中誰某拾得休紙施行홈 三合豐典舗 告白
    게재일1906년 1월 8일 | 기사분류광고
  • 中셔瑞麟坊沙後동十六統十戶瓦家十三間家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中셔瑞麟坊沙後동十六統十戶瓦家十三間家主李鍾源板月分典于三合豐矣社中遺失故玆仰佈內外國人中誰某拾得休紙施行홈 三合豐典舖 告白
    게재일1906년 1월 4일 | 기사분류광고

기타자료(7)

  • 졸업 축하 편지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東 1983 00 00 3 PDF ...
    범주1평생교육 | 형식학교문서 | 한글저자권규동
  • Activities of Second Committee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내역을 적시하고 있음. 국제인약 초고를 위한 각종 회의 내용을 정리하고 있으며 본 안건은 제880차 회의부터 논의되었음. 논의를 통해 도출된 국제인약 초고에 따르면, 정치적 권리에 대한 정의가 확인됨. 정치적 권리에 대한 정의는 추후 계속적으로 수정되었음
    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발신자Economic and Social Council | 수신자UN General Assembly
  • Activities of Second Committee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ouncil UN General Assembly 숙명여자대학교 유엔총회 제13차 국제기구분야 활동보고. 1958년 12월 1일 작성된 본 보고서는 국제기구의 활동 내역들을 적시하고 있음. 본보고서는 국제인약 초고를 마련하기...
    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발신자Economic and Social Council | 수신자UN General Assembly
  • Activities of Second Committee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ouncil UN General Assembly 숙명여자대학교 유엔총회 제13차 국제기구분야 활동보고. 1958년 12월 1일 작성된 본 보고서는 국제기구의 활동 내역들을 적시하고 있음. 본 보고서는 국제인약 초고를 마련하...
    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발신자Economic and Social Council | 수신자UN General Assembly
  • Activities of Second Committee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ouncil UN General Assembly 숙명여자대학교 유엔총회 제13차 국제기구분야 활동보고. 1958년 12월 1일 작성된 본 보고서는 국제기구의 활동 내역들을 적시하고 있음. 본 보고서는 국제인약 초고를 마련하...
    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발신자Economic and Social Council | 수신자UN General Assembly

주제어사전(5)

  • / [종교·철학/유학]

    1648(인조 26)∼1722(경종 2). 조선 후기의 문신. 권협의 증손, 할아버지는 권근중, 아버지는 영의정 권대운, 어머니는 우정의 딸이다. 1675년(숙종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이듬해 검열이 되었다. 사헌부·사간원의 관직과 이조낭관 등의 관직을 두루

  • 권구현 / [예술·체육/회화]

    1898-1944. 시인·미술가. 충청북도 영동 출신. 본명은 구현(龜鉉). 아호(雅號)는 흑성(黑星). 이밖에도 천마산인이란 필명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그는 고향의 영동공립보통학교를 마치고 일본으로 건너가 대학과정을 마친 것으로 되어 있으나, 그 구체적인 것은 알려

  • 권호문 / 權好文 [종교·철학/유학]

    1532(중종 27)∼1587(선조 20). 조선 중기의 문인·학자. 안주교수 아들이다. 1549년(명종 4) 아버지를 여의고 1561년 30세에 진사시에 합격했으나, 1564년에 어머니상을 당하자 벼슬을 단념하고 청성산 아래에 무민재를 짓고 그곳에 은거하였다.

  • 정용기 / 鄭鏞基 [정치·법제/국방]

    명을 교살하고, 10월 입암에서 전개된 영천수비대와의 전투에서 이한구·손영각·섭 등과 함께 일본군의 흉탄을 맞아 순절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 계서집 / 溪西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2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1912년 손자 용하(庸夏) 등이 편집, 간행하였는데,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과 권말에 권상익(權相翊)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권1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