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권경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
사전(22)
- 권경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98(연산군 4). 조선 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군요(君饒)ㆍ자범(子汎), 호는 치헌(痴軒)ㆍ취정(翠亭). 집지(執智)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영화(永和)이고, 아버지는 판관 질(耋)이며, 어머니는 우참찬...이칭별칭 군요(君饒), 자범(子汎)| 치헌(痴軒)| 효강(孝康)
- 權景裕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4182 權景裕 인물 從容就戮, 史官, 內庭 佔畢齋, 柳子光, 李克墩, 燕山 弔義帝文, 稡言 D_18_01_64 대동운부군옥 18권 1장 64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8권 1장 6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權景裕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0903 權景裕 인물 門下, 登第, 弘文正字, 校理, 戊午史獄, 淸直剛毅 安東, 堤川 君饒, 佔畢齋, 我成廟, 燕山, 金馹孫, 權五福 D_05_01_129 대동운부군옥 5권 1장 129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5권 1장 12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강경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로서 사간 김당(金璫), 헌납 김숭조(金崇祖)와 더불어 시정(時政)을 논하면서 납간(納諫)ㆍ친현사(親賢士)ㆍ흥학교(興學校) 등 12개항을 건의하였다. 뒤에, 좌승지에 이르렀다. 그는 남효온(南孝溫)ㆍ권경유(權景裕) 등과 더불어 사장(詞章)ㆍ정사(政事)ㆍ절의ㆍ효행...이칭별칭 자문(子文)| 초당(草堂)|효열(孝烈)
- 강백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493년 경상도관찰사 이극균(李克均)으로부터 선정사실에 대한 장계(狀啓)로 가자(加資)되기도 하였다. 이듬해 다시 내직으로 들어와 사헌부장령ㆍ사간원사간을 지냈다.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 때 김일손(金馹孫)ㆍ권오복(權五福)ㆍ권경유(權景裕) 등이 대역죄로...이칭별칭 자온(子?)| 무명재(無名齋)| 효량(孝良)
고서·고문서(7)
- ○당(堂)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1564_384_063 1564년윤2월 ○당(堂)에 머물렀다 1564년 윤2월 4일 정축. ○당(堂)에 머물렀다. ○상방(上房)에 들어가 임(任) 판관을 보았다. ○서동(西同)이 서울에서 돌아왔는데 거공(巨公)을 데려오지 않았다. ○권경유(權景由) 영공...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아이를 돌보며 당(堂)에서 잤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어왔다. ○관찰사에게 초대를 받고 저녁때 성주 관아에 들어갔다. 먼저 이방(梨房)에서 목사를 만나고 이어 대청(大廳)에서 판관을 본 뒤, 상방(上房)에 들어가 이야기를 나누었다. 권경유(權景由)의 아들은 소촌(召村) 찰방인데, 관찰사께 들어가 일을 아뢰기 전에 가고 없...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오늘 시책(諡冊)과 보(寶)를 빈전(殯殿)에 올렸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숙직했는데 매우 피곤하여 일찍 잤다. ○지문에 빠진 조(條)가 있어 고쳐 넣어 다시 새겼다고 한다. ○양사(兩司)가 함께 계를 올려, 능전(陵殿)희릉의 영경전(永慶殿)을 말함을 옛 것 그대로 쓰는 것은 옳지 않으니 새 능호로 고치기를 청한다고 했다. ○권경유(權景由)가...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운강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遠權景由重哲李壽應榠春金明叟晦鎭 共上國慕峯, 元月日李壽應權殷弼金明叟與朴 學明勝復李元甫善和見訪共吟, 龍仁趙斯文泳 遠遠臨呼韻共賦, 與興海諸益共遊小白山宿白 雲洞, 錦城壇, 過三槐亭, 宿聖穴庵, 登國望峯, 宿石崙庵, 尋留石寺, 喜方瀑布, 出山, 訪龍山 黃聲遠鍾樂與諸友共賦, 冬至...분야문학 | 유형문헌
- 소정유고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別界보다 못한 것이 없 다며 부러워하고 있다. 또한 자신은 지금 눈이 좋지 않아 사물을 볼 수 없는데 침과 약을 써 봐도 별 효과가 없다고 하며 박래희의 신묘한 솜씨를 받아 빨리 낳고 싶다고 말하고 있다. 答(權景綏) 41 권경수에게 답한 편지이다. 存心養性은 精...분야문학 | 유형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