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권격”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9)
사전(20)
- 권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20(광해군 12)∼1671(현종 12).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정숙(正叔), 호는 육유당(六有堂). 대성(大成)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찰방 주(?)이고, 아버지는 선산부사 성원(聖源)이며, 어머니는...이칭별칭 정숙(正叔)| 육유당(六有堂)
- 권격(權格)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권격 권격 權格 정치·행정가관료/문신 인물 한국 조선 효종~현종 이현숙 이범직 2008 정숙(正叔) 육유당(六有堂) 양반 남자 1...
- 근대신어 : 레프트(레트)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13564 레프트 라항 레트 left 1. 왼편(左)의, 左側의 2. 左, 左側, 左翼, 左黨(急進, 民主, 自由黨) 3. 野球. 左翼(手) 4. 拳鬪 左手의拳擊 1. 왼편(좌)의, 좌측의 2. 좌, 좌측, 좌익, 좌당(급...출전(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漢城圖書株式會社] | 계통분류 [과학지식] 이념 [예술감각] 스포츠성질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곽지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령이 되었고, 1659년(현종 즉위년) 사간이 되었다. 1662년 정언 권격(權格)과 더불어 윤선도(尹善道)의 상소를 변호하는 조경(趙絅)을 귀양보낼 것을 간곡히 주장하였다. 벼슬은 집의에 이르렀다. 『인조실록(仁祖實錄)...이칭별칭 흠로(欽魯)| 지포(芝浦)
- 한남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57(세조 3). 조선 전기의 왕자. [개설] 이름은 어(0x9A92). 자는 군옥(群玉). 세종의 넷째 서자(庶子)이며, 어머니는 혜빈 양씨(惠嬪楊氏)이다. 부인은 예빈녹사(禮賓錄事) 권격(權格)의 딸이다. [내용]이칭별칭 군옥(群玉)| 정도(貞悼)|어
고서·고문서(18)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4420 B014420 강도 江都 정치행정 顯宗改修實錄 十年(1669) 十月 현종개수실록_11010027_002 ○遣御史權格于水原, 試武士。 入格將官諸色軍人等, 依前日江都、南漢試才賞格, 給米布弓箭有差。출처전거顯宗改修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4229 B014229 강도 江都 정치행정 顯宗實錄 十年(1669) 十月 현종실록_11010028_003 ○遣御史權格于水原, 試才武士, 以柳葉箭騎芻鳥銃。 其入格將官諸色軍人等, 依前日江都、南漢試才賞格, 給米布弓箭有差。출처전거顯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4273 B014273 강도 江都 정치행정 顯宗實錄 一年(1660) 四月 현종실록_10104001_001 ○乙酉朔 / 大司諫李慶億、司諫郭之欽、獻納睦來善、正言權格ㆍ李堥啓曰: “今年饑饉, 八路同然, 國家於料理賑救之策, 可謂至矣。 近聞嶺南之饑, 不下於東北兩路, 茹草擷葉,...출처전거顯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배(島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卽斗之櫃子也, 自有元犯。 參酌定配, 李德秀則元犯朴敏采無疑, 而設令受勸假合, 其年最少, 況書給者? 得假紅牌者, 或定配或爲奴, 則元犯物故之後, 受近六十次刑訊, 尙在日次中, 其涉可矜, 特減一律島配。 金麗珍則旣無贓物之現捉, 設有是事, 蘿蔔瓢片, 亦甚無異, 而年少癡騃之人, 受囑...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배(島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卽斗之櫃子也, 自有元犯。 參酌定配, 李德秀則元犯朴敏采無疑, 而設令受勸假合, 其年最少, 況書給者? 得假紅牌者, 或定配或爲奴, 則元犯物故之後, 受近六十次刑訊, 尙在日次中, 其涉可矜, 特減一律島配。 金麗珍則旣無贓物之現捉, 設有是事, 蘿蔔瓢片, 亦甚無異, 而年少癡騃之人, 受囑...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타자료(1)
- 박릉(博陵)의 최류(崔柳)로 보내 고구려에서 북위 유민을 찾아오라고 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였다. 유가 5,000호로 사명에 보답하였다.” (太平御覽 783 四夷部 4 東夷 4 高句驪) 【원문】 天保三年 文宣至營州 使博陵崔柳使于高麗 求魏末流人 敕柳曰 若不從者 以便宜從事 及至 不見許 柳張目叱之 拳擊成墜於牀下 成左右雀息不敢動 乃謝服 柳以五千戶反命 (北...대표표제어박릉(博陵)의 최류(崔柳)로 보내 고구려에서 북위 유민을 찾아오라고 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552년(壬申/신라 진흥왕 13 開國 2/고구려 양원왕 8/백제 성왕 30/梁 承聖 1/倭 欽明 13)
주제어사전(4)
-
권격 / 權格 [종교·철학/유학]
1620(광해군 12)∼1671(현종 12). 조선 중기의 문신. 권대성 증손, 할아버지는 찰방 권주, 아버지는 선산부사 권성원, 어머니는 강선여의 딸이다. 1650년(효종 1) 진사가 되었고, 다음해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병조정랑, 강릉부사를 역임하였다.
-
권상유 / 權尙游 [종교·철학/유학]
1656(효종 7)∼1724(경종 4).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증영의정 권격, 어머니는 함평이씨로 돈녕부도정 이초로의 딸이다. 대사간, 도승지, 이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성리설에 밝았으며, 특히『논어』와『주역』에 관통하였다.
-
권영 / 權塋 [종교·철학/유학]
1678(숙종 4)∼? 조선 후기의 문신. 한성부서윤 권성원 증손, 할아버지는 장령 권격, 아버지는 권상명, 어머니는 좌의정 이세백의 딸이다. 1732년(영조 8)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승지, 사직을 역임하였다.
-
권정성 / 權定性 [종교·철학/유학]
1677년(숙종 3)∼1751년(영조 27). 조선 후기 문신·유학자. 증조는 집의 권격, 조부는 한수재 권상하이다. 부친 부사 권욱과 모친 현감 김진수의 딸사이에서 차남으로 태어났다. 부인은 목사 송병익의 딸이다. 조부 권상하의 슬하에서 학문을 익혔다. 관직은 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