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궁현장”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
사전(6)
- 궁현장(弓絃匠)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궁현장 궁현장 弓絃匠 공장(工匠) 정치행정/관속 직역 대한민국 조선 조선 김인규 [정의] 명주실 또는 가죽으로 활시위를 만드는 장인(匠人). [개설] 조선초...상위어공장(工匠)
- 군기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主簿)ㆍ직장(直長)ㆍ봉사(奉事)ㆍ부봉사(副奉事)ㆍ참봉(參奉) 등이 있었다. 『경국대전』에 나와 있는 기술직종을 보면 여기에 딸린 공장(工匠)으로는, 칠장(漆匠) 12인, 마조장(磨造匠) 12인, 궁현장(弓弦匠) 6인, 유칠장(油漆匠) 2인, 주장(鑄匠) 20인...
- 군기시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ㆍ참봉(參奉) 등이 있었다. 경국대전經國大典에 나와 있는 기술 직종을 보면 여기에 딸린 공장(工匠)으로는, 칠장(漆匠) 12인, 마조장(磨造匠)12인, 궁현장(弓弦匠) 6인, 유칠장(油漆匠) 2인, 주장(鑄匠) 20인, 생피장(生皮匠) 4인, 갑장(甲匠) 35인,...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칠장(漆匠)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11일], 그 때문인지 병조에 소속된 칠장은 9명으로 나와있다[『세조실록』 6년 8월 1일]. 『경국대전(經國大典)』에서는 병기(兵器)의 제조 등을 관장하던 군기시(軍器寺)에 활과 활촉을 만드는 궁현장(弓弦匠)과 마조장(磨造匠)·유칠장(油漆匠) 등과 함께 칠장 12명이...상위어경공장(京工匠), 공장(工匠), 관장(官匠), 외공장(外工匠), 장인(匠人) | 관련어가칠장(假漆匠), 나전칠기(螺鈿漆器), 반칠장(盤漆匠), 진칠장(眞漆匠), 칠기(漆器)
- 상의원(尙衣院)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熟皮匠) 8명, 화아장(花兒匠) 4명, 사피장(斜皮匠) 4명, 모의장(毛衣匠) 8명, 전장(氈匠) 8명, 입사장(入絲匠) 4명, 모관장(毛冠匠) 2명, 사금장(絲金匠) 4명, 칠장(漆匠) 8명, 두석장(豆錫匠) 4명, 마조장(磨造匠) 4명, 궁현장(弓弦匠) 4명, 유칠...하위어공제(工製), 공조(工造), 공작(工作), 경공장(京工匠), 제색장(諸色匠) | 동의어상방(尙方) | 관련어내탕(內帑), 잠실(蠶室), 의대(衣襨), 상의사(尙衣司), 상방사(尙房司), 상의국(尙衣局), 장복서(掌服署)
고서·고문서(1)
- 耵聹(上音頂下音寧耳垢也)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細硏○右和調如膏撚如棗核大綿裹一丸塞耳中令濡潤後卽挑之【又方】地龍五七條濕者擣取汁數數灌之卽輕挑自出 治耳中有物不可出 弓絃長三寸打散一頭塗好膠柱著耳中物處停之令相着徐徐引出 【直指方】治耵耳 生猪脂生地龍釜下墨等分○右細硏以葱汁和捏如棗核以綿包入令閏卽挑出 【鍼灸法】資生經【百會】【翳風】【中...서명鄕藥集成方 | 저자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주제어사전(1)
-
궁현장 / 弓弦匠 [과학기술/과학기술]
활시위를 만드는 장인. 현은 활시위이다. 궁현의 재료는 소나 말의 힘줄 및 생사 등이 쓰였는데, 특히 양계에서 쓰이는 궁현은 수령이 감조관이 되어 생사로써 만들었다. 소나 말의 힘줄로 궁현을 만들 경우는 보통 서너마리의 힘줄이 소요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