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궁전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
사전(3)
- 궁전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전이 대규모일 경우는 궁전촌 주민 전체가 궁방전만 경작하는 수도 있었다. 그렇지만 궁방전은 다른 종류의 토지와 혼재되어 분산 배치되었기 때문에, 주민들이 다른 토지도 경작하던 예가 대다수였다. 궁방이 자체의 재력으로 사람들을 모아 궁방전을 개간하는 경우 모인 농...
- 제역촌(除役村)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역촌(驛村)·원촌(院村)·궁둔촌(宮田村)·둔전촌(屯田村)·사촌(寺村)·영하촌(營下村)·점촌(店村)·창촌(倉村)·포촌(浦村)·영촌(嶺村)·견여촌(肩輿村))·묘촌·복주촌 등의 다양한 제역촌 형태가 기록돼 있다. 정약용은 제역촌을 다시 국제(國除)와 읍제(邑除)로 구...상위어제역(除役) | 하위어국제(國除), 읍제(邑除), 계방촌(契房村), 계방(契防), 제역호(除役戶), 제역전(除役錢), 제역보(除役保), 제역촌전(除役村錢), 읍내촌(邑內村), 학궁촌(學宮村), 역촌(驛村), 원촌(院村), 궁둔촌(宮田村), 둔전촌(屯田村), 사촌(寺村), 영하촌(營下村), 점촌(店村), 창촌(倉村), 포촌(浦村), 영촌(嶺村), 견여촌(肩輿村), 묘촌(墓村), 복주촌(福酒村) | 관련어양호(養戶), 모입동(募入洞), 모입소(募入所), 사모속(私募屬), 잡역(雜役), 연호잡역(煙戶雜役), 비총제(比摠制), 이정법(里定法), 균역법(均役法), 제역촌완문(除役村完文), 민고(民庫), 보민청(補民廳), 신역(身役), 호역(戶役), 공동납(共同納), 관중제역(官中除役), 대동제역(大同除役)
- 제역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원촌은 주로 향교와 서원 주변의 마을로 제반 사역과 제수(祭需) 마련을 담당하였다. 역(驛)과 원(院)이 있는 역촌과 원촌, 조창(漕倉)이나 각종 창(倉)이 있는 창촌, 궁방전과 둔전을 경작하는 농민의 마을인 궁전촌과 둔전촌도 있었다. 또한, 포보전(浦保錢)이 감영으로...
고서·고문서(1)
- 奸吏ㆍ猾吏,潛取民結,移錄於除役之村者,明査嚴禁。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書院村其五也,驛村其六也,院村其七也,【卽野站】 寺村其八也,【洞口村】 倉村其九也,【外倉之所在】 宮田村其十也,【宮結之所在】 屯田村其十一也,【京司ㆍ京營之所庇】 浦村其十二也,【浦保錢入于監營故】 島村其十三也,【屬于鎭堡】 嶺村其十四也。【肩輿故】 又如兵營ㆍ水營所在,其營下四里,皆除役之...권차명牧民心書 卷四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주제어사전(1)
-
궁전촌 / 宮田村 [생활/주생활]
조선 후기 주민들이 주로 궁방전을 경작하였던 마을. 궁방전은 17세기 초엽부터 궁방의 재정을 마련하기 위하여 교통이 편리하고 토지가 비옥한 평야·해안 지방에 널리 설치되었는데, 특히 전라도·황해도에 많았다. 궁방전이 대규모일 경우는 궁전촌 주민 전체가 궁방전만 경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