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궁수분곡”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5)
- 궁수분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393년(태조 2) 정도전(鄭道傳)이 지은 송도가(頌禱歌). [구성 및 형식] 『악학궤범』‧『악장가사』‧『삼봉집』 등에 전한다. 「정동방곡(靖東方曲)」‧「납씨가(納氏歌)」와 함께 조선의 건국과 태조의 무공을 찬양하고자 지은 ...
- 무악(武樂)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무악 무악 武樂 궁수분곡(窮獸奔曲), 납씨곡(納氏曲), 무공(武工), 무공방(武工房), 무무(武舞), 정대업(定大業), 정동방곡(靖東方曲) 문화예술/음악 의식 행사 대한민국 조선전기 조선전기 이정희 ...관련어궁수분곡(窮獸奔曲), 납씨곡(納氏曲), 무공(武工), 무공방(武工房), 무무(武舞), 정대업(定大業), 정동방곡(靖東方曲)
- 납씨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납씨(納氏)‧파납씨(破納氏)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태조의 무공과 조선의 창업을 찬양하기 위해 「궁수분곡(窮獸奔曲)」‧「정동방곡(靖東方曲)」 등과 함께 지어올린 노래로 이 세 노래를 무공곡(武功曲)이라고 한다. 뒤에 악장으로 사용되었다. [내용 및 형식...이칭별칭납씨곡|납씨|파납씨
- 정동방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등에 전하며, ≪삼봉집 三峯集≫에는 한시만 실려 있고, ≪대악후보 大樂後譜≫에는 악보만이 전한다. <납씨가 納氏歌>‧<궁수분곡 窮獸奔曲> 등과 더불어 태조의 무공(武功)과 조선의 건국을 송축하기 위해 지은 노래이며, 그 뒤에 악장으로 사용되었다. 이 작품은 13...
- 악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등은 연향에 사용한 아악곡의 악장에 해당한다. 또한, 형식에 있어서는 ≪시경≫의 풍(風)‧아(雅)‧송(頌)이나 ≪초사 楚辭≫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니 <궁수분곡 窮獸奔曲>‧<수명명>‧<수보록>‧<하황은>‧<하성명 賀聖明>은 ≪시경≫의 아체(雅體)를, <문명곡>...
주제어사전(2)
-
궁수분곡 / 窮獸奔曲 [문학/고전시가]
1393년(태조 2)정도전(鄭道傳)이 지은 송도가(頌禱歌). 『악학궤범』·『악장가사』·『삼봉집』 등에 전한다. 「정동방곡(靖東方曲)」·「납씨가(納氏歌)」와 함께 조선의 건국과 태조의 무공을 찬양하고자 지은 노래이다. 형식은 시경체(詩經體) 4언시 12행이다. 압운에 의
-
납씨가 / 納氏歌 [문학/고전시가]
태조의 무공과 조선의 창업을 찬양하기 위해 「궁수분곡(窮獸奔曲)」·「정동방곡(靖東方曲)」 등과 함께 지어올린 노래로 이 세 노래를 무공곡(武功曲)이라고 한다. 뒤에 악장으로 사용되었다. 이 곡은 궁중 연례악(宴禮樂)으로 연주되었고, 또 태조 및 신의왕후(神懿王后)의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