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궁방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8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0)
사전(93)
- 궁방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급되었는데, 명종 때 직전제가 소멸되면서 자연히 궁방전의 지급에 대한 필요성을 촉진시켰다. 궁방전의 설치는 각 궁방에 따라 다르다. 그러나 기록에 의하면 임진왜란 이후 왕족에게 궁방전이 지급되었는데, 일사칠궁(一司七宮 : 內需司와 壽進宮‧明禮宮‧於義宮‧毓祥宮‧龍...
- 궁방전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궁방이 소유 또는 수조하던 토지.정의조선시대 궁방이 소유 또는 수조하던 토지.[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ungbangjeon | MR표기kungbangj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궁방전(宮房田)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궁방전 궁방전 宮房田 궁장토(宮庄土), 궁둔(宮屯), 사궁장토(司宮庄土) 영작궁둔(永作宮屯), 둔전(屯田), 을해정식(乙亥定式), 절수(折受), 급가매득(給價買得), 민결면세(民結免稅), 유토(有土), 무토(無土), 병신정식(丙申定式...동의어궁장토(宮庄土), 궁둔(宮屯), 사궁장토(司宮庄土) | 관련어영작궁둔(永作宮屯), 둔전(屯田), 을해정식(乙亥定式), 절수(折受), 급가매득(給價買得), 민결면세(民結免稅), 유토(有土), 무토(無土), 병신정식(丙申定式)
- 무토궁방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 민전(民田) 위에 설치되었던 수조지(收租地). [내용] 유토궁방전(有土宮房田)에 대비되는 말로 일명 원결궁둔(元結宮屯)이라고도 하였다. 대체로 민전(民田) 위에 설치된 것이었으므로 궁방이 토지에 대한 수조권만을 지닌 토지였다....이칭별칭원결궁둔(元結宮屯)
- 유토궁방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 민전(民田) 위에 설정된 나누어 주거나 하사한 토지. [내용] 유토면세지(有土免稅地)와 영작궁둔(永作宮屯)의 두 종류로 나누어지는데 모두 면세의 특권이 주어졌다. 유토면세지는 무토궁방전(無土宮房田)과 마찬가지로 민전 위에 설정...
단행본(1)
- 영조 비빈 자료집 1-의궤, 등록, 기타-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정해은(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1.02.28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御製表義錄》 《綏慶園新事例》 《綏慶園誌錄》 영조 비빈 관련 자료의 내용과 특징 영조 비빈의 역할과 정치적 의미 육상궁, 선희궁, 경우궁의 조성과 궁방전
고서·고문서(15)
- 궁방전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이 자료는 조선총독부 중추원에서 작성한 것으로, 철종연간 일성록(日省錄)에서 궁방전(宮房田)과 관련한 기사 5건을 발췌하여 수록한 것이다.분류민사 | 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출판사없음
- 역둔토조사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이 자료집은 조선총독부 중추원에서 제작한 역둔토(驛屯土)로 통칭하던 조선의 국유지에 대한 조사보고서이다. 주로 문헌비고(文獻備考)와 대전회통(大典會通) 등의 문헌자료에서 관련 기사를 발췌하여 조선총독부 중추원 용지에 정리하였다. 신라시대 이래의 연혁을 중...분류민사 | 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출판사없음
- 京畿道庄土文績_제24책 : 京畿道金浦郡所在庄土李根培提出圖書文績類 9. 金浦郡 宮房田畓地圖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10359 奎 19299 京畿道庄土文績 제24책 : 京畿道金浦郡所在庄土李根培提出圖書文績類 24-007 9. 金浦郡 宮房田畓地圖 지도 1 46.1x37.8 한지, 관인 무 1장, 46.1x37.8cm(가로x세로), 한지, 관인...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黃海道 庄土文績_제53책 : 黃海道載寧郡所在庄土高應源提出圖書文績類 14. 康熙五十三年九月日黃海道載寧郡東面牛頭川伏在壽進宮房田畓改打量御覽成冊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15680 奎 19303 黃海道 庄土文績 제53책 : 黃海道載寧郡所在庄土高應源提出圖書文績類 53-014 14. 康熙五十三年九月日黃海道載寧郡東面牛頭川伏在壽進宮房田畓改打量御覽成冊 양안류 11 28.2x47.2 한지, 관인, 군수의 押,...자료명黃海道 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6979 B016979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肅宗實錄補闕正誤 二年(1676) 三月 숙종실록보궐정오_10203002_001 ○甲申 / 下敎曰:○頃覽江華府各鎭堡軍器, 則箭竹零星。 脫有緩急, 臨陣對敵之用, 不出乎矢石, 此實國家之隱憂。 內弓房箭竹, 幾至累萬, 除出箭竹一百...출처전거肅宗實錄補闕正誤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1)
- 18世紀後半~20世紀初 宮房田의 規模, 分布 및 變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조영준, 게재일 : 200807006 조영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조선시대사학회 2008 18世紀後半~20世紀初 宮房田의 規模, 分布 및 變動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유형논문 | 게재일2008
멀티미디어(59)
- 1주차. 세계의 간척과 한국의 간척 2주차. 간척 관련 자료 유형과 이용법 3주차. 조선 시대 둔전 조성과 간척 1: 강화도 선두포언 4주차. 조선 시대 둔전 조성과 간척 2: 시흥시 호조벌 5주차. 조선 시대 궁방전 조성과 간척: 부안군 용동궁 삼간평 간척지 6주차강좌제목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 강의자양선아 교수
- 1주차. 세계의 간척과 한국의 간척 2주차. 간척 관련 자료 유형과 이용법 3주차. 조선 시대 둔전 조성과 간척 1: 강화도 선두포언 4주차. 조선 시대 둔전 조성과 간척 2: 시흥시 호조벌 5주차. 조선 시대 궁방전 조성과 간척: 부안군 용동궁 삼간평 간척지 6주차강좌제목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 강의자양선아 교수
- 1주차. 세계의 간척과 한국의 간척 2주차. 간척 관련 자료 유형과 이용법 3주차. 조선 시대 둔전 조성과 간척 1: 강화도 선두포언 4주차. 조선 시대 둔전 조성과 간척 2: 시흥시 호조벌 5주차. 조선 시대 궁방전 조성과 간척: 부안군 용동궁 삼간평 간척지 6주차강좌제목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 강의자양선아 교수
- 1주차. 세계의 간척과 한국의 간척 2주차. 간척 관련 자료 유형과 이용법 3주차. 조선 시대 둔전 조성과 간척 1: 강화도 선두포언 4주차. 조선 시대 둔전 조성과 간척 2: 시흥시 호조벌 5주차. 조선 시대 궁방전 조성과 간척: 부안군 용동궁 삼간평 간척지 6주차강좌제목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 강의자양선아 교수
- 1주차. 세계의 간척과 한국의 간척 2주차. 간척 관련 자료 유형과 이용법 3주차. 조선 시대 둔전 조성과 간척 1: 강화도 선두포언 4주차. 조선 시대 둔전 조성과 간척 2: 시흥시 호조벌 5주차. 조선 시대 궁방전 조성과 간척: 부안군 용동궁 삼간평 간척지 6주차강좌제목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 강의자양선아 교수
연구결과보고서(1)
-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결과보고서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연구과제(2)
-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김건태 | 서울대학교 | 2011 | 국내 | 서울
-
영․정조대 국가운영과 왕실재정-정례서를 통해 본 왕실과 나라 살림-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최주희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4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12)
-
궁방전 / 宮房田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궁방이 소유 또는 수조하던 토지. 조선 후기에 후비·왕자대군·왕자군·공주·옹주 등의 궁방에서 소유하거나 또는 수조권을 가진 토지이다. 궁방의 소요 경비와 그들이 죽은 뒤 제사를 받드는 비용을 위해 지급되었다.
-
무토궁방전 / 無土宮房田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민전 위에 설치되었던 수조지. 대체로 민전(民田) 위에 설치된 것이었으므로 궁방이 토지에 대한 수조권만을 지닌 토지였다. 당시 궁방전의 주종을 이루었던 토지로서, 궁방전 전호(佃戶)에 대한 요역의 감면혜택으로 인하여 민전의 투탁현상이 나타남으로써 크게 확
-
유토궁방전 / 有土宮房田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민전 위에 설정된 나누어 주거나 하사한 토지. 유토면세지(有土免稅地)와 영작궁둔(永作宮屯)의 두 종류로 나누어지는데 모두 면세의 특권이 주어졌다. 유토면세지는 무토궁방전(無土宮房田)과 마찬가지로 민전 위에 설정된 것으로서 주로 나누어 주거나 하사한 것으로
-
궁전촌 / 宮田村 [생활/주생활]
조선 후기 주민들이 주로 궁방전을 경작하였던 마을. 궁방전은 17세기 초엽부터 궁방의 재정을 마련하기 위하여 교통이 편리하고 토지가 비옥한 평야·해안 지방에 널리 설치되었는데, 특히 전라도·황해도에 많았다. 궁방전이 대규모일 경우는 궁전촌 주민 전체가 궁방전만 경작
-
납가도장 / 納價導掌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궁방관리인 도장을 임명하는 방법. 도장은 궁방전(宮房田)을 관리하고 세미를 담당한 궁방관리로, 조선시대 도장으로 임명되는 데는 궁방과 당사자간의 직접적인 관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과, 도장권을 매수한 자가 도장첩(導掌帖) 발급을 요청하는 발괄(白活)을 올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