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궁방”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27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47)
사전(257)
- 궁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왕실의 일부였던 궁실(宮室)과 왕실에서 분가, 독립한 궁가(宮家)의 통칭. [내용] 궁실은 왕과 선왕의 가족 집안을 뜻하며 궁가는 역대 여러 왕에서 분가한 왕자‧공주들의 종가를 의미한다. 궁방의 종류는 내수사(內需司), 수진궁(...
- 궁방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전통시대 대군, 군, 공주, 옹주 등의 왕족이 살던 집을 통틀어 이르는 말.정의전통시대 대군, 군, 공주, 옹주 등의 왕족이 살던 집을 통틀어 이르는 말.[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gungbang | MR표기kungb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궁방(宮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궁방 궁방 宮房 재정(財政) 1사7궁(一司七宮), 대군방(大君房), 공주방(公主房), 옹주방(翁主房), 숙의방(淑儀房), 군주방(郡主房) 궁가(宮家) 왕실재정(王室財政), 제궁(祭宮), 내탕(內帑) 경제재정 개념용어 대한민국 ...상위어재정(財政) | 하위어1사7궁(一司七宮), 대군방(大君房), 공주방(公主房), 옹주방(翁主房), 숙의방(淑儀房), 군주방(郡主房) | 동의어궁가(宮家) | 관련어왕실재정(王室財政), 제궁(祭宮), 내탕(內帑)
- 궁방(弓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궁방 궁방 弓房 상의원(尙衣院), 궁방(弓房), 군기시(軍器寺) 정치군사·국방/병참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김종수 [정의] 조선시대 상의원(尙衣院)에 소속되어 활을 만드는 공장(工匠)이관련어상의원(尙衣院), 궁방(弓房), 군기시(軍器寺)
- 궁방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궁방이 소유 또는 수조하던 토지. [내용] 일명 궁장토(宮庄土)‧사궁장토(司宮庄土)라고도 하였다. 조선 후기에 후비‧왕자대군‧왕자군‧공주‧옹주 등의 궁방에서 소유하거나 또는 수조권(收租權)을 가진 토지이다. 궁방의 소요 경비와...
단행본(2)
- 영조 비빈 자료집 1-의궤, 등록, 기타-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정해은(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1.02.28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御製表義錄》 《綏慶園新事例》 《綏慶園誌錄》 영조 비빈 관련 자료의 내용과 특징 영조 비빈의 역할과 정치적 의미 육상궁, 선희궁, 경우궁의 조성과 궁방전
- 숙종대왕 자료집 4 - 비지, 망단, 제문 -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이태희, 이남옥, 성인근, 박용만 한국학중앙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50920분야문학 | 유형단행본연령군묘견관치제문 延齡君墓遣官致祭文 연령군묘치제문 延齡君墓致祭文 연령군묘치제문 延齡君墓致祭文 궁방등록 중 명빈묘연령군묘치제문 宮房謄錄 中 ?嬪墓延齡君墓致祭文 ◆ 해제
고서·고문서(1,908)
- 궁방전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이 자료는 조선총독부 중추원에서 작성한 것으로, 철종연간 일성록(日省錄)에서 궁방전(宮房田)과 관련한 기사 5건을 발췌하여 수록한 것이다.분류민사 | 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출판사없음
- 궁방치제문등록(宮房致祭文謄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충청도 비인현 후궁방 궁방_1741년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김건태 교수)
- 경기도 양주목 후궁방 궁방_1725년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김건태 교수)
- 전라도 함열현 후궁방 궁방_1728년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김건태 교수)
기초학문(6)
- 조선후기 궁방(宮房)의 실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조영준, 게재일 : 200803432 조영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조선후기 궁방(宮房)의 실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유형논문 | 게재일2008
- 宮房 會計帳簿의 體系와 性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조영준, 게재일 : 200802507 조영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고문서학회 2008 宮房 會計帳簿의 體系와 性格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유형논문 | 게재일2008
- 18世紀後半~20世紀初 宮房田의 規模, 分布 및 變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조영준, 게재일 : 200807006 조영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조선시대사학회 2008 18世紀後半~20世紀初 宮房田의 規模, 分布 및 變動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조선후기 宮房의 地代 상납과 鄕味의 비중―『龍洞宮捧上冊』의 사례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조영준, 게재일 : 201820703 조영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고문서학회 2018 조선후기 宮房의 地代 상납과 鄕味의 비중―『龍洞宮捧上冊』의 사례 분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유형논문 | 게재일2018
- 조선후기 ‘생애주기’형 궁방의 경제적 기반과 운영 양상 -박숙의방(朴淑儀房)과 영온옹주방(永溫翁主房)의 사례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조영준, 게재일 : 201620705 조영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 조선후기 ‘생애주기’형 궁방의 경제적 기반과 운영 양상 -박숙의방(朴淑儀房)과 영온옹주방(永溫翁主房)의 사례 분석- https://www.krm.or.k유형논문 | 게재일2016
신문·잡지(8)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中樞院副賛議 金寛鉉 仝洪鎭裕 仝李健承 仝趙鼎允 仝崔釆鵬 並解任 七月三十日 命宮內府特進官 制度局摠裁李根澔 命制度局摠裁 從一品金允植 奉常司主事鄭寅煥 任宮內府大臣宮房主事 任奉常司主事 九品李載榮 陞嘉義 秘書監卿趙民熙 陞從二品 正三品鄭寅興 陞從二品 內閣書記官長韓昌洙 陞正三品게재일1907년 8월 4일 | 기사분류관보
- 황해로동신문_1947_0731_04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민학교 △6 30 조선 임시정부 수립에 관한 김일성 위원장의 보고해설 8,15 해방기념준비위원회 위원장 조천우 △7,15 8,15 기념과 생산돌격 북조선직총 문화부장 이호민 △7,30 테너― 독창 박정식 △7,45 지도자 소개 이강국 외무국장 △8,00 방송소설 남궁방...대표표제어황해로동신문_1947_0731_04 | 책임주필이영조
- 조선급만주_1910_04_0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31 月城の石氷庫 和田雄治 33 일한자비교연구(규칙급응용) 問宮龍眞 35 韓國藝術の變遷に就...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0
- 조선급만주_1910_026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河合弘氏 32 官吏の功績に對する頌德行爲に就て 今村鞆 35 日韓兩國語同系の一特點 間宮龍眞 43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0
- 조선공론_1921_09_10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造 小林丑三郞 6 唾棄す可き黨派的根性 廣岡宇一郞 13 支那國際管理と帝國の態度 一宮房次郞 14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1
멀티미디어(59)
- 1주차. 세계의 간척과 한국의 간척 2주차. 간척 관련 자료 유형과 이용법 3주차. 조선 시대 둔전 조성과 간척 1: 강화도 선두포언 4주차. 조선 시대 둔전 조성과 간척 2: 시흥시 호조벌 5주차. 조선 시대 궁방전 조성과 간척: 부안군 용동궁 삼간평 간척지 6주차강좌제목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 강의자양선아 교수
- 1주차. 세계의 간척과 한국의 간척 2주차. 간척 관련 자료 유형과 이용법 3주차. 조선 시대 둔전 조성과 간척 1: 강화도 선두포언 4주차. 조선 시대 둔전 조성과 간척 2: 시흥시 호조벌 5주차. 조선 시대 궁방전 조성과 간척: 부안군 용동궁 삼간평 간척지 6주차강좌제목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 강의자양선아 교수
- 1주차. 세계의 간척과 한국의 간척 2주차. 간척 관련 자료 유형과 이용법 3주차. 조선 시대 둔전 조성과 간척 1: 강화도 선두포언 4주차. 조선 시대 둔전 조성과 간척 2: 시흥시 호조벌 5주차. 조선 시대 궁방전 조성과 간척: 부안군 용동궁 삼간평 간척지 6주차강좌제목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 강의자양선아 교수
- 1주차. 세계의 간척과 한국의 간척 2주차. 간척 관련 자료 유형과 이용법 3주차. 조선 시대 둔전 조성과 간척 1: 강화도 선두포언 4주차. 조선 시대 둔전 조성과 간척 2: 시흥시 호조벌 5주차. 조선 시대 궁방전 조성과 간척: 부안군 용동궁 삼간평 간척지 6주차강좌제목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 강의자양선아 교수
- 1주차. 세계의 간척과 한국의 간척 2주차. 간척 관련 자료 유형과 이용법 3주차. 조선 시대 둔전 조성과 간척 1: 강화도 선두포언 4주차. 조선 시대 둔전 조성과 간척 2: 시흥시 호조벌 5주차. 조선 시대 궁방전 조성과 간척: 부안군 용동궁 삼간평 간척지 6주차강좌제목한국의 간척과 국토개발 | 강의자양선아 교수
연구결과보고서(1)
-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결과보고서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기타자료(6)
- 궁방병주;宮邦炳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1975 남한 경남 진주고등학교 2-47 진주고등학교, 졸업증서대장, 1930~1944년 n.r. 165면 - 궁방병주;宮邦炳鑄 소화18년 3월3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진주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진궁방언;眞弓邦彦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1258 일본 東京 第一高等學校 第一高等學校一覽 昭和18年-昭和19年 n.r. 112면 진궁방언;眞弓邦彦 조선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第一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방화;李芳華;정궁방화;靖宮芳華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3709 남한 경성 휘문중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153면 이방화;李芳華;정궁방화;靖宮芳華 전남 강진군 도암면 벌정리;경성부 돈암정 491-2 제4회 1942년 졸업예...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전원배;田源培;전궁방웅;田宮芳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9321 남한 전북 전주고등보통학교 2-41 졸업대장(1-22회) n.r. 114면 전원배;田源培;전궁방웅;田宮芳雄 전북 옥구군 米面 新豊里 606 제20회 (5년제, 87명) 1943...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순규;金純圭;대궁방치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5797 남한 경성 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1-18 昭和十九年四月現在 同窓會員名簿 1944 34면 김순규;金純圭;대궁방치 경북 안동군 동읍 법상동 213 3회 1928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3)
-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김건태 | 서울대학교 | 2011 | 국내 | 서울
-
영․정조대 국가운영과 왕실재정-정례서를 통해 본 왕실과 나라 살림-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최주희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4 | 국내 | 경기
-
도서 연안 공동체 관계 문서의 수집과 DB 구축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오창현 | 목포대학교 | 2023 | 국내 | 전남
주제어사전(21)
-
궁방 / 宮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왕실의 일부였던 궁실과 왕실에서 분가, 독립한 궁가의 통칭. 궁실은 왕과 선왕의 가족 집안을 뜻하며, 궁가는 역대 여러 왕에서 분가한 왕자·공주들의 종가를 뜻한다. 궁실은 다시 대왕사친궁·세자사친궁과 수진궁·명례궁·어의궁·용동궁의 4궁, 현 임금의 후궁·대군
-
궁방전 / 宮房田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궁방이 소유 또는 수조하던 토지. 조선 후기에 후비·왕자대군·왕자군·공주·옹주 등의 궁방에서 소유하거나 또는 수조권을 가진 토지이다. 궁방의 소요 경비와 그들이 죽은 뒤 제사를 받드는 비용을 위해 지급되었다.
-
무토궁방전 / 無土宮房田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민전 위에 설치되었던 수조지. 대체로 민전(民田) 위에 설치된 것이었으므로 궁방이 토지에 대한 수조권만을 지닌 토지였다. 당시 궁방전의 주종을 이루었던 토지로서, 궁방전 전호(佃戶)에 대한 요역의 감면혜택으로 인하여 민전의 투탁현상이 나타남으로써 크게 확
-
유토궁방전 / 有土宮房田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민전 위에 설정된 나누어 주거나 하사한 토지. 유토면세지(有土免稅地)와 영작궁둔(永作宮屯)의 두 종류로 나누어지는데 모두 면세의 특권이 주어졌다. 유토면세지는 무토궁방전(無土宮房田)과 마찬가지로 민전 위에 설정된 것으로서 주로 나누어 주거나 하사한 것으로
-
각궁방제수별록 / 各宮房祭需別錄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각 궁방에서 소요되는 제수의 일부를 국가가 지원한 내용을 수록한 정책서. 1책 33장. 필사본. 편자나 편간연대는 미상이다.표지 및 권두서명에 ‘광서(光緖) 18년 임진조’라는 두주(頭註)가 있는 것으로 보아 1892년(고종 29)분에 한하여 수록한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