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궁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5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24)
사전(434)
- 궁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왕족을 제외한 궁중 모든 여인들의 총칭. [내용] 나인[內人]들과 그 아래 하역(下役)을 맡은, 무수리[水賜]‧각심이(방아이)‧방자(房子)‧의녀(醫女)‧손님이라 불리는 여인들이 범주에 든다. 그러나 보통 궁녀라 하면 상궁(尙宮)...
- 궁녀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위왕의 궁녀이다. 위왕에게 잡혀 온 부월혜가 절개를 지키자 감동하여 월혜의 그림을 그린다. 후에 이 그림을 장씨집안에 팔아 월혜의 행방이 밝혀진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궁녀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조위를 사모하여, 눈이 처음 개고 달이 밝은 밤에 그의 방에 들어가 고백한다. 위가 타일러 보내려 하자 상심하여 자결코자 하니, 위가 말리고 받아들여연분을 맺는다. 후일 성종에게 상급을 받고 위의 첩이 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궁녀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왕상서 댁을 찾아가 즉시 입궐하라는 천자의 뜻을 전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궁녀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궁녀로, 범이 들어와 궁인을 해한다고 고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290)
- 궁중과 궁녀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6555 P-SDK-06555-P-E-07-04 P-SDK-06555-P-E-07-04-1 P-SDK-06555-P-E-07-04-2 궁중과 궁녀 Court lady and imperial court 봉투 없음 봉투 없음. 7매 세트. 사...자료명궁중과 궁녀 | 발행처東京松聲堂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人事門10_宮女宦官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宮女宦官 天子, 一后、三夫人、九嬪、二十七世婦、八十一御妻. 說者謂“與外朝之官等”, 此必無之理. 一人之身, 而御遍許多女, 其有堪支者耶? 果與外朝等, 則必有職任故也, 何必以婦、妻爲名耶? 凡治務在外而不在內, 外職臨莅億兆, 員不多, 則難治, 內職亦有豫掌天下之婦女耶? 余謂, 宮...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六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經史門7_宦官宮女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宦官宮女 范瞱云: “天垂象, 聖人則之. 宦者四星, 在皇位之側. 故《周禮》置官, 亦備其數. 閽者守中門之禁, 寺人掌女宮之戒, 其來舊矣. 漢興, 因秦制, 置中常侍, 然亦引用士人, 以參其選, 後世才任稍廣, 高后稱制, 張卿爲大謁者. 中興之初, 宦者悉用閹人, 永平中, 始置中常侍...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四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泛舟太液池命宮女唱江南賈客詞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610 與猶堂全書補遺○眞珠船 ITKC_MP_0597A_1610_000_1370 泛舟太液池命宮女唱江南賈客詞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眞珠船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唐羣臣賀縱馴象出宮女之日,淄靑軍士投兵相顧曰,明主出矣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630 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ITKC_MP_0597A_1630_020_0780 唐羣臣賀縱馴象出宮女之日,淄靑軍士投兵相顧曰,明主出矣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15)
- 삼천궁녀가 된 처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노래 몇 편을 계속 구연한 박구희 할머니에게 이번에는 이야기를 청했더니, “옛날이야기를 하라꼬?”라고 하면서 잠시 망설이는 듯 보였다. 청중 몇 분이 “어려운 게 아니다.”며 이야기를 권유하자, 옆에 앉은 김상수 할머니가 자청해서 들려준 이야기이다. 어린 시절에 ...조사일시2009. 2. 17(화) | 조사장소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학산 2리 572-2번지 주암부녀경로회관 | 제보자김삼수
- 궁녀설화+이성계설화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일시1979.08.12 | 제보자편식근
- 궁중 동성애 렌 프완과 렌 싸왓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으로 자주 쓰여요?] 지금은 안 써요. 근데. [조사자: 그럼 옛날 문학에 이렇게 관용적 표현이 많이 있다.] 네네. [조사자: 그러니까 특히 궁녀들.] 네 궁녀들이 많이 하는 거 같기도 하고, 남자들도 있었던 거 같은데 막 이렇게 자료에서는. 그것도 관용어 있는데국가태국 | 제보자와닛차진시리와닛 [태국, 여, 1990년생, 유학 5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서유기 손오공 편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파티가, 연회가 열렸거든요. 그래서 딱 궁녀들이 하늘의 궁녀들이 와가지고 “아 우리가 지금 파티를 하니까 복숭아를 따러 왔다.” 말을 하는 거예요. 그래서 아 제가 중간에 잃어버린 거 있어요. 그 원숭이가 복숭아밭을 지키고 있었는데 이 원숭이도 보니까 복숭아를 굉장국가중국(한국계) | 제보자주경옥 [중국(한국계), 여, 1973년생, 결혼이주 13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똠과 띠우의 사랑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님이 사랑이 이루어지려면 더 기다려야 한다고 했지만 띠우가 그 말을 듣지 않았다. 똠과 띠우는 띠우 부모의 반대로 결혼하지 못하였다. 띠우의 부모님이 띠우를 궁녀로 보냈다. 왕궁의 가수가 된 똠이 슬픈 연주를 하였고, 이를 들은 왕이 그 사연을 물어 똠과 띠우가 사랑하국가캄보디아 | 제보자체아다비 [캄보디아, 여, 1983년생, 결혼이주 8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신문·잡지(28)
- 頒賞宮女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젼에 각궁인을 상여금 이원이하로 지어이원오십젼식 하셧다 신화 일쳔환이부죡되얏다더라게재일1907년 1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宮女奏稟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관과 궁녀를 다슈감다말은 임의 긔얏거니와 다동등디에 모상궁이 텬폐에쥬달기를 만일궁녀를 감면 다슈궁녀의각기죡속이루쳔명이온 일죠에 아를 면치못모양이라 쳐분시기를 아즉작뎡일이안이니 념려말나 압셧다더라게재일1907년 1월 18일 | 기사분류잡보
- 减下人憂愁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근일 관궁녀를 다슈히 감고 시죵즁에 옹폐텬춍 사 슈삼인을 츅츌다말이 려항에 파다야 그사들이 대단 우려즁이나관과궁녀죨디에감될리업고 시죵즁 모모 운동힘이 대단야츅△츌당리만무다더라게재일1907년 1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각궁혁파에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근일 궁부에셔 각궁무를 일쳬경장야 한곳으로 통합일에 야 각궁원역들이며 궁녀들의직업을일코 낙망자 팔여명이라그 팔여명의 원망이 텬야 모다 긔들의 당졍만각고 그일졍리기에 쥬장사들을 미워난말이 몃년유야 로 나라에 진공고 벌어...게재일1907년 4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 侍御奏稟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라도 더허급지 안토록 을 상쥬얏 쳐분을나리 궁녀와시의 츌입궁문표난 졀반을감라 압셧다더라게재일1906년 12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51)
- 추태후와 기황후 3주차. 정희왕후와 인수대비 4주차. 신사임당, 임윤지당, 김만덕 5주차. 궁녀 고대수 6주차. 이은숙과 허은 7주차. 유관순 8주차. 강주룡 9주차. 이태영 34주차. 이소선 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김난옥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강사 고려강좌제목한국사의 여성 | 강의자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 추태후와 기황후 3주차. 정희왕후와 인수대비 4주차. 신사임당, 임윤지당, 김만덕 5주차. 궁녀 고대수 6주차. 이은숙과 허은 7주차. 유관순 8주차. 강주룡 9주차. 이태영 35주차. 이소선 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김난옥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강사 고려강좌제목한국사의 여성 | 강의자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 추태후와 기황후 3주차. 정희왕후와 인수대비 4주차. 신사임당, 임윤지당, 김만덕 5주차. 궁녀 고대수 6주차. 이은숙과 허은 7주차. 유관순 8주차. 강주룡 9주차. 이태영 36주차. 이소선 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김난옥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강사 고려강좌제목한국사의 여성 | 강의자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 추태후와 기황후 3주차. 정희왕후와 인수대비 4주차. 신사임당, 임윤지당, 김만덕 5주차. 궁녀 고대수 6주차. 이은숙과 허은 7주차. 유관순 8주차. 강주룡 9주차. 이태영 37주차. 이소선 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김난옥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강사 고려강좌제목한국사의 여성 | 강의자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 추태후와 기황후 3주차. 정희왕후와 인수대비 4주차. 신사임당, 임윤지당, 김만덕 5주차. 궁녀 고대수 6주차. 이은숙과 허은 7주차. 유관순 8주차. 강주룡 9주차. 이태영 38주차. 이소선 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김난옥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강사 고려강좌제목한국사의 여성 | 강의자김난옥, 김경란, 윤호정
기타자료(6)
- 고려가 백제에 편지의 답서를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대신(大臣)들을 죽이고 사민(士民)을 도륙하였다. 궁녀(宮女)들은 잡아서 수레에 싣고 보물은 빼앗아서 짐 속에 실었으니 그 흉악함은 걸왕(桀王)·주왕(紂王)보다 더하고 어질지 못함은 경짐승과 올빼미보다 더 심하였다. 나는 하늘이 무너질 듯한 원한과 해를 뒷걸음질치게 하...대표표제어고려가 백제에 편지의 답서를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928년(戊子/신라 경순왕 2/후백제 견훤 29/고려 태조 11, 天授 11/後唐 天成 3/日本 延長 6)
- 고려가 백제에 편지의 답서를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궐을 불사르며 대신(大臣)들을 죽이고 사민(士民)을 도륙하였다. 궁녀(宮女)들은 잡아서 수레에 싣고 보물은 빼앗아서 짐 속에 실었으니 그 흉악함은 걸왕(桀王)·주왕(紂王)보다 더하고 어질지 못함은 경짐승과 올빼미보다 더 심하였다. 나는 하늘이 무너질 듯한 원한과 해를...대표표제어고려가 백제에 편지의 답서를 보내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928년(戊子/신라 경순왕 2/후백제 견훤 29/고려 태조 11 天授 11/後唐 明宗 天成 3/日本 醍醐天皇 延長 6)
- 36. 엄귀인에게 귀비 칭호가 내려진 이후 예상되는 음모에 대하여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공사 델카세, 프랑스 외무부 장관 민비, 고영근, 엄귀인, 황태자 엄귀인의 귀비 수여 장관님, 민비 생존 당시 국왕은 궁녀들 가운데 ‘엄’이라는 여인을 눈여겨보고 강렬한 애정을 느꼈습니다. 왕비의 질투심을 잘 아는 그녀...집필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공사 | 작성연도1905년 | 작성월일09월 29일 | 발신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공사 | 수신자델카세, 프랑스 외무부 장관
- 고려가 후백제에 사신을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위해 하늘과 땅 같은 두터운 은혜를 잊고서 임금을 살륙하고 궁궐을 불태웠으며 관리들을 처참히 죽이고 백성들을 도륙했소. 또 궁녀들을 탈취해 자기 것으로 만들고 진귀한 보물을 약탈해 가득 싣고 갔으니, 그 흉악함은 걸왕(桀王)이나 주왕(紂王)보다 더하고 그 잔인함은 맹수...대표표제어고려가 후백제에 사신을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928년(戊子/신라 경순왕 2/후백제 견훤 29/고려 태조 11, 天授 11/後唐 天成 3/日本 延長 6)
- 62-1. 별첨 1―이용익이 황귀비를 양귀비에 빗대 말한 데 대한 논란과 관련하여, 의정부가 황제폐하께 올린 집단 보고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호색한임에도 대신으로 임명되었다. 점점 더 양귀비에게 깊이 빠져든 현종은 양귀비의 세 자매도 후궁에 봉해 공주의 신분을 부여하고 엄청난 재산을 주었다. 황제는 이 궁녀 일가를 만족시키기 위해 아무 것도 아끼지 않았으며 속국들도 그들의 무절제한 터무니없는 요구에 부응해야...집필자F. 베르토,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부영사 | 작성연도1906년 | 작성월일12월 03일 | 발신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공사 | 수신자델카세, 프랑스 외무부 장관
연구과제(1)
-
왕실여성과 정치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미선 | 한신대학교 | 2019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28)
-
궁녀 / 宮女 [역사/조선시대사]
왕족을 제외한 궁중 모든 여인들의 총칭. 나인들과 그 아래 하역을 맡은, 무수리·각심이(방아이)·방자·의녀·손님이라 불리는 여인들이 범주에 든다. 그러나 보통 궁녀라 하면 상궁과 나인으로 분류되는 거대한 인구의 여인들을 의미한다.
-
궁인직 / 宮人職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 왕이나 왕세자의 후궁 및 궁중 여관(궁녀)들의 내명부 직함. 내명부직 혹은 내직이라고도 불렀는데, 후궁을 내관, 궁녀를 궁관이라고도 불렀다. 궁인은 궁궐내의 모든 여인들을 의미했으나, 보통은 왕과 왕세자의 후궁들을 지칭했다.
-
왕소군원가 / 王昭君怨歌 [문학/고전시가]
조선시대 작자 미상의 가사. 총 140구. 『정선조선가곡(精選朝鮮歌曲)』·『교주가곡집(校註歌曲集)』에 수록되어 전한다. 한나라 원제(元帝) 때의 궁녀인 절세미녀 왕소군(王昭君)의 고사를 소재로 한 작품이다. 내용은, 원제는 자신의 시중을 들 궁녀를 취택할 때 언제나
-
보모 / 保姆 [사회/사회구조]
왕조시대 궁중에서 왕자녀의 양육과 교도를 맡은 궁녀 또는 남의 자녀를 맡아 길러주는 여인. 보모의 자격은 반드시 너그럽고 인자하며, 공경하고 조심하며 말수가 적어야 한다고 하였다. 궁중에서 왕자녀의 양육을 맡은 궁녀는 유모 외에도 많았다. 특히, 세자의 경우 10인은
-
영영전 / 英英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한문 필사본. 「상사동기(相思洞記)」·「상사동전객기(相思洞餞客記)」·「회산군전(檜山君傳)」이라고도 한다. 현재 국립중앙도서관본을 비롯하여 5, 6종의 사본(寫本)이 전한다. 이 작품은 지체 높은 귀공자가 궁녀를 열렬하게 사랑한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