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궁궐도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
사전(13)
- 궁궐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궁궐의 창건과 수리를 관장하던 임시관서. [내용] 왕권이 강화된 광종 때는 ‘수영궁궐도감’이라 하여 왕실의 권위를 상징하는 대규모의 궁궐축조사업을 주관하였으나, 고려의 문물제도가 완비된 문종 때인 1076년(문종 30) 다시 궁...
- 궁궐도감(宮闕都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궁궐도감 궁궐도감 宮闕都監 도감(都監) 수영궁궐도감(修營宮闕都監), 궁궐수보도감(宮闕修補都監), 영건도감(營建都監), 궁궐조성도감(宮闕造成都監)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고려~조선전기 신병주상위어도감(都監) | 관련어수영궁궐도감(修營宮闕都監), 궁궐수보도감(宮闕修補都監), 영건도감(營建都監), 궁궐조성도감(宮闕造成都監)
- 忠肅王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3970 忠肅王 인물 帑罄, 宮闕都監, 舊費 元, 燕邸 鄭㥽 列傳 D_17_03_13 대동운부군옥 17권 3장 13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3장 1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창고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로 맡아보는 사무직)가 담당하도록 하였다. 이속(吏屬)은 기사(記事)와 기관(記官)을 두었다. 1308년(충렬왕 34)에 충선왕이 선공시(繕工寺)를 선공사(繕工司)로 고칠 때 소부(小府)와 궁궐도감(宮闕都監)ㆍ연등도감(燃燈都監)ㆍ국신색(國贐色)을 선공사에 병합하...
- 연등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주정(金周鼎)에게 명하여 이곳에서 군대를 사열하게 하기도 하였다. 1308년에 충선왕이 선공감(繕工監)을 선공사(繕工司)로 개편할 때 소부(小府)ㆍ궁궐도감(宮闕都監)ㆍ창고도감(倉庫都監)ㆍ국신(國贐) 등과 더불어 선공사에 병합되면서 폐지되었다. 그 뒤...
고서·고문서(4)
- 달산(達山)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9483 B039483 달산 達山 산악 東史綱目第九下 [宋淳熙元年金大定十四年]甲午四年 夏五月 _ ○置延基宮闕都監⁄用術士言左蘇白岳山右蘇白馬山北蘇箕達山置延基宮闕造成출처전거東史綱目第九下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거제현령(巨濟縣令)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御容殿直宮闕都監錄事當大闕營構之始▣勤監役者八年乃▣功績薦擧之時相府有不喜者出以涖巨濟縣令在縣三年⁄以大宋紹興七年丁巳歲三月得▣還京▣是年八月二十有九日卒于▣第遂葬于大德山享年六十時子▣▣尙幼未能備送終之具及蹇▣⁄以大宋紹興二十年庚午歲▣月二十有七日火葬于闕東臨江縣生天寺北山之麓禮也출처전거高麗墓誌銘集成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청주정씨 세덕가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천거되어 대호군(大護軍)이 되었다. 충숙왕이 참소를 받아 원元에 억류되어 있을 때, 궁궐도감사(宮闕都監使)가 되어 충숙왕의 내탕內帑이 이미 탕진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가볍게 가져갈 수 있는 재물을 마련하여 연경(燕京)에 보냈다. 충숙왕이 귀환한 후 응양군상호군(鷹揚軍上護...가사유형송축가류 | 소장처이상규 | 시대해방이전
- 추안급국안 : 역적 이괄(李适) 범죄사건 문서(1)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身常謂同志曰早晩淸論若行則戊申以後 功勳皆當削去矣身封君之後循例追贈封爵等事獨 不爲之爲白有去等今朝削勳屺不快於心乎且丁巳年 春特以矣身爲兩西鹽鐵使其時亦有難處之事故矣身 欲避不得黽免察任其時宮闕都監取用海西鑄鐵萬餘 斤因陞一資矣身心以爲不正其時上疏辭之而不行故 反正之初請追改其資事亦爲陳疏爲白有去...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02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주제어사전(1)
-
궁궐도감 / 宮闕都監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궁궐의 창건과 수리를 관장하던 임시관서. 왕권이 강화된 광종 때는 ‘수영궁궐도감’이라 하여 왕실의 권위를 상징하는 대규모의 궁궐축조사업을 주관하였으나, 고려의 문물제도가 완비된 문종 때인 1076년(문종 30) 다시 궁궐도감이라 칭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