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궁”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9,26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7,860)
사전(18,155)
- 芎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R2_D_0008 芎 식물 芎藭 D_01_01_36 대동운부군옥 1권 1장 36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권 1장 3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藭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R2_D_0010 藭 식물 芎藭 D_01_01_38 대동운부군옥 1권 1장 38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권 1장 3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弓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H2_D_0067 弓 무기 彊, 力, 強 D_12_01_13 대동운부군옥 12권 1장 13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1장 1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穹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0_D_0005 穹 학문 기타 高, 竆 D_01_01_35 대동운부군옥 1권 1장 35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권 1장 3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弓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H2_D_0015 弓 무기 木弓, 弧, 軟弧 辰韓 梅月堂 陳壽志, 木綿詞 D_03_01_100 대동운부군옥 3권 1장 100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3권 1장 10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27)
- 조선궁궐의 주거공간 [왕실문화 대중총서 발간 | 고려대학교]저자 : 남호현... | 출판사 : 민속원 | 출판일 : 2016.11.30유형단행본
- 조선 궁중의 노래, 악장 [왕실문화 대중총서 발간 | 고려대학교]저자 : 신경숙... | 출판사 : 민속원 | 출판일 : 2016.11.15유형단행본
- 조선시대 궁중 패션 [왕실문화 대중총서 발간 | 고려대학교]저자 : 박가영 ... | 출판사 : 민속원 | 출판일 : 20170620분야역사 | 유형단행본
- 조선왕실의 궁릉의물 [조선왕조 궁, 릉 의물의 한국적 공예미 탐색 | 한서대학교]저자 : 장경희(한서대학교 문화재보존학과 교수)... | 출판사 : 민속원 | 출판일 : 2013.9.30.분야예술‧체육 | 유형단행본1. 잔칫날, 궁궐의 가례용 의물 (1) 가례란 무엇인가? (2) 즉위식, 조하의식의 의물 (3) 혼례식과 의물 (4) 왕실 잔치와 의물 2. 슬픈 날, 혼전과
- (조선시대 궁중회화 2) 조선 궁궐의 그림 [장서각 왕실문화총서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박정혜(한국학중앙연구원 미술사학과 교수), 윤진영(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2.5.30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1. 궁중 장식화의 세계 (1) 궁궐 실내의 그림 장식 전통 (2) 장엄과 위의 (3) 길상과 장생 (4) 태평과 복락 (5) 동궁과 교육
논문(2)
- 조선시대 궁정 악기 제작기구의 조직과 역할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저자 : 오지혜 | 게재정보 : 이화음악논집
- 신라 宗廟制의 정비와 운영-중국 종묘제의 변천 및 운영 원리와 관련하여- [동아시아 속의 한국고대사 <br>구당서 본기를 기본 텍스트로</br> | 동국대학교]저자 : 박남수 | 게재정보 : 신라사학보
고서·고문서(167,004)
- 달궁달궁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8329 창가 조선동요집 22161 1924 嚴弼鎭 彰文社 吉川文太郞 朴仁煥 四十錢 달궁달궁 〈ad〉橫城〈/ad〉 〈#9〉 셰상 셰상 한아비가 京城[서울] 길을 가다가 栗[밤] 한 말을 사셔 고무다락에 치처 두엇더니 ...구분창가 | 편저자嚴弼鎭
- 彤弓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460 詩經講義 卷二 ITKC_MP_0597A_0460_120_0010 彤弓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권차명詩經講義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角弓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470 詩經講義 卷三 ITKC_MP_0597A_0470_020_0090 角弓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권차명詩經講義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閟宮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470 詩經講義 卷三 ITKC_MP_0597A_0470_110_0050 閟宮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권차명詩經講義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궁금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궁금 최 남자 요녕성(辽宁省) 철령현(铁岭县) 쌍정자공사 4 1 궁금, 안타가움, 못견디여서, 라지오, 형제간, 친척들,...대표표제어궁금 | 성씨최
구술자료(914)
- 걸궁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80-08-15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창군 마리면 | 제보자정쌍조
- 걸궁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보름날이나 연등일에 동네사람들이 모여 풍물을 치고 가장 행렬을 하면서 즐기는데 이것을 ‘걸궁’이라 하며, 이 노래는 그 풍물꾼들의 형용을 묘사한 것이다. *조사일시1980-03-01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창군 북상면 | 제보자정광래
- 걸궁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장소경상남도 거창 | 제보자정쌍조
- 수궁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장소전라북도 익산 | 제보자박갑근
- 용궁사 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자가 용궁사의 유래에 대해 다른 제보자에게서 들은 이야기를 꺼내며 절내부에 살고 있는 뱀에 관해 물었다.*조사일시1982-07-17 | 조사장소경기도 옹진군 영종면 | 제보자강석환
기초학문(200)
- 조선후기 궁방(宮房)의 실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조영준, 게재일 : 200803432 조영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조선후기 궁방(宮房)의 실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유형논문 | 게재일2008
- '汗宮'에서 '皇宮'으로 : 瀋陽 故宮의 文化的 含意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유지원, 게재일 : 200806142 유지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사학회 2008 '汗宮'에서 '皇宮'으로 : 瀋陽 故宮의 文化的 含意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조선 환궁의식(還宮儀式)과 중국 환궁의식(還宮儀式)의 변별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윤아영, 게재일 : 201355864 윤아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국악학회 2013 조선 환궁의식(還宮儀式)과 중국 환궁의식(還宮儀式)의 변별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천문류초의 중궁, 헌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연식, 게재일 : 201419353 정연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조선시대사학회 2014 천문류초의 중궁, 헌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유형논문 | 게재일2014
- 18세기 드레스덴 궁정의 궁정음악과 음악후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성률, 게재일 : 201447737 이성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양음악연구소 2014 18세기 드레스덴 궁정의 궁정음악과 음악후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8,914)
- 請肅宮禁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진회에셔 작일궁대신 리극씨에계 장셔기를 졍부신조직것은 우리나라에 쳐음되일니라 장 미리알슈 업거니와궁부 황명을 츌납곳이라 한마 호령이 발 치란흥망이 달닌고로 갓가이 신하 츙량방졍쟈를야 셩춍을 돕계 것이 대신의 직인 각하계...게재일1907년 6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宮相往返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궁대신 리극씨가 작일 오젼팔시에 경부텰도로 목쳔죠의졍 병호씨 향뎨에 나려가 그회갑잔에 여고 작일 오후구시에 상경얏다더라게재일1907년 6월 26일 | 기사분류잡보
- 宮相閑趣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궁대신 리재극씨 재작일 상오십일시에 동소문밧 손가뎡에 츌왕야 종일토록 소칭고 오칠시에 환귀 얏다더라게재일1907년 5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宮相新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궁부대신 리극씨 슈학원장으로 젼임고 그에 금릉위 박영효씨가 피임되얏더라게재일1907년 7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 宮相奏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금번 황례폐하 상호압실에 그 상호를 의론 등졀은 쟝례원으로 야곰 마련 거 으로 궁부 대신 리윤용씨가 상 쥬야 그로 랍신 쳐분을 봉승얏더라게재일1907년 8월 2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713)
- 18세기 중반 궁궁이[芎藭]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O/X 없음 여지도서 없음 경제_1412_18세기_중반_궁궁이[芎藭] 경제_1412_18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5세기 중반 궁궁이[芎藭]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O/X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경제_453_약재_15세기_중반_궁궁이[芎藭] 경제_50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7세기 중반 궁궁(芎窮)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7세기 중반 O/X 없음 동국여지지 없음 경제_1033_17세기_중반_궁궁(芎窮) 경제_1033_17세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동국여지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953년 7월 20일 남녀 학교 학생들에 의해 진행된 경복궁의 잡초제거와 청소활동을 소개하고 있다.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53년 6월 23일 | 제작공보처
- 궁동 h2-0064_#1 유구 사진87. 26호 석곽묘 h2-0064_1_2015-05-13_9140_사진87. 26호 석곽묘.jpg h2-0064_1 유물 사진88. 토기 h2-0064_1_1_2015-05-13_6923_사진8제목궁동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연구결과보고서(4)
- 조선시대 주거문화를 선도한 궁궐 밖 왕실주택 - 궁가 결과보고서 [조선시대 주거문화를 선도한 궁궐 밖 왕실주택 - 궁가 | 경기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 궁궐 안 사람들의 옷 이야기 결과보고서 [궁궐 안 사람들의 옷 이야기 | 성균관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 조선왕조 궁, 릉 의물의 한국적 공예미 탐색 결과보고서 [조선왕조 궁, 릉 의물의 한국적 공예미 탐색 | 한서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결과보고서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기타자료(1,927)
- 궁동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h2-0064 유구 h2-0064_1_2015-05-06_5494_궁동_표지.jpg 궁동 弓洞 2006 충남대학교박물관 364 이강승,박양진,우재병,이형원,도문선,이형주,이현정,양혜진,동보경 보고서:강태정,국성희,김상숙,조민정,김지연,...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충남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대전광역시
- 금궁륭;今宮隆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3055 남한 경성 경복중학교 소화19년 4월 현재 동창회 회원명부 1944 144면 금궁륭;今宮隆 경성부 종로구 낙원정 246 제19회 1944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복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남궁환;南宮桓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4759 북한 경기 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3-03 松友 제10호 1937―03―03 158면 1. 졸업생 상황(1937년 1월 현재);12)송도고보 제5회(대정13년) 29명 남궁환;南宮桓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남궁인;南宮寅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5056 북한 경기 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3-03 松友 제10호 1937―03―03 165면 1. 졸업생 상황(1937년 1월 현재);17)송도고보 제10회(소화4년) 36명 남궁인;南宮寅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남궁직;南宮稷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7128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23―10―30 102면 남궁직;南宮稷 강원 제8회 1915년 3월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80)
-
조선시대 주거문화를 선도한 궁궐 밖 왕실주택 - 궁가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정정남 | 경기대학교 | 2011 | 국내 | 경기
-
궁궐 안 사람들의 옷 이야기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민주 | 성균관대학교 | 2007 | 국내 | 서울
-
조선왕조 궁, 릉 의물의 한국적 공예미 탐색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장경희 | 한서대학교 | 2007 | 국내 | 충남
-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김건태 | 서울대학교 | 2011 | 국내 | 서울
-
한국 스포츠문화의 원형 ‘활쏘기’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최석규 | 서울대학교 | 2023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1,323)
-
궁 / 弓 [정치·법제/국방]
활. 조선시대 의례와 군사용으로 활이 사용되었다. 화도(畵圖)에 활의 길이가 6척(尺) 6촌(寸)인 것을 상제, 6척(尺) 3촌(寸)인 것을 중제, 6척(尺)인 것을 하제라 하였다.
-
각궁 / 角弓 [과학/과학기술]
조선 말기 고종이 사용하던 활. 중요민속자료 제35호. 고종이 사용하던 어궁(御弓)이라고 전하는 이 활은 당시의 궁장(弓匠) 장문환(張文煥)이 제작하여 진상하였다고 구전된다. 이 활의 전체길이는 124㎝이고, 오금너비는 3㎝인데, 제법은 비록 화피(樺皮) 위에 채화로
-
계궁 / 階窮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정3품 하계 문·무관의 품계. 관리들의 정규적인 진급 상한선이었던 당하관 최고위계이다. 동반은 통훈대부, 서반은 어모장군이 이에 해당한다.
-
국궁 / 國弓 [예술·체육/체육]
활을 쏘아 표적을 맞추어 승부를 겨루는 우리나라의 전통무술. 우리의 역사를 보면 활쏘기[弓術]는 선사시대부터 행하여졌으며, 이는 함경도·충청도·경상도 등 전국 각지에서 출토된 타제석촉이 이를 증명해 준다.중국의 『사기 史記』와 『진서 晋書』·『삼국지 三國志』 등에는
-
궁궐 / 宮闕 [예술·체육/건축]
임금과 그의 가족 및 그들의 생활을 돌보는 사람들이 사는 집. 왕권국가에서 임금의 권력은 절대적인 것으로 궁중의 생활은 그를 중심으로 엄격한 규범 아래 행하여져 왔으며, 생활양식도 가장 세련되고 화려하였다.궁궐이란 용어는 궁(宮)과 궐(闕)의 합성어로서 궁이란 천자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