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굴참나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식물학
- 구황촬요
- 강릉 산계리 굴참나무군
- 경산자인의계정숲
- 서울 신림동 굴참나무
연구성과물(59)
사전(57)
- 굴참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많은 땅에서도 잘 산다. 강원도와 경상남북도에서 특히 많이 자란다. 소나무숲을 잘 침입해서 굴참나무군집으로 바꾸어놓기도 한다. 어려서는 내음성도 높아서 소나무 집단 속에서도 잘 어울려 살다가 소나무 수관을 누르고 굴참나무숲으로 전환시킨다. 상수리나무와...
- 울진의굴참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 수산리에 있는 굴참나무. [내용] 천연기념물 제96호. 높이는 20m에 가슴높이의 줄기둘레가 6m, 동서의 가지 길이는 16m에 달하는 노거목이다. 이 나무의 부근을 흐르는 시내를 왕피천(王避川)이라고...연계항목울진의굴참나무(蔚珍의굴참나무)
- 서울신림동의굴참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에 있는 굴참나무. [내용] 천연기념물 제271호. 높이 17m, 가슴높이의 줄기둘레 2.5m, 가지의 길이는 동서가 19.9m, 남북이 14.7m이다. 나무의 나이는 약 1,000년으로 추정되고 있다...연계항목서울신림동의굴참나무(서울新林洞의굴참나무)
- 안동임동면의굴참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리 굴참나무 경북 안동시 임동면 대곡리에 있는 상수리나무. 천연기념물 제288호. 수령 500년으로 추정되는 노거수이다.연계항목안동임동면의굴참나무(安東臨東面의굴참나무)
- 참나무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참나무를 이르는 말. 진목은 상수리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떡갈나무 등을 통칭해서 부르는 말로 건축물이나 기구 따위를 만드는 데 쓰였다. 白狗皮一張法油一合五夕生苧一兩五錢黃蜜五錢回繩次紅綿絲三兩馬木次眞木二箇橫杠次眞木長六尺三寸廣一寸五分厚一寸四片石磵朱, (상호1902...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2)
- 1913년 안동군 임동면(臨東面) 대곡동(大谷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道)], 금바드래[금수천(錦受川)] 등이 있다. 대곡리에는 ‘대곡리 굴참나무’와 ‘대곡리 바위그림’이 있다. ‘대곡리 굴참나무’는 천연기념물 제288호로 지정되어 있다. ‘대곡리 바위그림’은 대곡리 바드래 마을 어귀에 있으며,...내용분류경제-농/수산업-토지대장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토지대장 | 현소장처안동시청
- 비로봉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구분한다. 정상 부근에는 누운향나무·누운잣나무·누운측백나무 등 누운 나무들과 고채목·만병초·철쭉 등의 관목들이 자란다. 동쪽 경사면에는 굴참나무·상수리나무·서어나무 등이, 서쪽 경사면에는 잣나무·분비나무·가문비나무·황벽나무·산겨릅나무 등 한국 고원지대에서 자라는 북부계...자료명비로봉 | 발행처德田商店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주제어사전(6)
-
굴참나무 / Quercus variabilis BL [과학/식물]
참나무과에 속한 낙엽활엽교목. 높이는 25m, 지름은 1m까지 자란다. 상수리나무와 비슷하지만 줄기에 코르크가 발달하고, 잎의 뒷면에 흰 성모(星毛)가 밀생한 것이 다르다. 꽃은 일가화(一家花)로 한 나무에 암수 두 꽃이 5월에 피어서 그 이듬해 9월에 열매가 익는다.
-
강릉 산계리 굴참나무군 / 江陵山溪里─群 [과학/식물]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 산계리에 소재한 굴참나무 군락. 2005년 7월 19일에 천연기념물 제461호로 지정되었다. 이 굴참나무 군락은 산의 북사면 계곡부 해발 약 240m 정도에 위치하고 있으며, 가슴높이의 둘레가 2m 이상인 개체 약 12주가 모여 있는 숲이다. 군
-
서울 신림동 굴참나무 / ─新林洞─ [과학/식물]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에 있는 굴참나무. 천연기념물 제271호. 높이 17m, 가슴높이의 줄기둘레 2.5m, 가지의 길이는 동서가 19.9m, 남북이 14.7m이다. 나무의 나이는 약 1,000년으로 추정되고 있다. 굴참나무는 참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이며 우리나라
-
고령 안림수 / 高靈 安林藪 [경제·산업/산업]
에 발달하여 있고, 그 길이는 약 600m에 이른다는 기록이 있다. 이 숲을 이루고 있는 수종은 팽나무·느티나무·왕버들·이팝나무·회나무·굴참나무 등인데, 200년생의 노령목이 약 200그루 혼효되어서 자란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
불영사계곡일원 / 佛影寺溪谷一圓 [지리/자연지리]
로 15㎞의 계곡에 물이 흐르고 있다. 절주변일대에는 무성한 굴참나무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고 우거진 숲과 계곡의 폭포 등이 어우러져 하나의 선경(仙境)을 이루고 있어 울진의 소금강(小金剛)이라 일컬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