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군후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
사전(7)
- 군후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규 교과목으로 설치되었다. 그 뒤 다시 1389년(공양왕 1)에 예학ㆍ약학(藥學)ㆍ율학(律學)ㆍ자학(字學)ㆍ역학(譯學) 등 기술학과 함께 10학의 하나로 중시된 병학의 실무교육을 담당하였다. 군후소의 병학은 다른 10학과 마찬가지로 양가의 자제로 하여금 이를...
- 十學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7_D_0089 十學 교육 分隷, 成均館, 典儀寺, 軍侯所, 典法司, 典校寺, 典醫寺, 風水陰陽, 書雲觀, 司譯院, 敎授 恭讓王 百官志 D_18_03_47 대동운부군옥 18권 3장 47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8권 3장 4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훈련원(訓鍊院)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훈련원 훈련원 訓鍊院 무재(武才) 시험, 중군군후소(中軍軍候所), 훈련관(訓鍊觀) 정치군사·국방/편제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태조~고종 윤훈표 태조 고종 [정의] 조선시대 군사의...관련어무재(武才) 시험, 중군군후소(中軍軍候所), 훈련관(訓鍊觀)
- 훈련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6품) 4인, 참군(參軍, 종7품) 4인, 녹사(錄事, 정8품) 6인이었다. 그 가운데 사직과 부사직을 제외하고는 다른 관직과 겸직하였다. 그 뒤 훈련관은 1394년에 중군군후소(中軍軍候所)를 흡수했고, 1405년(태종 5)에는 병조의 속아문(屬衙門)으로 되고,...
- 이학(吏學)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지(百官志)」에 따르면 예학(禮學)은 성균관, 악학(樂學)은 전의시(典儀寺), 병학(兵學)은 군후소(軍候所), 율학(律學)은 전법시(典法寺), 자학(字學)은 전교시(典校寺), 의학(醫學)은 전의시(典醫寺), 풍수음양학(風水陰陽學) 등은 서운관(書雲觀), 이학(吏學)은...상위어십학(十學) | 관련어승문원(承文院), 한이학(漢吏學), 사역원(司譯院)
주제어사전(1)
-
군후소 / 軍候所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병학을 관장하던 관청. 1389년(공양왕 1)에 예학·약학·율학·자학·역학 등 기술학과 함께 10학의 하나로 중시된 병학의 실무교육을 담당하였다. 군후소의 병학은 다른 10학과 마찬가지로 양가의 자제로 하여금 이를 익히게 하였으며, 특히 조선건국 후 행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