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군현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8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0)
사전(157)
- 군현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통일한 진시황제(秦始皇帝)는 전제 권력을 행사하기 위해 전국적으로 군현제를 실시하였다. 그는 전국을 36군으로 나누고, 그 아래에 현을 설치해 각각 군수(郡守)와 현령(縣令)을 파견하였다. 군현제는 한대(漢代)를 거쳐 더욱 보강ㆍ강화되어 중국 지방통치의 근간을...
- 군현제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전국을 몇 개의 행정구역으로 나눠 중앙에서 임명한 지방관을 파견하여 다스리던 중앙집권적 지방행정제도.정의전국을 몇 개의 행정구역으로 나눠 중앙에서 임명한 지방관을 파견하여 다스리던 중앙집권적 지방행정제도.[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gunhyeonje | MR표기kunhyŏnj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구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신라통일기에 9개의 구역으로 편제된 지방 행정 구획. [개설] 신라는 6세기 후반부터 주군현제(州郡縣制)를 실시했고, 삼국통일 이후에는 행정 체계를 중국식으로 바꾸고 9주로 정비하였다. 이는 삼국을 통일한 신라가 확대된 영토와 인구를 재...
- 외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구체적인 실상을 보다 뚜렷이 알려주었다. [변천] 외위제는 군현제(郡縣制)를 통한 지방통치체제의 정비와 삼국통일(三國統一) 과정에서 지방민의 지위가 향상됨과 동시에 경위 수여의 폭이 확대됨으로써 존재의 의의를 상실하게 되었다. 그 결과 674년(문무왕...
- 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최하위의 지방행정구역 단위였던 현(縣)의 종6품직 관직이다. [내용] 1413년(태종 13) 군현제 개편 강화작업의 일환으로 설치하였는데 원래 그 전신은 고려 예종 이후부터 지방에 파견되었던 감무(監務)이다. 지방수령 중...
단행본(1)
- 19세기 지방재정 운영(근대전환기 국가와 민01) [근대전환기의 국가와 민 | 성균관대학교]저자 : 손병규 ... | 출판사 : 경인문화사 | 출판일 : 20180425본서의 주제인 ‘19세기 지방재정’은 ‘다양한 근대’의 실상을 조선왕조의 중앙집권적 통치체제의 전개과정으로부터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집권적 통치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정부의 경제활동은 민의 경제생활에 근거한다. 국가와 민 사이의 권력구도를 결정짓는 조선왕조적 재정의 ...
고서·고문서(20)
- 其在平時,修其城垣,以爲行旅之觀者,宜因其舊,補之以石。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http://db.itkc.or.kr/inLink?DCI=ITKC_MP_0597A_1320_020_0060_2015_029_XML 029 《茶山筆談》云:“南徼沿海之地,其郡縣諸城,無一可修,不足修治。但其崩缺破落,令人悽惻,宜補缺續斷,以爲觀美。若是者,砌石爲垣而已,其甕...권차명牧民心書 卷十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경주 관문성 석각 제1석~제5석 [국내외 출토 한국 고대 역사자료의 총집성과 통합 DB 구축 | 동국대학교], 2002, 『文字로 본 新羅』, 예맥출판사 河日植, 2003, 「新羅 統一期의 貴族私領과 郡縣制-關門城 築城時의 力役編成 事例 分析-」 『東方學志』122. 국립중앙박물관 편, 2011, 『문자, 그 이후 : 한국고대문자전』 김재홍, 2016, 「관문성 축성의 역사적...연대7세기 후반 | 서체해서(고신라풍) | 소재지경상북도 경주시 외동면(外東面) 관문성지 | 자료문의동국대학교 윤선태 교수
- 경주 관문성 석각 제6석~제10석 [국내외 출토 한국 고대 역사자료의 총집성과 통합 DB 구축 | 동국대학교]領과 郡縣制-關門城 築城時의 力役編成 事例 分析-」 『東方學志』122. 국립중앙박물관 편, 2011, 『문자, 그 이후 : 한국고대문자전』 김재홍, 2016, 「관문성 축성의 역사적 배경과 그 기능」 『관문성 기초학술조사 보고서』, 신라문화유산연구원.5연대7세기 후반 | 서체해서(고신라풍) | 소재지경상북도 경주시 외동면(外東面) 관문성지 | 자료문의동국대학교 윤선태 교수
- 위(魏)의 무구검이 고구려를 공격함 [『冊府元龜』 한국 관계 기사 집성 및 역주 | 고려대학교]정착하였다. 수(隋)에는 군현제의 개편으로 현의 직속 상위기관은 주가 되었으며, 그 장관으로 자사를 임명하였다. 당(唐) 또한 이 제도를 모방하였으나, 기능의 변경이 잦았다. 유주(幽州)는 오늘날 중국 허베이성(河北省) 일대에 해당하는 행정구역으로 본 기사의 조위(曹魏...권차『冊府元龜』 卷983 外臣部 征討2 | 연도246년 | 기사해제정시 7년(246), 위의 유주자사 무구검이 고구려와 예맥을 격파하자 한나해 등 수십 개의 나라가 항복한 기록이다.
- 고구려왕이 군사를 보내 현도태수 공손도가 적을 공격하는 일을 도움 [『冊府元龜』 한국 관계 기사 집성 및 역주 | 고려대학교]주부는 군현제가 보편적으로 시행된 한나라의 각급 관아에서 문서행정을 담당하는 관이었다. 고구려는 이러한 한의 제도를 참작하여 주부라는 관을 설치했을 것으로 보기도 한다. 『삼국사기』에는 주부 이외에 대주부가 보이는데, 고구려의 사정에 맞게 더욱 더 분화 발전되었다는 것...권차『冊府元龜』卷973 外臣部 助國討伐 | 연도169년 | 기사해제건녕 2년(169), 고구려의 백고(신대왕)가 현도태수 공손도와 함께 부산적을 정벌하였다는 기록이다.
기초학문(2)
- 통일신라에서 고려로의 군현제 변화와 그 요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갑동, 게재일 : 200311794 김갑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고대사학회 2003 통일신라에서 고려로의 군현제 변화와 그 요인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신라에서 고려로 군현제 구성과 운영체계의 변화 - 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270625 한국연구재단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2 신라에서 고려로 군현제 구성과 운영체계의 변화 - 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유형논문 | 게재일2012
주제어사전(4)
-
군현제 / 郡縣制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지방행정제도. 전국을 몇 개의 행정구획으로 나누고 여기에 중앙에서 임명한 지방관을 파견해 다스리던 중앙집권적 지방행정제도.
-
도로고 / 道路考 [지리/인문지리]
1770년 문신·학자 신경준이 전국의 육로·수로 교통 및 중국·일본과의 교통로를 기록한 지리서.역사지리서. 4권 2책. 필사본. 신경준은 『군현제 郡縣制』·『강계고 疆界考』·『산수고 山水考』·『수차도설 水車圖說』·『차제책 車制策』 등 많은 저서를 남겼는데, 그 중 『
-
고을 / [사회/촌락]
한양(지금의 서울)·고을·마을이라는 3층구조로 짜였다. 이러한 구조는 중앙집권적 전제왕조체제의 통치기반인 군현제도에 의하여 확고하게 다져졌다. 군현제도에서 고을에 부여한 구실은 서울과 각 지방의 향촌을 연결하여, 왕의 통치권이 방방곡곡 가가호호에 미치도록 하는 데 있었
-
현감 / 縣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최하위의 지방행정구역 단위였던 현의 종6품직 관직. 1413년(태종 13) 군현제 개편작업으로 설치하였는데 원래 그 전신은 고려 예종 이후부터 지방에 파견되었던 감무(監務)이다. 감은 동반 정·종6품의 관직명으로 태종 13년 10월에 종래의 감무를 현감(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