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군직청” 에 대한 검색결과 3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

사전(2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 오위(五衛) 관원들의 녹봉을 주기 위하여 설치하였던 관서. [내용] 조선 전기의 군사기구로 중앙의 오위는 임진왜란 이후 오군영(五軍營) 중심체제로 개편되었다. 그러나 제도상 오위나 그 관원은 그대로 남아 있어 대부분 타관(他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그 직청(職廳)을 설치할 수 있었다. 이렇게 설치된 별의 업무 수행은 통솔자인 행수별군직(行首別軍職) 또는 장무관(掌務官)인 지구관(知瞉官)을 중심으로 운용되었다. 그 구성원은 무정액(無定額)의 산직(散職)이었지만 10∼20인 정도를 유지하면서 점차 실직(...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당상무신(堂上武臣), 당하문신(堂下文臣), 당하(堂下) 오위(五衛), 군관(軍官)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후기 오종록 189...
    하위어당상무신군직청(堂上武臣軍職廳), 당하문신군직청(堂下文臣軍職廳), 당하군직청(堂下軍職廳) | 관련어오위(五衛), 군관(軍官)
  • 일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46년(헌종 12)에 별에서 1843년부터 1846년까지 일어난 일과를 일지 형식으로 기록한 책. [내용] 3책. 필사본. 별에서 편집했으며, 표지 제목은 ‘연막일사(蓮幕日史)’로 되어 있다. 별은 효종 때 왕...
  • 오효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등쪽이 모두 닳고 어깨에 상처를 입었다. 효종이 뒤에 8장사를 기념하기 위하여 그들의 그림을 병풍에 그리게 할 때 현종을 업었던 모습을 그리게 하였고, 1656년(효종 7)에 별(別)을 설치하여 그들을 벼슬에 등용하고 자손들에게도 그 벼슬을 세습하게 하였...

고서·고문서(8)

  • 或自政院, 啓請下諭, 改其措語而又爲來呈, 末乃以事例如此爲結, 有若元無所失, 而本院誤爲請推者然, 殊未可曉也。 今此江都試才節目, 兵曹次知啓下矣, 李肇, 若在京, 則付軍職之後, 該吏, 卽將傳納官敎, 節目亦將持示矣, 此豈非該曹分付擧行之事乎? 吏曹則御史啓下之後, 卽爲捧甘於...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或自政院, 啓請下諭, 改其措語而又爲來呈, 末乃以事例如此爲結, 有若元無所失, 而本院誤爲請推者然, 殊未可曉也。 今此江都試才節目, 兵曹次知啓下矣, 李肇, 若在京, 則付軍職之後, 該吏, 卽將傳納官敎, 節目亦將持示矣, 此豈非該曹分付擧行之事乎? 吏曹則御史啓下之後, 卽爲捧甘於...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曾前試才御史, 自吏曹差出, 無實職, 則亦自吏曹, 捧甘於, 使之通告於御史, 本曹則循例付軍職外, 未有知委之規。 蓋御史事面不輕, 與庶官有異, 或自備局, 或自政院, 可以啓請, 下諭催促上來, 而非該曹所可知委者, 今雖有令該曹催促分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 且以久勤?數言之, 近來則別, 不報西銓, 久勤則壯勇衛之新創一?足償其數。 又況上土僉使, 降作久勤?後, 禁旅以下各營將校,必無抑鬱之慮, 而名以新創久勤, 夏政以後, 尙在陳置中, 積薪之歎, 反有甚於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988 B007988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31年 2月 4日_011 ○南致熏啓曰, 卽伏見江都試才御史李肇上疏, 則御史除授之命, 因其知舊傳說而聞之云, 極用駭然。 推問吏曹, 則去月二十一日御史啓下之後, 翌日始付軍職, 吏曹卽爲捧甘於云。 吏曹差出御史之後,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연구과제(1)

  • 조선후기 무관직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정해은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9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5)

  • /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 오위 관원들의 녹봉을 주기 위하여 설치하였던 관서. 임진왜란 이후 오군영 중심체제로 개편되었다. 그러나 제도상 오위나 그 관원은 그대로 남아 있어 대부분 타관으로 겸대하고, 각각 정원 가운데 일부만 남겨 실무는 없으나 녹봉을 지급하기 위한 원록체아직으로 두

  • / 別 [정치·법제/법제·행정]

    1656년 별군직의 집무를 관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서. 별군직은 효종 7년에 가서야 비로소 그 직청을 설치할 수 있었다. 이렇게 설치된 별의 업무 수행은 통솔자인 행수별군직(行首別軍職) 또는 장무관(掌務官)인 구지구관(知瞉官)을 중심으로 운용되었다. 그

  • 군무아문 / 軍務衙門 [역사/근대사]

    갑오개혁 때 설치된 군사에 관한 일을 담당한 중앙행정부서. 군무아문은 그 이전의 병조와 연무공원, 총어영, 통위영, 장위영, 경리청, 호위, 훈련원, , 용호영, 기기국, 선전관청, 수문장, 부장청 등의 관장업무를 포함하여, 전국 육해군정을 통할하는 부서였다.

  • 감대청절목 / 感戴廳節目 [역사/근대사]

    을 청구할 때 일정한 규정에 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감대청의 소임은 왕의 시위(侍衛)나 궁중의 호위이며, 별(別)이라고도 하였다.8장사란 박배원(朴培元)·장애성(張愛聲)·김지웅(金志雄)·신진익(申晉翼)·오효성(吳孝誠)·장사민(張士敏)·박기성(朴起星)·조양(趙

  • 감대청일기 / 感戴廳日記 [역사/조선시대사]

    1790년부터 1895년까지 감대청에서 일상적인 업무를 기록한 일지.관청일기. 56책. 필사본. 별의 유래는 볼모로 가던 봉림대군(鳳林大君)을 심양까지 호종했던 박배원(朴培元)·오효성(吳孝誠) 등 8장사를 중심으로 효종이 즉위한 뒤에 설치한 데서 비롯되었다.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