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군자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8)
사전(32)
- 군자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군자감(軍資監)에 소속된 창고. [내용] 건국 초부터 군자감이 설치되고 유사시에 대비해 중앙의 군수곡(軍需穀)으로 사용될 각 지역의 군자전세(軍資田稅)가 군자창에 수납되어 비축되었다. 즉, 군자창은 군자감의 별창(別倉)으로 ‘군...이칭별칭군자강감(軍資江監)|군자고(軍資庫)
- 군자창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군자감(軍資監)에 소속된 창고.정의조선시대 군자감(軍資監)에 소속된 창고.[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unjachang | MR표기Kunjach’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군자창(軍資倉)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군자창 군자창 軍資倉 군자본감(軍資本監), 군자강감(軍資江監), 강창(江倉), 군자분감(軍資分監), 별창(別倉), 주창(州倉), 읍창(邑倉), 개색(改色), 십일취모법(十一取耗法) 군자감(軍資監) 경제재정/창·늠·고 집단 기구...하위어군자본감(軍資本監), 군자강감(軍資江監), 강창(江倉), 군자분감(軍資分監), 별창(別倉), 주창(州倉), 읍창(邑倉), 개색(改色), 십일취모법(十一取耗法) | 관련어군자감(軍資監)
- 보령읍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적(糶糴)ㆍ전세(田稅)ㆍ대동(大同)ㆍ균세(均稅)ㆍ봉름(俸廩)ㆍ군병(軍兵)ㆍ책판(冊板) 등으로 되어 있다. 특기할 사항은 형승조에 아름다운 경치를 노래한 이경전(李慶全)의 시 8편이 수록되어 있고, 조적조에 군자창(軍資倉)ㆍ상평청(常平廳)ㆍ경리청(經理廳)ㆍ균역청...
- 별창(別倉)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별창 별창 別倉 군자감(軍資監) 창고(倉庫), 의창(義倉), 군자창(軍資倉) 경제재정/창·늠·고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예종~고종 양진석 [정의] 군자감의 별창을 의미하며, 조...상위어군자감(軍資監) | 관련어창고(倉庫), 의창(義倉), 군자창(軍資倉)
고서·고문서(26)
- 군자창전세(軍資倉田稅)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0239 B030239 군자창전세 軍資倉田稅 경제산업 濟州邑誌2 大靜縣誌 四界 糶糴 ... 204]牟田米幷四百五石十三斗六升三合九夕八里三分 會錄移牟五十七名七斗二升六合 營賑倉別會付各穀一千一百六十三石十一斗六升 癸丑牧使李守身 設置私賑廳 別會斥牟田米幷四十一石三斗六升五合 丁...출처전거濟州邑誌2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김녕창(金寧倉)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四百九十一石零牧使金壽翼 啓請賑救飢民庚寅辛卯兩年蕩滌數一萬一千七百五石零壬辰計軍資倉義倉舊陳 九千三百三十七石零因御史李慶億狀啓蕩條壬辰行用各彀數義倉一百四十一石零軍資倉二萬二十五石零金寧倉一千三百五石零明月倉二千五百八十三石零在昔湖南移轉數每年一千石州倉六百石內靈光七十石務安五十五石咸平七十四石...출처전거耽羅志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나진(羅津)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寺私三色婢身貢折半減給代光上每歲末會錄於軍資倉而慶源淸市年則稅錢中五十四兩二錢五分減給代乾大口 ...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고장성(古長城)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5750 B025750 고장성 古長城 군사교통 輿地圖書 咸鏡道 咸鏡南道永興府邑誌 古蹟 ... 池可一丈今已塡廢城南有對山名日甘慱山古有土城自聖歷建築繞山因此有雙城之號焉) 望京樓(舊在客館靑龍頭癸巳年倭寇時棼蕩今廢) 古山倉城(石築五千五十八尺高四尺內有軍資倉今廢傍有澗谿冷冷不渴四山環...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다대포(多大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9051 B039051 다대포 多大浦 군사교통 輿地圖書 慶尙道 南海 田稅 ... 味浦泰安西斤浦保寧蘭芝島京畿道富平水就島江華角古之浦鷲尾亭寶床江乫頭麻浦龍山至二十五日程而海運異於陸路遇風則去無風則止留滯累日不可一一計程故無限日以達于京納于軍資倉及宣惠廳米參拾參石伍斗四稅一時收捧海船裝載...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군자창 / 軍資倉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군자감에 소속된 창고. 실제로 창고가 설치된 것은 1410년(태종 10)이었다. 이 때 승도들을 동원해 한강 연안의 서강(西江)에 수십 칸의 창사를 지었다. 군자창에 비축된 양곡은 대체로 50만석 정도를 유지했으나 16세기 후반인 명종·선조 때에 극도로 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