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군산시” 에 대한 검색결과 60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76)

사전(104)

  • (전라북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북위 35°44′∼36°03′에 위치한다. 면적은 390.13㎢이고, 인구는 26만 3,845명(2008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1개 읍, 10개 면, 16개 동, 336개 리가 있다. 시청은 전라북도 조촌동에 있다. [자연환경] 이 시는...
  • 임피현읍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편찬연대 미상의 전라도 임피현(지금의 임피면) 읍지. [내용] 1책. 필사본. 내용이 조선 정조 연간의 것이므로 그 이후에 편찬된 것으로 보인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구성은 건치연혁(建置沿革)ㆍ군명(郡名)ㆍ관직(官職...
  • 선유도패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전라북도 옥도면 선유도리의 선유도에 있는 조개더미 유적. [내용] 서남해안지방에서 발견, 조사된 빗살무늬토기유적의 수는 매우 적으며, 그나마 그 연대도 대부분 신석기시대 말기에 속하는 것이다. 선유도패총도 신석...
  • 옥구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전라북도 의 군산화물역과 옥구역 사이에 부설된 철도. [개설] 군산화물선의 지선으로 전국철도현황에 기록되어 있으나 현재는 영업을 중지한 노선이다. 노선의 총연장 11.6km이다. [형...
  • 옥구현읍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95년에 편찬된 것으로 보이는 전라도 옥구현(지금의 ) 읍지. [내용] 1책. 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구성은 방리(坊里)ㆍ건치연혁(建置沿革)ㆍ군명(郡名)ㆍ성지(城池)ㆍ관직(官職)ㆍ산천...

고서·고문서(368)

  • 3803 P-SDK-03803-P-E-07-04 P-SDK-03803-P-E-07-04-1 P-SDK-03803-P-E-07-04-2 가와 메이지거리 街明治町通 街.榮町 회엽서 군산부 봉투 있음. 8매 세트. 사제엽서 ...
    자료명군산시가와 메이지거리 | 발행처群山府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우리 김 남자 전라북도 길림성(吉林省) 길림시(吉林市) 교하현(蛟河县) 남강자향 선풍대대 3 2 우리,...
    대표표제어우리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우리집에주소 박 여자 전라북도 길림성(吉林省) 혼강시(浑江市) 민족여관 1 1 우리집에주소, 전라북도, ...
    대표표제어우리집에주소 | 성씨
  • 1852년 고유승(高有昇) 소지(所志)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가 문서 왼편 아래 여백에 씌어져 있었는데 이것이 자신이 돌려받은 문서에 없었던 것이다. 이에 다시 소지를 올려 처분내용을 다시 써줄 것을 청하였다. 고유승이 살았던 임피현 갈운리는 오늘날 임피면 월하리에 해당하는 지역이...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군산근대역사박물관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생전 김 남자 전라북도 길림성(吉林省) 안도현(安圖县) 명월진(明月镇) 신안 3 2 생전, 김씨, 중국...
    대표표제어생전 | 성씨

구술자료(31)

  • 07_041 전북 전라북도 전라북도 _오호타령 오호타령 탑동 지심노래 전라북도 대야면 죽산리 탑동 1984.가을 素84-23② (메): 고판덕 (받): 조석준, 고종영, 고종태, 고종수 고판덕(1900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방게류 멕받형
    녹음지역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탑동 | 녹음날짜1984.가을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07_042 전북 전라북도 전라북도 _만경산 타령 만경산 타령 탑동 지심노래 전라북도 대야면 죽산리 탑동 1984.가을 素84-23② (메): 고판덕 (받): 조석준, 고종영, 고종태, 고종수 고판덕(1900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긴 산
    녹음지역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탑동 | 녹음날짜1984.가을 | 가창방식멕받형 (선후창) (*메김구와의 사이에 연결구인 “아하 아,”가 있으며 이를 메김소리꾼과 함께 제창한다)
  • 07_043 전북 전라북도 전라북도 _자진 산타령 자진 산타령 탑동 지심노래 전라북도 대야면 죽산리 탑동 1984.가을 素84-23② (메): 고판덕 (받): 조석준, 고종영, 고종태, 고종수 고판덕(1900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산아지
    녹음지역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탑동 | 녹음날짜1984.가을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메김구와의 사이에 연결구인 “아하 아,”가 있으며 이를 메김소리꾼과 함께 제창한다)
  • 07_044 전북 전라북도 전라북도 _에이싸오 에이싸오 에염싸는 소리 전라북도 대야면 죽산리 탑동 1984.가을 素84-23② (메): 고판덕 (받): 조석준, 고종영, 고종태, 고종수 고판덕(1900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싸호 류 멕받
    녹음지역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탑동 | 녹음날짜1984.가을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07_045 전북 전라북도 전라북도 _위야차 소리 위야차 소리 맺는 소리 전라북도 대야면 죽산리 탑동 1984.가을 素84-23②A (메): 고판덕 (받): 조석준, 고종영, 고종태, 고종수 고판덕(1900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A: 위
    녹음지역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탑동 | 녹음날짜1984.가을 | 가창방식A: 멕받형 (선후창) B: 복창 C: 선입후 제창

신문·잡지(6)

기타자료(67)

  • 교육비특별회계설치조례제정공포(제141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비특별회계설치조례제정공포(제141호) 교육비특별회계설치조례제정공포(제141호) 교육 문헌 교육재정 지방교육재정 교육법령
    범주1교육재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전라북도 군산시 총무국 총무과장 | 사료철명조례
  • 교육비특별회계소관관사관리규정제정(제17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비특별회계소관관사관리규정제정(제17호) 교육비특별회계소관관사관리규정제정(제17호) 교육 문헌 교육재정 지방교육재정 교육법령
    범주1교육재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군산시교육장 문동순 | 사료철명조례규칙공포원본
  • 교육비특별회계재무회계규칙개정공포(규칙제49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비특별회계재무회계규칙개정공포(규칙제49호) 교육비특별회계재무회계규칙개정공포(규칙제49호) 교육 문헌 교육재정 지방교육재정 교육법령
    범주1교육재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군산시교육장 오광근 | 사료철명조례규칙
  • 교육비특별회계재무회계규칙개정공포(규칙제51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비특별회계재무회계규칙개정공포(규칙제51호) 교육비특별회계재무회계규칙개정공포(규칙제51호) 교육 문헌 교육재정 지방교육재정 교육법령
    범주1교육재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군산시교육장 | 사료철명조례규칙
  • 교육비특별회계재무회계규칙개정공포(제16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비특별회계재무회계규칙개정공포(제16호) 교육비특별회계재무회계규칙개정공포(제16호) 교육 문헌 교육재정 지방교육재정 교육법령
    범주1교육재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군산시교육장 문동순 | 사료철명조례규칙공포원본

주제어사전(33)

  • / [지리/인문지리]

    395.82㎢이고, 인구는 27만 8398명(2015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1개 읍, 10개 면, 16개 행정동(52개 법정동), 337개 행정리(76개 법정리)가 있다. 시청은 전라북도 조촌동에 있다.

  • 고군산군도 / 古群山群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옥도면에 속하는 군도. 의 서남쪽 약 50㎞ 해상에 위치하며, 옥도면에 소속되어 있는 군도(群島)이다. 선유도(仙遊島)를 비롯하여 야미도(夜味島)·신시도(新侍島)·무녀도(巫女島)·관리도(串里島)·장자도(壯子島)·대장도(大長島)·횡경도(橫境島)·소

  • 비안도 / 飛雁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옥도면 비안도리에 있는 섬. 고려 말부터 귀양지로 정착하였으나, 조선 중기부터는 어업을 생업으로 하는 집단촌락을 형성하였다. 본래 전라남도 지도군 고군산면 소속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전라북도 옥구군에 편입되었다. 1995년에 옥구군과

  • 선유도해수욕장 / 仙遊島海水浴場 [지리/인문지리]

    전라북도 옥도면 선유도리에 있는 해수욕장. 에서 서쪽으로 43㎞ 해상에 있는 고군산군도의 한 섬인 선유도에 있다. 군산 연안여객선 터미널에서 매일 여객선이 운항되고 있으며, 최근 신시도까지 약 16㎞의 도로가 개통되어 접근성이 용이해졌다. 는 선유도

  • 국도26호선 / 國道26號線 [경제·산업/교통]

    전라북도 옥구읍에서 대구광역시 서구에 이르는 일반 국도. 군산∼대구선이라고도 한다. 전라북도 군산공항 인근을 기점으로 전라북도 북부 지역(익산, 전주, 완주, 진안, 장수)를 거쳐 경상남도 서북부 산악 지역(함양, 거창, 합천)과 경상북도 고령을 지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