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군사혁명위원회” 에 대한 검색결과 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

사전(6)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961년 5월 16일 쿠데타를 주도한 박정희(朴正熙, 1917-1979) 등이 서울을 장악한 후 구성한 최고권력기구로서 동년 5월 18일 국가재건최고회의로 개칭.
    정의1961년 5월 16일 쿠데타를 주도한 박정희(朴正熙, 1917-1979) 등이 서울을 장악한 후 구성한 최고권력기구로서 동년 5월 18일 국가재건최고회의로 개칭.[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Gunsa Hyeongmyeong Wiwonhoe | MR표기Kunsa Hyŏngmyŏng Wiwŏnho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국가재건최고회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5‧16군사정변 주체세력이 입법‧사법‧행정의 3권을 행사하였던 과도기의 국가최고통치의결기구. [개설] 1961년 5월 16일 군사정변으로 정권을 장악한 박정희 소장 중심의 주체세력은 를 구성하고, 입법‧사법‧행정...
  • 국가재건최고회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5‧16군사정변 직후 혁명주체 세력이 입법‧사법‧행정의 3권을 행사하였던 국가최고통치의결기관. [내용] 1961년 5‧16군사정변으로 정권을 장악한 군은 를 조직하고, 입법‧사법‧행정의 3권을 완전히 장악하여 국회와 지방의회...
  • 집회및시위에관한법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회와 시위의 신고제를 실시하였고, 1961년 9월에는 <집회에 관한 임시조치법>이 제정되어 당시의 포고와 국가재건최고회의포고 중 집회‧시위에 관한 사항을 법령화하였다. 이때에는 모든 집회를 금지하되 체육‧오락‧이재민구호‧재건국민운동 등 비정치적 목적...
  • 지방의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총선거가 실시되면서부터였는데, 그것도 3기의 지방의회를 구성, 운영하다가 1961년 5월의 군사혁명 이후 <포고> 제4호로 해산되기에 이르렀다. 이후 지방의회의 의결을 요하는 사항의 처리는 <지방의회의 의결사항처리의 건>에 의하여, 그 뒤에는 <지방...

구술자료(1)

  • 강현두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 국무성, 국제대학(서경대학교), 국제방송, 군사위원회(), Northwest Airline, WGBH-TV, 동아일보, 동양방송, 모란봉 극장, 문공부, 문리대, 문리대 신문, 미국의 소리, 미시간 대학(The University of Michigan)
    구술자강현두 | 직업서울대 명예교수 | 지역경기도

신문·잡지(8)

  • 제3장 의욕 넘치는 일꾼들 외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19) 1961-62년 각종 법안 제정 관련 제3장 의욕 넘치는 일꾼들 외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87년 김윤근 『해병대와 5.16』(서울:범조사)(pp.93-162) 회고/전기 70 이 글은 “”에 소속되어있던 해...
    대표표제어제3장 의욕 넘치는 일꾼들 외 | 자료유형회고/전기 | 집필자김윤근 | 출처『해병대와 5.16』(서울:범조사)(pp.93-162) | 키워드군사혁명위원회, 5·16, 기획관리제도, 중앙정보부, 김윤근, 경제관계법
  • ·16의 계획 단계에서부터 최고회의에서 물러날 때까지의 상황을 상세히 설명한 글임. 유원식은 “”의 핵심적인 인물이었음. 그는 특히나 경제개발5개년계획에 집중했다고 함. 경제개발5개년계획에는 외자도입과 내자도입이 모두 필요했는데, 이 중 외자도입은 서독과...
    대표표제어5.16혁명 | 자료유형회고/전기 | 집필자유원식 | 출처『5.16비록:혁명은 어디로 갔나』(인물연구소, 1987)(pp.267-342) | 키워드유원식, 군사혁명위원회, 경제개발5개년계획, 국민저축운동, 화폐개혁, 버거
  • 국가안정은 군정연장이어야 하나?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있음. 5ㆍ16 군사혁명의 의의를 설명하는 중요한 文狀(문장)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것만을 들면 5ㆍ16 군사혁명과 동시에 의장의 이름으로 발표된 포고문이라고 주장함. 즉 “군부가 궐기한 것은 부패하고 무능한 현 정권과 기성정치...
    대표표제어국가안정은 군정연장이어야 하나? | 자료유형평론 | 집필자부완혁 | 출처사상계 11,11(pp.120-129) | 키워드시국수습, 군정연장, 민정이양, 혁명정신, 박정희 의장, 군사정권
  • 01 림상준 함남시중앙성3구 210번지 함남인민보사 손중산 중국인민 중화민국 35년에 남경 국민정부는 미국정부의 방조 하에 인민의 의사를 배반하고 정전협정 및 정치협상회의의 결의를 파기하고 중국 공산당을 반대한다는 명목 아래...
    대표표제어함남인민보_1949_0430_08 | 책임주필림상준
  • 101 손중산 중국공산당, 중국인민, 인민해방군, 남경국민당 중화민국 35년에 남경국민정부는 미국 정부의 방조 하에 인민의 의사를 배반하고 정전협정 및 정치협상회의의 결의를 파기하고 중국공산당을 반대한다는 명목 아래 중국 인민 및 중국...
    대표표제어함남인민보_1949_0430_05

멀티미디어(1)

  • 국가재건최고회의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는 제2차 의를 열어 의 명칭을 국가재건최고회의로 개칭했다. 또한 최고회의의장 장도영은 혁명 이후 처음으로 내외신 기자들과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기자회견에서 장도영은 최고회의의 입장을 전달했다.
    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61년 5월 27일 | 제작공보처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정치]

    1961년 5월 16일 새벽 5시, 반란군이 서울을 장악한 직후 쿠데타 주도세력이 구성한 최고권력기구. 의장에 당시 육군참모총장이던 장도영, 부의장에 쿠데타의 실질적 지도자인 박정희가 선임되었다. 는 <행정, 입법, 사법의 3권을 완전히 장악했다>는 성명

  • 국가재건최고회의 / 國家再建最高會議 [정치·법제/정치]

    5.16군사쿠데타 직후 주체세력이 권력을 장악하기 위해 설치한 국가 최고권력기관. 처음에는 로 발족했으나, 5월 18일 국가재건최고회의로 개칭되었고, 6월 6일 국가재건비상조치법이 공포됨으로써 최고권력기구로서의 법적 뒷받침을 얻게 되었다. 1963년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