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군사놀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10)
- 군사놀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두 패로 나뉜 소년들이 각각 진지를 정하여놓고 상대편의 군사를 잡아오는 놀이. [내용] 전쟁하는 모습을 흉내낸 놀이로 ‘병정놀이’라고도 하며, 달밤에 주로 한다. 놀이방법은 소년들이 동서의 두 패로 나뉘어 서로 손을 잡은 채 한 줄로 늘...이칭별칭병정놀이
- 화순한천농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농악과는 달리 판굿 첫부분에 하지 않고 가림새 사이사이에 하는 점, 판굿에 점호굿(상쇠가 쇠채를 좌우로 흔들면서 쇠꾼 하나 하나를 확인함)이라 할 수 있는 새조시와 북두칠성 등 사방의 칠성을 상징하는 이십팔수 쇠가락이 있는 점이 특징이다. 그리고 군사놀이인 도둑...연계항목화순한천농악(和順寒泉農樂)
- 유희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뛰기노래>‧<연노래> 등이 있다. <강강수월래>와 <쾌지나칭칭나네>와 같은 원무(圓舞)나 <놋다리밟기> 또는 <기와밟기> 등은 춤의 장단을 맞추기 위한 무용유희요이다. 기구사용이나 승부의 여부를 막론하고 언어로써 꾸며지는 놀이의 민요로는 <군사놀이요>‧<대문놀이...
- 진주삼천포농악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비교 진주삼천포농악_1.jpg 위의 도표을 통해 진주와 삼천포 두 지역 상쇠가 보유한 12차 판굿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 수가 있다. 두 지역의 공통된 내용은 차수가 12차까지로 일관되게 구성되어 있다는 점과 군사놀이, 진풀이, 법구놀이 등 판굿의 짜임과 성격이 비...대분류농악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장난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군사놀이 등의 놀이에서 갖고 논다. 이들 놀이 가운데 장난감이 소용되지 않은 것도 있으나, 대부분 아주 단순하고 간단한 장난감을 필요로 한다. 고누‧돌치기‧땅재먹기‧깡통차기 등이 그러한 놀이인데, 주위에서 구할 수 있는 자연물이나 사금파리와 헌깡통 같은 폐품을 이용하여...
주제어사전(2)
-
군사놀이 / 軍士─ [생활/민속]
두 패로 나뉜 소년들이 각각 진지를 정하여놓고 상대편의 군사를 잡아오는 놀이. 전쟁하는 모습을 흉내낸 놀이로 ‘병정놀이’라고도 하며, 달밤에 주로 한다. 놀이방법은 소년들이 동서의 두 패로 나뉘어 서로 손을 잡은 채 한 줄로 늘어선다. 먼저, 동쪽 패들이 “어디 군사냐
-
유희요 / 遊戱謠 [문학/구비문학]
「쾌지나칭칭나네」와 같은 원무(圓舞)나 「놋다리밟기」 또는 「기와밟기」 등은 춤의 장단을 맞추기 위한 무용유희요이다. 기구사용이나 승부의 여부를 막론하고 언어로써 꾸며지는 놀이의 민요로는 「군사놀이요」·「대문놀이요」·「거북놀이요」·「달구잡이요」·「순라잡기요」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