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군부인” 에 대한 검색결과 29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84)

사전(13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외명부인 종친처(宗親妻)에게 내린 정ㆍ종1품 작호(爵號). [내용] 종친인 정1품의 현록대부(顯祿大夫)ㆍ흥록대부(興祿大夫)의 적처와 종1품의 소덕대부(昭德大夫)ㆍ가덕대부(嘉德大夫)의 적처를 봉작하여 통칭한 것이다. ...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주나라 왕실의 세 여자[주실삼모]와 읍강선후, 명덕마황후, 장손황후와 함께 향낭의 혼례식에 참석한다. 마왕이 쳐들어와 결국 청려를 포위하고조마왕 인 공공 과 환두 가 향낭을 끌어가려 하자 꾸짖어 쫓아낸다. 상황이 어려움을 보고탄식한다. 마군이 불을 놓아 사방이 불...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황릉묘의여신이다. 옥중 춘향이 꿈 속에서 황릉묘에 들어갔다가 만나게 된다. 원래 순임금의 비(妃)로, 순임금이 남순(南巡) 중에 창오산에서 죽자, 소상강 가의 대나무에 피눈물을 뿌려 반죽을 이루게 하고 죽었던 원한에 대해 하소연하며 춘향이를 위로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향낭의 혼인 잔치에 하객으로 참석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군주의 부인을 일컫는 존칭(尊稱).
    정의군주의 부인을 일컫는 존칭(尊稱).[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unbuin | MR표기kunbui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단행본(1)

  • 숙종대왕 자료집 4 - 비지, 망단, 제문 -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이태희, 이남옥, 성인근, 박용만 한국학중앙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50920
    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연령군신도비 延齡君神道碑 명빈박씨치제문 ?嬪朴氏致祭文 명빈사우견내시치제문 ?嬪祠宇遣內侍致祭文 연령군상산견근시치제문 延齡君商山遣近侍致祭文 연령군묘견승지치제문 延齡君墓遣承旨致祭

고서·고문서(137)

  • 춘절의복 발기(春節衣服件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발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발기
  • 1906년 가례시 의복 발기(嘉禮時 衣服件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발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발기
  • 계사년 삼간택교시 발기(三揀擇敎時件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발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발기
  • 代平原密札謝如姬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610 與猶堂全書補遺○眞珠船 ITKC_MP_0597A_1610_000_0950 代平原密札謝如姬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眞珠船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1543년 월성(月城) 최씨(崔氏) 입안(立案)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543년(중종38) 경주부(慶州府)에서 졸 월성군(月城君)부인 최씨(崔氏)에게 내려준 노비 매입 사실에 대한 공증문서이다. 같은 해 4월 28일에 최씨는 향리(鄕吏) 정부(鄭富)의 처 철비(哲非)로부터 여자종 1명을 사들이고, 이때에 이르러 관에...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입안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입안 | 현소장처경주 양동 경주손씨 서백당

신문·잡지(7)

  • 대장 김명졔씨가 어졔 병뎡을 거나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대장 김명졔씨가 어졔 병뎡을 거나리고 신을 가지고 궐로 들어 갓다더라
    게재일1898년 12월 2일 | 기사분류잡보
  • 勳章授與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황귀비던하와 의친왕 △△원 김씨에게 셔봉대슈훈쟝을 하압시고 의친왕 뎐하대훈위 금쳑대슈훈쟝을 나리압셧더라
    게재일1906년 4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 封王과封妣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고 흥션대원군을 대원왕으로 츄슝다말은 작일에 긔얏거니와 려흥부대부인으로 왕비 츄봉일과 고 완화군으로 왕을 츄봉일과 연원으로 왕비 봉라시 죠칙이 나리신지라 졔반의졀을 쟝례원으로야금 마련로 궁부에셔 쥬본을들여 하되얏더라
    게재일1907년 9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官制釐正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고 농상공부 폐지야 탁지부에 붓치여 농무국을 셜시하고 법부쥬 이십명을 십명으로 감하고 원은 다소간 감하고 기외에 각사다 폐지하야 소속관쳥국과에 합병하고 경셩에잇난 각군 셜령 인원이 쥴더도 보츙하지 이하고 의졍부에 특이 경리원을 셜시하고 젼국십삼도...
    게재일1904년 12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判-<職員を增員せしめよ>批判 윤석중, 권갑중, 이기명, 서세갑, 강창인 장기창, 김병호, 안배항, 나지강, 정자현, 佐伯悅次郞, 八尋生男, 秋山昌平 94 95쪽까지 批判-<朝鮮の市を改善せよ>批判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0

기타자료(9)

  • 요서군왕 고문간의 처를 요서으로 봉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요서군왕 고문간의 처를 요서으로 봉하다. 교류담당 719년(己未/ 신라 聖德王18/ 발해 武王 仁安1/ 현종 開元7/ 元正 養老3) 발해 돌궐(...
    대표표제어요서군왕 고문간의 처를 요서군부인으로 봉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19년(己未/ 신라 聖德王18/ 발해 武王 仁安1/ 현종 開元7/ 元正 養老3)
  • 요서군왕 고문간의 처를 요서으로 봉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요서군왕 고문간의 처를 요서으로 봉하다. 교역물품 719년(己未/신라 성덕왕 18/발해 무왕 仁安 1/唐 玄宗 開元 7/日本 元正天皇 養老 3) 발...
    대표표제어요서군왕 고문간의 처를 요서군부인으로 봉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19년(己未/신라 성덕왕 18/발해 무왕 仁安 1/唐 玄宗 開元 7/日本 元正天皇 養老 3)
  • 고려가 후당의 연호를 시행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으며, 일력(日曆)·은기(銀器)·필단(匹段) 필단(匹段) : 비단을 말한다. 을 보내었으며, 조(詔)하여 비(妃) 유씨(柳氏)를 봉하여 하동(河東)으로 삼았다. 또 삼군(三軍)의 장수와 이졸(吏卒)에게 조하여 왕을 책봉한다는 뚯을 효유하였다. 드디어 역서(曆...
    대표표제어고려가 후당의 연호를 시행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933년(癸巳/신라 경순왕 7/후백제 견훤 34/고려 태조 16, 天授 16/後唐 長興 4/日本 承平 3)
  • 후당이 고려에 사신을 보내어 왕건을 책봉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였다. (󰡔五代會要󰡕 30 高麗) 【번역】 (장흥 3년) 가을 7월 무자일(6)에 정아(正衙)에서 사신에게 명해 고려국왕 왕건을 책봉하였다. (󰡔舊五代史󰡕 43 唐書 19 明宗紀 9) 【번역】 (장흥 3년) 7월에 또 그 처 유씨(柳氏)를 하동(河東)...
    대표표제어후당이 고려에 사신을 보내어 왕건을 책봉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932년(壬辰/신라 경순왕 6/후백제 견훤 33/고려 태조 15 天授 15/後唐 長興 3/日本 承平 2)
  • 933년 후당 명종이 고려 왕비 유씨에게 내린 조서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足顯鵲巢之美 俾頒湯沐 以慶絲蘿 永光輔佐之功 式協優隆之命 諒卿誠素 知我渥恩 卿妻柳氏 今封河東 ( 『高麗史』 2 世家 2 太祖 16年 3月) 【해석】 (또 詔書에서 말하였다.) “그대는 동방[長淮]의 大族으로 큰 바다 너머 웅대한 번국[雄蕃]에서 文武의 재주로 그...
    대표표제어933년 후당 명종이 고려 왕비 유씨에게 내린 조서 | 주제분류외교문서

주제어사전(7)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외명부인 종친처에게 내린 정·종1품 작호. 종친인 정1품의 현록대부·흥록대부의 적처와 종1품의 소덕대부·가덕대부의 적처를 봉작하여 통칭한 것이다. 은 고려 공양왕 때 대군과 군의 처를 구별 없이 옹주라 칭하였다가, 조선 초기에 대군의 처를 옹주, 군의

  • 부부인 / 府夫人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외명부인 왕비모와 종친처에게 내린 정1품 작호. 왕비의 친정어머니와 종친인 대에게 주던 작호로 품계는 정1품이다. 왕비어머니의 봉작은 중국의 송나라 외명부제도에서 황후와 왕비의 어머니를 각각 국태부인(國太夫人)과 군태부인(郡太夫人)에 봉한 것에서 시작

  • 연잉군준호구 / 延礽君准戶口 [정치·법제]

    1714년(숙종 40) 한성부에서 연잉군(延礽君)에게 1714년에 작성한 호구장적에 의거하여 발급한 준호구. 한성부인 3과와 주협무개인이 날인되어 있다. 당시 북부 의통방 연추문계 제7통 제5호에 거주하고 있던 연잉군의 사조, 처 달성 서씨의 사조 그리고 솔거노

  • 연잉군호구단자 / 延礽君戶口單子 [정치·법제]

    1714년(숙종 40) 연잉군이 한성부에 제출한 호구단자. 당시 연잉군은 오위도총부 도총관으로 21세임을 기재하였다. 그리고 주거지와 사조, 처 달성 서씨의 사조를 기록하였고, 하단에 따로 솔거노비를 기록한 부분에는 종이를 부착해서 수정한 부분이 있다.

  • 이달충 / 李達衷 [문학/한문학]

    고려후기 『제정집』을 저술한 유학자.문신. 증조는 문하평리(門下評理)이핵(李翮), 할아버지는 밀직부사 이세기(李世基), 아버지는 첨의참리(僉議參理) 이천(李蒨), 어머니는 연창박씨(延昌朴氏)이다. 1326년(충숙왕 13) 충숙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