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군무아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6)
사전(42)
- 군무아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학무‧공무‧군무‧농상 등 8아문을 설치한 아문관제에 따라 7월 20일부터 직무를 관장함으로써 군무아문이 발족되었다. 군무아문은 그 이전의 병조와 연무공원(鍊武公院)‧총어영(摠禦營)‧통위영(統衛營)‧장위영(壯衛營)‧경리청(經理廳)‧호위청(扈衛廳)‧훈련원(訓鍊院)...이칭별칭군부
- 군무아문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894년 설치하여 군사 행정을 담당한 중앙 행정 기구.정의1894년 설치하여 군사 행정을 담당한 중앙 행정 기구.[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Gunmu Amun | MR표기Kunmu Amu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군무아문(軍務衙門)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군무아문 군무아문 軍務衙門 총무국(總務局), 친위국(親衛局), 진방국(鎭防局), 해군국(海軍局), 의무국(醫務局), 군수국(軍需局), 회계국(會計局) 군부(軍部), 병조(兵曹), 선무조례(選武條例), 외국인(外國人) 고문관(顧問官),...하위어총무국(總務局), 친위국(親衛局), 진방국(鎭防局), 해군국(海軍局), 의무국(醫務局), 군수국(軍需局), 회계국(會計局) | 관련어군부(軍部), 병조(兵曹), 선무조례(選武條例), 외국인(外國人) 고문관(顧問官), 순무영(巡撫營), 군부(軍部), 군무아문관제(軍務衙門官制), 갑오개혁(甲午改革), 순무영(巡撫營), 친위영(親衛營), 갑오개혁(甲午改革) 팔아문(八衙門), 총어영(摠禦營), 통위영(統衛營), 장위영(壯衛營), 경리청(經理廳), 기기국(機器局), 연무공원(鍊武公院)
- 마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역마 27필을 차출하며 사복시(司僕寺)의 것과 더불어 배정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마색은 대체로 군사에 직접 관계 있는 사항보다는 국왕이나 관료의 의위와 교통관계에 대한 것을 주업무로 하는 관청이었다. 1894년(고종 31)에 군무아문(軍務衙門)이 설치되면서...
- 군수국(軍需局)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군수국 군수국 軍需局 군무아문(軍務衙門) 군무국(軍務局) 군사과(軍事課) 군무아문(軍務衙門) 총무국(總務局), 친위국(親衛局), 진방국(鎭防局), 해군국(海軍局), 의무국(醫務局), 회계국(會計局)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상위어군무아문(軍務衙門) | 동의어군무국(軍務局) 군사과(軍事課) | 관련어군무아문(軍務衙門) 총무국(總務局), 친위국(親衛局), 진방국(鎭防局), 해군국(海軍局), 의무국(醫務局), 회계국(會計局)
고서·고문서(3)
- 대정현감(大靜縣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邊竄逐, 請還收前正言安塾大靜縣監特除之命。 同上 近者西北兩驛之曠官, 或過半年, 或至數月, 其問官事之無以收拾, 固不暇言, 而新官人馬遠來留滯之弊, 亦極可慮, 致有大臣之陳達, 自上特下擇送之敎, 則新差之人, 雖係軍務衙門緊關之任, 不可不仍爲差送, 以救一時之弊, 況啓請仍任之官, 旣...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대정현감(大靜縣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邊竄逐, 請還收前正言安塾大靜縣監特除之命。 同上 近者西北兩驛之曠官, 或過半年, 或至數月, 其問官事之無以收拾, 固不暇言, 而新官人馬遠來留滯之弊, 亦極可慮, 致有大臣之陳達, 自上特下擇送之敎, 則新差之人, 雖係軍務衙門緊關之任, 不可不仍爲差送, 以救一時之弊, 況啓請仍任之官, 旣...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메주값(燻造價)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비추어 정직한 것으로 인정한다. 이에 대하여 원고의 진술[所供]은, “지난 해 음력 4월경에 전(前) 시위2대대(侍衛二大隊) 시위대(侍衛隊): 조선 말기의 국왕 호위 부대. 1894년(고종 31) 갑오경장의 일환으로 일제의 간섭 아래 종래의 여러 군문(軍門)을 군무아문...재판기관한성재판소(漢城裁判所) | 판결일자3062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기타자료(1)
- 32. 대한제국의 군부 폐지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군부 및 무관학교를 폐지하고 다른 한편으로 친위부를 신설할 것을 명하는 내용입니다. 대한제국에서 군대가 해산된 뒤로 군부와 무관학교가 폐지될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습니다. 군무아문secrétariat d'Etat과 전문적인 사관 양성을 위한 학교의 존재 이유가 사라졌기...집필자J. 블랭,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작성연도1913년 | 작성월일8월 03일 | 발신자J. 블랭,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수신자S. 피숑, 프랑스 외무부장관
주제어사전(4)
-
군무아문 / 軍務衙門 [역사/근대사]
갑오개혁 때 설치된 군사에 관한 일을 담당한 중앙행정부서. 군무아문은 그 이전의 병조와 연무공원, 총어영, 통위영, 장위영, 경리청, 호위, 훈련원, 군직청, 용호영, 기기국, 선전관청, 수문장, 부장청 등의 관장업무를 포함하여, 전국 육해군정을 통할하는 부서였다.
-
군부 / 軍部 [역사/근대사]
갑오개혁 이후 군사 행정을 관장하던 중앙 관청. 1895년 4월 관제개혁에 따라 병조의 소관업무를 인계받은 군무아문을 개칭하여 설치하였는데, 국방에 관한 사무와 군정, 군인감독 등의 직무를 관장하였다. 1907년 일본의 강제 군대 해산 때 완전 폐지되었다.
-
도안색 / 都案色 [정치·법제/법제·행정]
있던 경기병의 향보 1,500인을 별기병으로 개칭하면서 이들을 본색에 소속시켜 그들의 보포를 징수, 관리하게 하였다. 1894년(고종 31) 군무아문이 설치되면서 폐지되었다.
-
연무공원 / 鍊武公院 [교육/교육]
만 무관이 될 수 있는 제도적 불합리, 그리고 무인을 천시했던 당시의 사회구조 때문에 오래가지 못하였다. 1894년 군무아문으로 흡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