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군무사” 에 대한 검색결과 6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6)

사전(3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임명되었다. 이듬해 11월 통리기무아문의 기구가 12사에서 7사로 개편될 때에도 존속되었으며, 그 때 에는 총무국‧참모국‧교련국 등 3국이 설치되었다. 당상경리사(堂上經理事)에는 이재원(李載元)‧신정희(申正熙)‧민영익(閔泳翊)‧조희순(趙羲純)‧이...
  • 근대신어 : ()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05238 가항 諭旨恭錄 漢城旬報 18 博文局 1884 3 21 1 행정, 국방
    출전漢城旬報[博文局] | 계통분류 [정치경제] 행정, 국방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중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범(犯)에 관한 사죄(死罪)를 범한 중죄범에 사용한 형구(刑具). [내용] 일반곤형 또는 그 집행에 사용되었다. 곤형은 1745년(영조 21)에 제정된『속대전』에 처음 보이는데, 중곤은 대곤‧중곤(中棍)‧소곤과 함께
  • 조희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도병마절도사 등을 역임하였다. 1881년 11월 통리아문(統理衙門)이 설치되자 경리통리기무아문사(經理統理機務衙門事)로 당상(堂上)에 임명되었으며, 그뒤 분국절목(分局節目)에 따라 참모국(參謀局)을 담당하였다.
    이칭별칭 덕일(德一)| 학해당(學海堂)
  • 이원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계 분야를 시찰하고 돌아왔다. 이 때 이동인(李東仁)은 참모관이었다. 같은 해 9월 도총부부총관에 발탁되었다가 다시 충청도병마절도사로 전보되었다. 같은 해 11월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 개편에 따라 당상경리사(堂上經理事)에 임명되어,...
    이칭별칭 중곡(中谷)

고서·고문서(24)

  • 時, 拿入兵判, 此旣非, 則似涉過矣。 上曰, 禁喧, 亦豈非, 而豈可以此, 拿入郞廳乎? 此不過體例間事矣。 百祥曰, 以上言事, 禁推兵判, 亦似過矣。 上笑曰, 使之上言,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李太王實錄資料 11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交涉通商事務로 하고, 協辦軍國事務 金允植을 協辦交涉通商事務하고, 協辦軍國事務 尹泰駿을 協辦交涉通商事務와 堂上을 겸하라는 내용으로 『李太王日省錄』9282)에서 채록하였다. 정욱재 2016. 11. 02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6. 11.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太王實錄資料11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通商事務로 삼고, 協辦軍國事務 金允植을 協辦軍國事務로 삼고, 협판군국사무 尹泰駿을 協辦交涉通商事務로 삼고 堂上을 兼管하라고 전교한 내용으로 『李太王日省錄』(282)에서 채록하였다. 정욱재 2015. 11. 10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11. 10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남도, 안주군, 연년면, 중국, 부모, 동생, 떠나, 고향으로, 업, 편지왕래, 리씨, 서울, 주소, 몰라, 천만번, 부탁, 찾는분, 리씨, 하나만, 수고, 축가정평원, 12, 11, 1959년, 1953년, 노력
    대표표제어저녁 | 성씨
  • 게문안공전집_揭文安公全集5 吳歌一首送張清夫提舉征東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
    4198 중국 문집 게문안공전집 003 기타 揭文安公全集5 吳歌一首送張清夫提舉征東校官先還呉中 吴中女児白如華 吴江燕燕拂波斜 吴中魚肥米可束 夫乆忘家 夫君自别吴江水 聲名籍籍京華裏 家家屏幛待新詞 日日王侯置醇醴 吴中之君不可踰 京華之楽天下無 高官厚禄...
    국가중국 | 서명게문안공전집 | 왕대기타  

신문·잡지(4)

  • 교사는 계급의 존비(尊卑)가 없고 그 책임은 경중의 등차(等差)가 없다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3 이규철(李奎澈) 대한제국     교사의 계급과 책임에 차별과 경중이 없음을 논한 글 교사, 경중의 차등, 존비의 계급, 정치사회, 회, 실업사회, 교육사회, 학문 수준의 차이, 경험의 차이 태극학보번역문.pdf
    잡지명태극학보(太極學報) | 호수태극학보(太極學報)_19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해공군을 이용함으로서 『원거리를 통과한 적극적 방위』에 대한 원측 수리와 셋재로 각국의 군사기술과 정을 알며 연구하기 위하여 육해공군 장교들을 호상교환할 데 관한 것이라고 한다.
    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7_0220_04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 로 실행하는 엄격한 규률의 정신으로 들을 교양 훈련하였다. 이와 같은 사업을 통하여 세포는 전투원들에게 우리의 정의의 전쟁목적과 인민의 리익의 완전한 일치에 대하여 철저히 리해시키였으며 원쑤에 대한 적개심과 증오심으로 끓게 하였다. 한편 동 구분대 세포는 당원...
    대표표제어황해일보_1953_0208_02 | 책임주필김원선
  • 는 가장 정당한 조치로 되는 것이다. 동시에 이 결정은 인민군대 가족 원호를 법적으로 공고발전시킨것이며 조선인민의 한결같은 의사를 가장 정확하게 표현한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은 결정은 오직 인민 스스로가 국가 정권의 주인으로 되고 정권은 인민의 리익과 국가의 장...
    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0521_02 | 책임주필강길모

주제어사전(2)

  • /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중앙과 지방의 군대를 통솔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청. 1880년 설치 당시에는 통리기무아문에 소속된 12사의 하나였으며, 군무당상에는 민겸호와 윤자덕이 임명되었다. 1882년 11월 통리기무아문이 통리아문과 통리내무아문으로 분화되고, 그 해 12월에 통리아문

  • 이원회 / 李元會 [종교·철학/유학]

    1827년(순조 27)∼미상. 조선 말기의 무관. 이기석의 아들이다. 무과출신으로 1864년(고종 1)부터 1868년까지 선전관·금위영천총, 승정원의 동부승지·좌부승지, 좌·우승지, 그리고 태안부사를 역임하였다. 1881년초 군계선함사차정참획관, 같은해 1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