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군무부” 에 대한 검색결과 1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9)

사전(5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행정 조직. [개설] 지금의 국방부에 해당되는 관서이다. 1919년 11월 5일 공포된 대한민국 임시관제에 의하면, 내에는 비서국‧육군국‧해군국‧군사국‧군수국‧군법국 등 6개국이 소속되어 있어 이에 관한 사무를...
  • 강병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士團)과 최경천(崔慶天)의 포수단(砲手團)을 통합, ()를 조직하여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박정환(朴政煥)‧채덕승(蔡德勝)‧한경석(韓京錫) 등과 무기구입비 약 25만루블을 러시아영토 거주 동포들로부터 모금하여 장 황병길(黃丙吉)에게...
    이칭별칭병일(丙日)
  • 급진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끌고 국내침투를 기도하였으며, 1920년 4월 적극적인 항일투쟁을 전개하기 위하여 강병일(姜丙日)의 의사단(義士團), 최경천(崔慶天)의 포수단(砲手團)과 통합하여 ()로 개편되었다. 이 부대는 1920년 10월 20일 제1연대장 홍범도(洪範圖)예하 제3대대...
  • 권상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모가 세상을 떠나자 윤지충이 교리에 따라 제사를 올리지 않았는데, 그도 종래의 신주를 불사르고 제사를 지내지 않았다. 이 일로 친척과 친지들의 욕설과 비난을 받았다. 그 해 10월 무(無)의 역도로 몰려 윤지충이 체포되었으며, 그에게도 체포령이 내렸다...
    이칭별칭야고보
  • 근대신어 :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10245 대한민국임시정부 다항 大韓民國臨時政府 대한민국림시정부 其部署와責任者는 成立當時는 執政官總裁李承晩, 國務總理李東輝, 外務部總長朴容萬, 內務部總長李東寧, 總長盧伯麟, 財務部總長李始榮, 法務部總長申圭植, 學務部總長金奎植,...
    출전新語辭典[民潮社] | 계통분류 [정치경제] 국가, 정치단체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14)

  • 擊則可也。 然其進退, 惟在將帥參定。” 上曰: “於予所見, 料敵爲上。 先爲料敵, 然後可以應變。 賊中生變, 乃虛言也。 賊雖入歸, 必留援兵。 此必瞞我撤兵之計也。 我國將不知兵, 伍, 有同驅羊, 何以討賊? 兵事尙密, 當使鬼神不可知, 而都元帥擧事之事, 各道(籍籍)〔藉藉〕,...
    출처전거宣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齒, 萬萬幸甚。 臣於乞退之章, 不暇贅及他說, 而事關兵務, 且係緊急, 敢此附陳焉。 諸道兵水使水陸操, 稟啓啓下廟堂者非一, 而關北·嶺南統營兵水使·營將·虞候等巡點, 竝請停止, 統營忠淸·江都則宜抛棄, 請令水使, 習操於各其前洋, 營將簡騶, 巡點各邑, 全羅兵使, 則亦令營將,...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東國兵鑑 東國兵鑑 卷上 燕慕容皝破丸都城 문종(文宗, 朝鮮) 命編 37 高句麗故國原王十二年燕建威將軍慕容翰言於燕王皝曰宇文彊盛日久【宇文後周也】屢爲國患今逸豆歸簒竊得國群情不附加之庸闇將帥非才國無防衛伍臣久在其國悉其地形雖遠附彊羯聲勢不接無益救援【彊羯趙也】今若擊之百擧百克然高句麗...
    서명東國兵鑑 | 저자문종(文宗, 朝鮮) 命編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추안급국안 : 갑자년(1744, 영조 20) 윤광천(尹光天)의 신문기록[推案]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
    之擧寔爲大訓意拂欝其君之苦心甘 心黨習而不悛者想必有不滿大訓者曾以此下敎 而豈意有尹光天乎渠自肆然陳達於前席趍附李 彦世等者類業亦遲晩其陰譎不承款者惟犯上不 道昡亂大訓也渠雖稱其父其不孝不忠之賊何可 惜也其欲嚴加訊問期於取服夬正王法連訊之際 忽聞撫父肥就刑之聲此等無之大桁楊之 下其猶此聲噫彼...
    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20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 추안급국안 : 신유년(1741, 영조 17) 송익휘(宋翼輝)의 신문기록[推案]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
    抵時論則過矣旣曰過矣則十分爲六 七分是白置相考處置敎事 ○ 송익휘를 다시 조사하다 同日罪人宋翼輝更 推白等矣身以無無義無狀之人雖細事於 君父推問之事雖父兄之間不敢勸以餙詐況本事 關係何等莫重而匡誼於矣身不過一親明也粧撰 巧餙暗地勸說肆然欺君此於矣身亟施邦刑之一 端是旀推問匡誼者卽詬...
    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20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신문·잡지(5)

  • 조선출판경찰월보 004호 신민부별동대장 김일 경유문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04호 신민부별동대장 김일 경유문 경유문(警諭文) 미기재 신민부별동대장 김일(新民府別動隊長金一) 만주(滿洲) 조선_1928년 12월 12일 차압 치안 한국어...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04호 신민부군무부별동대장 김일 경유문 | 출판물명경유문(警諭文)
  • 원구단 참봉 리응에 온릉참봉 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원구단 참봉 리응에 온릉참봉 심긔셥으로 임고 리민훈으로 온릉참봉을 임고 이등감독 장화식으로 부령을 임야 원슈부 쟝을 임고 즁츄원의관 김텬슈 졍현쳘 리대현 리원졍 셔병위에 졍삼품김진 쳔세현 륙품변뎡식 류시익 구품김죵달노 임고 츙쥬부 쥬 한약리에...
    게재일1900년 9월 28일 | 기사분류관보
  • 조선공산당, 인민당, 독립동맹, 조선민족해방동맹, 대한림시정부 (경성발) 과반 김구 씨 일행과 더부러 중경서 도라온 조선민족혁명당의 김원봉 (소칭 『대한림시정부 장』) 성주□ 조선민족해방동맹의 김성숙의 3씨는 김구 씨를 중심으로 방금 경성에서 진행하고...
    대표표제어정로_1946_0125_01
  • 조선공산당, 인민당, 독립동맹, 조선민족해방동맹, 대한림시정부 (경성발) 과반 김구 씨 일행과 더부러 중경서 도라온 조선민족혁명당의 김원봉 (소칭 『대한림시정부 장』) 성주□ 조선민족해방동맹의 김성숙의 3씨는 김구 씨를 중심으로 방금 경성에서 진행하고...
    대표표제어정로_1946_0125_01
  • 조선출판경찰월보 091호 신문기자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 삼원보에서 중앙간부회를 개최 협의하고 부민단을 한족회로 개칭했고 또한 기관구성을 중앙부에 내무부, , 학무부, 재무부 등을 설치하고 총대는 이봉이 맡아서 『한족신문』을 기관지로 주간 발행했다. 제4기 군무서(軍務署) 시대 이것은 대정 8년[1919] 3월...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91호 신문기자 | 출판물명신문기자(新聞記者)

기타자료(29)

  • 67. Telegram to Department of Army : 전문, 1948.09.04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LT. COL. A.J. Cornelson Department of Army 숙명여자대학교 주한미육군(USAFIK: commanding general US Army Forces in Korea)과 (Department...
    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LT. COL. A.J. Cornelson | 수신자Department of Army
  • 185. Telegram to JCS : 전문, 1948.04.20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에 관한 사항이 나와있음 government of Korea, Quartermaster Corps, department of the army, rehabilitation, appropriation, QMC http://w...
    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S.A.Lewis Lt Colonel, AGD Asst Adj Gen | 수신자JCS
  • 102. No 4 : 기록자료, 1945.12.11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5/12/11) 보도 자료: 평화통일이 먼저다. 임시정부 장 김약산이 임시정부 3번째 회의에서 발표. 독립을 완성하는 기본 정책은 국가 통일 전선을 조직하는 것. 이 방법은 남북의 모든 단체와 계층이 사실상 힘을 결합하는 것 peaceful, uni...
    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252. Telegram from CG USAFIK to Army DEPT WASH DC : 전문, 1948.03.02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CG USAFIK Army Dept Wash DC 숙명여자대학교 주한미군사령부가 워싱턴의 에 전달. 기재된 특파원의 한국 입국 승인 허가 완료. 도착 예정 시간 요청 Commander General US A...
    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CG USAFIK | 수신자Army Dept Wash DC
  • 57. Telegram to DEPT of Army : 전문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of Army 숙명여자대학교 (Department of Army)와 주고받은 암호화된 보안문서. 한국의 재건에 관한 내용이 적혀있음 Korean civilian import, rehabilitation, locomotiv...
    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W.K. ALSTON.COL.,QMC,Director | 수신자Dept of Army

주제어사전(11)

  • / [역사/근대사]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행정 조직. 지금의 국방부에 해당되는 관서이다. 1919년 11월 5일 공포된 대한민국 임시관제에 의하면, 내에는 비서국, 육군국, 해군국, 군사국, 군수국, 군법국 등 6개국이 소속되어 있어 이에 관한 사무를 통할, 처리하였다. 임시정부

  • 강병일 / 姜秉一 [역사/근대사]

    1888-1928. 독립운동가. 일명 병일(丙日). 함경북도 회령 출신. 1919년 만주 길림성 혼춘현(琿春縣)에 거주하는 동포들에게 애국사상을 고취하였다. 또한, 휘하의 의사단(義士團)과 최경천(崔慶天)의 포수단(砲手團)을 통합, ()를 조직하여 항일투쟁

  • 강석훈 / 姜錫勳 [역사/근대사]

    정부 ()에 소속되었고, 49명의 대원을 인솔하여 함경도 일대에서 입대 지원자와 군자금을 모금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벌였다. 1921년 12월 16일 북간도 지역에서 대한독립군 제 3대장으로서, 문창학(文昌學)·김학섭(金學燮) 등과 함께 일본 경찰서 및 신건

  • 대한민간정부 / 大韓民間政府 [역사/근대사]

    1919년 3·1운동 직후 천도교에서 기호지역에 수립하려던 임시정부. 1919년 4월 1일 정부수립 계획이지만 실행되지 못하였다. 대통령 손병희, 부통령 오세창, 국무총리 이승만, 내무부장관 이동녕, 외무부장관 김윤식, 학무부장관 안창호, 재정부장관 권동진,

  • 조성환 / 曺成煥 [역사/근대사]

    1875-1948. 항일기의 독립운동가. 호는 청사(晴簑). 1906년 안창호 등과 함께 신민회를 조직하여 항일운동에 투신하였다. 1919년 3.1운동 직후에 상해로 건너가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하여 차장에 임명되었다. 1936년 임시정부 국무위원 겸 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