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군둔전” 에 대한 검색결과 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

사전(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를 지대(地代)로 거두어들이는 형태였다. 은 소유 형태로 볼 때 명백한 국가 공유지로서 국둔전(國屯田)과 거의 동일시되었다. 반면 각 관의 경비 보조를 위해 이들 기관의 소유지로 확보되는 관둔전(官屯田)과는 성격이 다르다. 공민왕 때부터 왜구 방어를 목적으...
  • 군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양역군의 사회적 지위를 격하시켰으며, 공명첩(空名帖) 등의 남발로 계급체제가 문란해졌다. 거기에다 왜란 후 ‧궁방전 등 면세전이 광범위하게 늘어나고 지방 세력가에 의한 사유지가 확대되는 등 경제체제의 붕괴와 당쟁의 격화에 편승한 관리들의 탐오(貪汚) 및 중...

고서·고문서(15)

  • 厚州 慈城 행정 경제 平安監司徐榮輔,以江界府防節目啓.楸坡從浦夞恠馬馬海厚州慈城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순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平安監司徐榮輔,以江界府防節目啓.楸坡從浦夞恠馬馬海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순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咸平·懿州,以省糧餉.己未,發和林糧千石賑諸王火你赤部曲.置延禧司,秩正三品.壬戌,合木里饑,命甘肅省發米千石賑之.癸亥,詔立崇福司,為從二品.徙江淮省治杭州.改浙西道宣慰司為淮東道宣慰司,治揚州.丙寅,尚書省臣言「行泉府所統海船萬五千艘,以新附人駕之,緩急殊不可用.宜招集乃顏及勝納合兒流散...
    출처전거『元史』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추안급국안 : 심건이(沈建伊) 신문기록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
    妻在傍聞之至發詬叱之言云則 矣身所言自歸虛罔是旀稷山在囚時求索鹽水之事以誣告 樣納招等說俱是後誣餙之狀節節綻露是置更良如 前除良一一從實直招亦加刑現推敎事罪人建伊刑問三次 訊杖三十度白等前招內無加減是白乎事 ○ 추국청에서 조사 결과를 보고하다 同日鞫廳議 啓罪人建伊三次嚴刑一向抵賴...
    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19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 추안급국안 : 경술년(1730, 영조 6) 반역사건 신문기록(9)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
    罪人世恒刑問六次訊杖三 十度白等前招內無加減是白乎事 ○ 배세익을 두 번째로 매질하며 조사하다 同日罪人裵世益更推 白等弘彦日錄中凶言得聞於崇祚而傳說者明是矣身之所 爲是旀宇奎家人骨作末事矣身旣爲主張是旀凶謀同議矣 身亦爲魁首是如南復丁寧納招爲有去乙矣身前後招辭極 其不成說情狀...
    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18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주제어사전(1)

  • / [경제·산업/경제]

    고려·조선 시대에 변경 지대나 군 주둔지에 군량 조달 또는 군수 운용을 목적으로 경작된 토지. 여러 둔전 중에 경작하면서 지킨다는 둔전 본래의 취지를 가장 온전하게 지니고 있는 토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