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군대해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0)
사전(93)
- 군대해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군대해산 시에 발생하게 될지도 모를 한국군의 봉기를 철저히 진압하여 줄 것을 이완용(李完用)의 이름으로 통감 이토(伊藤博文)에게 의뢰하게 하였다. 이리하여 그 다음날인 8월 1일 오전 8시에 동대문 훈련원에서 군대 해산식이 거행되었다. 그런데 사병들에게는 훈련원...
- 부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 갑오개혁 이후에 정한 무관 계급. [내용] 정위(正尉)의 아래, 참위(參尉)의 위이다. 1895년(고종 32) 12월 육군장관직제(陸軍將官職制)가 선포됨으로써 시행되기 시작하여 1907년 8월 군대해산 때까지 존속하였다. 현재...
- 윤정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82(고종 19)∼1953. 조선 말기의 의병장. [내용] 전라남도 곡성 출신. 군인으로 복무하다가 고종황제의 폐위와 군대해산이 일제의 강압으로 행하여지자 의병부대에 합류하여 전라북도 남원, 전라남도 곡성ㆍ구례 등지에서
- 정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4위에 해당하는 계급으로 상위직인 참장(參將)과 하위직인 부령(副領)의 중간에 위치하며, 품계는 3품이다. 1895년 현역정한연령규정(現役定限年齡規定) 중 영관급 정년인 54세가 정년이다. 1907년 8월 군대해산령에 의하여 폐지되었다. 『...
- 오장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63(철종 14)∼1909. 조선 말기의 의병. [내용] 일명 경환(京煥). 전라북도 고창 출신. 1907년 고종의 강제퇴위와 군대해산이 자행되자, 기삼연(奇參衍)ㆍ전해산(全海山) 등과 장성ㆍ고창ㆍ영광에서 의병을 모집, 거사를 준비하...이칭별칭경환(京煥)
고서·고문서(11)
- 韓国駐箚軍 韓国軍隊解散に関する件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한국주차군한국군해산에관한건작성국가일본 | 원소장처防衛省防衛研究所 | 발신일1907
- 憲兵司令部 韓国軍隊解散に関する報告の件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헌병사령부한국군대해산에관한보고의건작성국가일본 | 원소장처防衛省防衛研究所 | 발신일1907
- 조선 군대 해산에 관한 재팬 타임즈지의 보도 송부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A.13670 보고 8월 3일자 재팬 타임즈(Japan Times)에 실린 조선 주둔 일본군 총사령관이 조선 군대해산에 관해 작성한 보고서 3부 송부. 재팬 타임즈, Japan Times, 일본군, 군대해산, 한국주차군사령부 원본문서 조선 10대표표제어조선 군대 해산에 관한 재팬 타임즈지의 보도 송부 | 발신자뭄 | 수신자뷜로 | 발신지도쿄 | 수신지베를린
- 조선 군대 해산에 관한 재팬 타임즈지의 보도 송부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A.13670 보고 8월 3일 재팬 타임즈지에 실린 주차군사령관의 조선 군대 해산에 관한 보고서 영문번역본 3부 송부. 재팬 타임즈, Japan Times, 한국주차군, 사령관, 군대해산 원본문서 조선 10대표표제어조선 군대 해산에 관한 재팬 타임즈지의 보도 송부 | 발신자뭄 | 수신자뷜로 | 발신지도쿄 | 수신지베를린
- 조선정부의 1904년 예산안 중 군부지출이 증가되었다는 보고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K.No.100 A.16582 보고 조선정부가 책정한 1904년도 예산안 송부. 군부지출이 현저히 증가. 군함지출비도 포함됨. 일본은 조선에 조선군대 해산을 종용함. 조선, 예산안, 1904년, 군부, 군함, 군대해산 No.228(1903.3....대표표제어조선정부의 1904년 예산안 중 군부지출이 증가되었다는 보고 | 발신자잘데른 | 수신자뷜로 | 발신지서울 | 수신지베를린
신문·잡지(3)
- 詔曰朕이惟컨國事多艱時를値야極히冗...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解隊케노라朕은汝等將卒의宿積之勞顧念야特히隨其階級야恩金을頒與노니汝等將校下士卒은克軆朕意야各就其業야無愆을期라 光武十一年七月三十一日 內閣總理大臣勳二等 李完用 軍部大臣勳三等 李秉武 詔曰軍隊解散時人心動擾치아니토록豫防고或違勅暴動者鎭壓事를統監에게依賴라 光武十一年...게재일1907년 8월 3일 | 기사분류관보
- 앞으로(동해남부지구당)_1951_0725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세의 애국자이시며 공화국 내각 수상이신 김일성장군만세 ―토론문제― 1. 기해사옥, 2. 병인양요 3. 신미양요 4. 강화조약 5.병인양요 6.갑신정변 7. 갑오독립 8.을미정변 9.갑오농민전쟁(동학란) 10.제1차한일협정 11.을사보호조약 12.정미정변 13.군대해산...대표표제어앞으로(동해남부지구당)_1951_0725_01
- 정로_1946_0216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세를 만회하기는 불가능하게 되었고 일편 일본의 침략은 여전히 진행되여 단위군대해산 사법□□임 등 대사건을 감행하고 경인, 경부, 마산 4대□□의 간선을 완전히 장□함과 함게 동양척식회사 등 반관적 기□과 토□조사□사□에 의한 대규모의 토지□도의 개□와 농□가내공□의...대표표제어정로_1946_0216_02
기타자료(3)
- 35. 이토 후작의 일본 출국과 통감부의 개편 계획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법제, 국제 문헌, 사건 근대 서울, 도쿄 고서/고문서 대한제국의 정치 상황에 대한 보고 황태자, 군대해산, 폭동, 일본 군대, 도쿄, 서울, 행정 개편 프랑스어 3_CFD35.pdf (탈초)3_CFD35.pdf pdf A....집필자A. 제라르, 도쿄 주재 프랑스 대사 | 작성연도1911년 | 작성월일8월 22일 | 발신자A. 제라르, 도쿄 주재 프랑스 대사 | 수신자S. 피숑, 프랑스 외무부 장관
- 33. 대한제국의 일들과 통감부의 업무수행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의 일들과 일본 통감부의 업무수행에 대한 보고 태황제, 폐위, 조약, 통감, 연설, 일본기자, 재정비, 알현, 군권, 칙령, 군대해산, 유혈사태, 폭동, 즉위식, 새 황제 프랑스어 3_CFD33.pdf (탈초)3_CFD33.pdf pdf A....집필자A. 제라르, 도쿄 주재 프랑스 대사 | 작성연도1911년 | 작성월일8월 07일 | 발신자A. 제라르, 도쿄 주재 프랑스 대사 | 수신자S. 피숑, 프랑스 외무부 장관
- 38. 이토 후작과 대한제국의 상황들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계획 및 간도 문제와 관련된 도쿄의 동향 보고 도쿄, 추밀원, 환대, 저항, 군대해산, 반란군, 순사작전, 황국, 내각, 통감부, 두 황제, 황태자, 전면 개정, 은자의 나라, 재정지원, 보호국, 중앙은행, 통상조약, 러일전쟁, 국경문제, 한-일 관세 동맹 계획,...집필자A. 제라르, 도쿄 주재 프랑스 대사 | 작성연도1911년 | 작성월일9월 19일 | 발신자A. 제라르, 도쿄 주재 프랑스 대사 | 수신자S. 피숑, 프랑스 외무부 장관
주제어사전(21)
-
군대해산 / 軍隊解散 [역사/근대사]
1907년 일본에 의하여 대한제국 군대가 강제로 해산된 사건. 일제는 헤이그특사사건을 구실로 고종을 강제 퇴위시키고 순종을 등극시킨 다음 정미칠조약을 강요하여 대한제국의 모든 권력을 탈취하였다. 군대 해산은 대한제국의 실질적인 멸망을 뜻하는 비극적인 사건이었다. 그러나
-
근위대 / 近衛隊 [역사/근대사]
대한제국 때 황실의 호위를 위하여 설치된 군대. 근위보병대와 근위기병대가 있다. 1907년 8월 일제의 압력에 의하여 군대가 해산되면서 황제의 친위병으로 편제되었다. 근위보병대는 1907년 8월 군대해산과 더불어 1개 대대의 병력으로 편제되었으며, 총원은 644인으로
-
김시백 / 金時伯 [역사/근대사]
1887-1950. 항일기의 의병장. 1907년 군대해산 이후 의병을 일으켜 영월의병장으로 활약하였고, 1908년 소모장으로서 강원도·경상북도·충청북도 일대에서 의병모집활동에 주력하였다. 그러나 결국 영주에서 붙잡혀 징역 10년의 옥고를 치르고 출옥하였다. 건국포장
-
친위부 / 親衛府 [역사/근대사]
1909년 7월 군인과 군속을 관장하고, 궁중에 배치된 근위보병대 및 근위기병대를 감독하기 위해 설치된 관서. 1907년 군대해산 이후 1909년 7월 군부와 무관학교가 폐지되면서 일본이 조선인의 반발을 무마하기 위해 설치한 기관이다. 군부의 병력과 재산, 예산을 이
-
홍원식 / 洪元植 [역사/근대사]
1877-1919. 항일기의 독립운동가. 한말의 군인으로 군대해산령에 반발하며 일본군과 싸우다 부상당하자 고향에 가서 구국동지회를 조직하고 활약했다. 고향의 만세운동을 주도하다 체포, 제암리 교회 대학살 때 죽었다. 1968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