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군대부인” 에 대한 검색결과 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

사전(1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외명부의 정4품 작호. [내용] 고려의 내명부ㆍ외명부 등의 명부제(命婦制)는 문종 때에 정비되었는데, 이 은 외명부에 해당되는 것으로 군군(郡君)과 함께 정4품의 작호로 정해졌다. 이 의 수여대상이 구체적으...
  • 연창궁부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상훈과 추모] 1017년(현종 8) 12월에 현종은 원화왕후의 외할아버지 되는 최행언에게 좌복야(左僕射), 외할머니 김씨(金氏)에게는 풍산(豊山), 연창궁부인(延昌宮夫人) 최씨(崔氏)에게는 낙랑(樂浪)을 추증...
    이칭별칭낙랑군대부인
  • 부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 다음으로 외명부의 경우를 보면, 고려 이전에도 김제상(金堤上)이나 김유신(金庾信)의 처를 부인으로 책봉한 예가 보이기는 하나, 본격적으로는 고려시대에 시행되었다. 고려 초기의 외명부는 정3품에 국대부인(國大夫人), 정4품에 () 등 부인의 명...
  • 문화왕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 제6대 성종의 제2비. [내용] 본관은 선주(善州 : 지금의 경상북도 구미). 시중(侍中)에 추증된 김원숭(金元崇)의 딸이다. 어머니는 화의(和義)에 봉하여진 왕씨(王氏)이다. 고려 제4대왕 광종...
    이칭별칭연흥궁주|현덕궁주
  • 군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때에 종실의 여자에게 주던 작호의 하나. [내용] 고려의 내명부ㆍ외명부 등의 명부제(命婦制)는 문종 때에 정비되었는데, 외명부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과 더불어 정4품의 작호로 정해졌다. 수여대상이 구체적으로

고서·고문서(2)

  • 甫氏齊安公娶梁氏兵部侍郞惟竦之女先公十七年卒⁄男五人長曰晋尙衣直長同正曾任水州倅次曰衍今爲安東府倅次曰就衛尉主簿同正次曰俊戶部令史同正次曰曇晟學浮圖氏女一人適閤門祗候徐恭⁄子晋等以卒年冬十一月二十四日庚寅葬于京畿江陰縣南山之西麓⁄公性平簡不嶮遇事能幹在公不害人物對人從容以和以是歷事睿廟仁考不...
    출처전거高麗墓誌銘集成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傅門下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修文殿大學士監修國史判兵部事諡文純公諱傅母峰城廉氏禮賓▣卿守藏之長女卽中古名宰相信若之孫也⁄▣生而穎悟外祖知必爲▣▣親自撫養及長以門蔭始仕元宗四年癸亥蔭補知江華郡判官政滿又爲寫經院判官元宗七年丙寅以弱冠擢丙科轉國學學錄歷海▣府錄事典元宗十己巳遷掖庭內侍伯是年冬十二月...
    출처전거高麗墓誌銘集成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외명부의 정4품 작호. 고려의 내명부·외명부 등의 명부제는 문종 때에 정비되었는데, 이 은 외명부에 해당되는 것으로 군군(郡君)과 함께 정4품의 작호로 정해졌다.

  • 군군 / 郡君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때에 종실의 여자에게 주던 작호의 하나. 고려의 내명부·외명부 등의 명부제는 문종 때에 정비되었는데, 외명부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과 더불어 정4품의 작호로 정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