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군기” 에 대한 검색결과 5,85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757)

사전(1,519)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931년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KAPF)이 발행한 기관지.
    정의1931년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KAPF)이 발행한 기관지.[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un-gi | MR표기Kun’g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니다.”라고 한 것을 보면 『제왕운기』에서 단군이 나라를 다스린 기간이 1,028년이라고 한 것은 1,048년의 잘못으로 보이며, 그렇게 본다면 서기전 2333년이 합당하다. 단원을 뒷받침해 주는 고문헌으로는 『삼국유사』와 『제왕운기』가 가장 오래된 것이며,...
    이칭별칭단기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병기ㆍ기치ㆍ융장(戎仗)ㆍ집물 등의 제조 업무를 관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서. [내용] 병조의 속아문으로서 고려시대에는 감(監)과 시가 몇 번 교대로 바뀌어 불렸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1392년(태조 1)에 감이 설치되었...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04년 7월에 설치된 의 제조와 수리 등을 관장하던 관서. [내용] 창은 조선 말기 기기국(機器局) 등을 개편한 것이다. 군부대신의 관할 아래 각 병과(兵科)에서 필요로 하는 와 탄약의 제조 및 수리를 담당하였...
    이칭별칭기기국(機器局)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조선 시대 병조의 병기ㆍ기치ㆍ융장(戎仗)ㆍ집물 등의 제조 업무를 관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서. 고려 시대에는 감(監)과 시가 몇 번 교대로 바뀌어 불렸다. 조선 시대에 들어와서 태조 1년(1392)에 감이 설치되었다가 세조 12년(1466)에 시로...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단행본(1)

  • 충청지역 재지사족의 학문과 활동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저자 :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 출판사 :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 출판일 : 2014.12.28
    분야생활 | 유형단행본
    죽찬 강주의 한시 연구 雪峰 姜栢年의 漢詩 硏究 復泉 姜鶴年家의 古文書 現況과 性格 震澤 申光河의 《四行》 硏究 南塘 韓元震의 학문적 소통과 교유 18~19

고서·고문서(3,083)

  •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분류외교 및 군사 | 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출판사없음
  • 07619 창가 初等唱歌 第三學年用 22127 1940 朝鮮總督府 朝鮮書籍印刷株式會社 朝鮮總督府  井上主計 〈#18〉 [ 一 ] かしこくも, 天(てん)皇(のう)陛(へい)下(か), 御(み)手(て)づから, 授(さづ)け給(たま...
    구분창가 | 편저자朝鮮總督府
  • 07772 창가 初等音樂 第三學年 22135 1943 朝鮮總督府 朝鮮書籍印刷株式會社 朝鮮總督府  朝鮮書籍印刷株式會社 〈mn〉오선보, 가사가 반복해서 기록됨〈/mn〉 〈#22〉 [ 一 ] , , 天皇陛下の みてづから,
    구분창가 | 편저자朝鮮總督府
  • 論 一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110 文集 卷十一 ITKC_MP_0597A_0110_010_0140 論 一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
    권차명文集 卷十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論 二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110 文集 卷十一 ITKC_MP_0597A_0110_010_0150 論 二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
    권차명文集 卷十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23)

  • 김재춘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육군사관학교 육군사관하교 졸업 후 첫 부임지 : 5연대 9사단 근무시절 문란 사건 일화 5.16 군사정변 한국전쟁 일화 육군대학 진학과 1관구 발령과 6관구 발령계기 박정희 장군과의 일화 4.19 당시상황 인식 5.16 모의 및 정국인식 구술자의 개인사
    분야정치‧법제 | 유형인물 | 지역서울 | 시대현대 | 테마정당정치
  • 장숙자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퇴 때 군산으로 이동 군산에서 서울로 바로 이동해 옴 10. 작은 오빠는 서울에서 비누 공장을 운영함 11. 큰 오빠는 평택 미지의 군포 비행장에서 통역관, 서소문 사법서사 12. 서대문구청에 1년 다니고 결혼하게 됨 13. 스무살 후반부터 친구와 함께 반찬 장사를
    구술자장숙자 | 직업자영업 | 지역황해도
  • 김윤호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월남민 구술 연구사업의 자료로서 구술자의 녹취문과 동영상 음성 자료 백호부대, 유격대 활동, 피난민 교회, 이산가족, 마합도, 미지 한글 연세대학교 장로
    구술자김윤호 | 직업장로 | 지역황해도
  • 이수일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에서 큰아버지와 18연대 군인이었던 사촌을 만남 11. 거제에서 부산에 이르는 정착과정 12. 부산 미지, 55보급창 근무와 경제생활 13. 5.16 이후 징집 회피 14. 중국을 거쳐 북한의 가족과 연락이 닿은 과정 15. 동생을 만나게 된 과정
    구술자이수일 | 직업무직 | 지역함경도
  • 정학필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술연구소, 국방부 과학연구소, 방사선 동위원서 사용 면허, 이민, 포로, 한인 연합 교회, 코리아 타임즈, 몬트리올 올림픽,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이산가족 찾기, 고모, 유해발굴, 경원하, 장진, 전충림, 정택근 한글 연세대학교
    구술자정학필 | 직업코리아타임즈 | 지역함경남도

기초학문(27)

  • ()와 과학—만주사변 이후 경성제국대학의 방향전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5
    69248 한국연구재단 만주학회 2015 ()와 과학—만주사변 이후 경성제국대학의 방향전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이명박 정부와 제주 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현, 게재일 : 2012
    64427 최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012 이명박 정부와 제주 해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다이코기・조선물의 근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2
    62980 한국연구재단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2 다이코기・조선물의 근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太閤記物・朝鮮物の近代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2
    69127 한국연구재단 단국대 일본연구소 2012 太閤記物・朝鮮物の近代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에혼조센군키]의 번각과 조선물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찬기, 게재일 : 2012
    39471 박찬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양대학교 일본학비교연구소 2012 [에혼조센군키]의 번각과 조선물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
    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710)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츙쳥북도 괴산군 동면칠셩암에셔 의병과 일병이 교젼은 젼보에도 긔얏거니 군 인의 젼셜을들은즉 의병이 상금둔취야 인심이 쇼요 안이라 일경이거의 뷔일지경이 되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10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 還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남원군에 소위의병이 돌입야 디츌주진위 군긔를탈거얏다난은 임의 긔재얏거니와 병뎡과 전주병뎡삼십명이즉시그뒤를라간즉 그비도등이 가져갓든 군긔물슈이바리고 도주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2월 18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젼나북도 관찰 한진창씨가 도임야 관하각군슈의 작년 츄동등포폄을 부에 보고엿 룡안군슈 호영 익산군슈 민영셕 김졔군슈죠례셕삼씨가 하등이라더라
    게재일1906년 3월 7일 | 기사분류잡보
  • 請留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평안북도 후창군 공보 거즉 음력월 초팔일에 젼 아국병뎡 이여명과 향마젹 이여명이 합셰야 본군 하산면에 돌입 형편이잇서 민뎡 오십명을 모집야 이왕혁파한 한위 군긔 가지고 하산면 쥭뎐구 직히게 얏스나 춍과 탄환이업셔 방어키 어려오니 배지한 디방...
    게재일1905년 6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 俄奪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함경북도 변계경무관 김병약씨가 경무쳥으로 공보하기를 거월이십팔일에 아병 여명이 죵셩군 쥬차에 돌입하야 춍과 탄환을 탈하고 경무셔에 돌입하야 말하기 한국춍금이 아국에 대단방라하고 슌검의 군도 륙십구병을 탈하고  군긔고에 돌입하야 졔반군긔를 슈하야 혹 쇼화도...
    게재일1904년 12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46)

  • 반환미지 환경오염정화사업(2공구) 문화재 표본시굴조사 약보고서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반환미지 환경오염정화사업(2공구) 문화재 표본시굴조사 약보고서 j3-0007_#1 유구 도면1.조사지역 현황도 2013-10-15_0.5747339_도면1.조사지역 현황도.jpg j3-0007_#2 유구 사진9.Tr.2 기와가마
    제목반환미군기지 환경오염정화사업(2공구) 문화재 표본시굴조사 약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한미관계와 미지_ 그리고 여성(1950~70년대)_6주차_1차시
    [보편 인문학적 소통을 위한 글로벌한국사 – 해외수요에 기반한 ‘통합형’ 커리큘럼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조선 사회에서 여성과 가족(1910~30년대) 3주차_ 태평양전쟁과 총동원체제 하의 여성들(1930~40년대) 4주차_ 일본군 ‘위안부’ - 침묵을 강요당한 피해자(1940년대) 5주차_ 한국전쟁과 여성(1940~50년대) 6주차_ 한미관계와 미지_ 그리고 여성(1
    강좌제목젠더의 관점에서 한국 근현대사 바라보기 | 강의자김지민 교수
  • 한미관계와 미지_ 그리고 여성(1950~70년대)_6주차_2차시
    [보편 인문학적 소통을 위한 글로벌한국사 – 해외수요에 기반한 ‘통합형’ 커리큘럼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조선 사회에서 여성과 가족(1910~30년대) 3주차_ 태평양전쟁과 총동원체제 하의 여성들(1930~40년대) 4주차_ 일본군 ‘위안부’ - 침묵을 강요당한 피해자(1940년대) 5주차_ 한국전쟁과 여성(1940~50년대) 6주차_ 한미관계와 미지_ 그리고 여성(1
    강좌제목젠더의 관점에서 한국 근현대사 바라보기 | 강의자김지민 교수
  • 한미관계와 미지_ 그리고 여성(1950~70년대)_6주차_3차시
    [보편 인문학적 소통을 위한 글로벌한국사 – 해외수요에 기반한 ‘통합형’ 커리큘럼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조선 사회에서 여성과 가족(1910~30년대) 3주차_ 태평양전쟁과 총동원체제 하의 여성들(1930~40년대) 4주차_ 일본군 ‘위안부’ - 침묵을 강요당한 피해자(1940년대) 5주차_ 한국전쟁과 여성(1940~50년대) 6주차_ 한미관계와 미지_ 그리고 여성(1
    강좌제목젠더의 관점에서 한국 근현대사 바라보기 | 강의자김지민 교수
  • 한미관계와 미지_ 그리고 여성(1950~70년대)_6주차_4차시
    [보편 인문학적 소통을 위한 글로벌한국사 – 해외수요에 기반한 ‘통합형’ 커리큘럼 |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조선 사회에서 여성과 가족(1910~30년대) 3주차_ 태평양전쟁과 총동원체제 하의 여성들(1930~40년대) 4주차_ 일본군 ‘위안부’ - 침묵을 강요당한 피해자(1940년대) 5주차_ 한국전쟁과 여성(1940~50년대) 6주차_ 한미관계와 미지_ 그리고 여성(1
    강좌제목젠더의 관점에서 한국 근현대사 바라보기 | 강의자김지민 교수

기타자료(348)

  • 영;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2759 남한 경성 양정고등보통학교 1-35 양정 제6호 1930 90면 1. 양정교우회 회원명부;1) 통상회원;(9) 제1학년 을 (75명) 영;永 (원적)경성부 관훈동 73-2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양정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83. 대한제국 내 일본 해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83. 대한제국 내 일본 해지 n°57 Stations navales du Japon en Corée C, D, N 정치 법제, 경제 산업, 국제 문헌, 사건, 인물, 제도, 지명 근대 대한제국 고서/고문서 해지 건설을 위해 진해와
    집필자F. 베르토,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부영사 | 작성연도1910년 | 작성월일9월 02일 | 발신자F. 베르토,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부영사 | 수신자부르주아, 프랑스 외무부 장관
  • 89. 대한제국 내의 일본 해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89. 대한제국 내의 일본 해지 Bases navales du Japon En Corée A, N 지리, 국제 문헌, 지명 근대 서울, 진남포, 마산포 고서/고문서 진남포와 마산포에 해지를 건설하려는 일본의 계획에 대한 보고 진남...
    집필자부르주아, 프랑스 외무부 장관으로 추정 | 작성연도1910년 | 작성월일11월 15일 | 발신자부르주아, 프랑스 외무부 장관으로 추정 | 수신자프랑스 해군성
  • 97. 대한제국의 일본 해지 관련 보고서 전송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97. 대한제국의 일본 해지 관련 보고서 전송 Envoi d’un rapport relatif aux bases navales du Japon en Corée A, N 지리, 국제 문헌 근대 대한제국 고서/고문서 대한제국 내 일본 해...
    집필자C. 오베르, 군사참모부 해군소장 | 작성연도1910년 | 작성월일12월 15일 | 발신자C. 오베르, 군사참모부 해군소장 | 수신자S. 피숑, 프랑스 외무부 장관
  • 13. 공술고등학교설치법중개정법률안(정부제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13. 공술고등학교설치법중개정법률안(정부제출) 13. 공술고등학교설치법중개정법률안(정부제출) 교육 문헌 현대 교육법령 심의자료 교육기회확대
    범주1교육법령 | 형식국회회의록 | 한글저자11대법제사법위원회 | 사료철명국회회의록

연구과제(2)

주제어사전(96)

  • / [정치·법제/국방]

    군사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병기·기치·융장·집물 등을 지칭. 그러나 협의로는 의갑(衣甲)·기휘(旗麾)·악기(樂器)와 구분되기도 한다.

  • 시 / [정치·법제/국방]

    병기·기치·융장·집물 등의 제조 업무를 관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서. 병조의 속아문으로서 고려시대에는 감과 시가 몇 번 교대로 바뀌어 불렸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1392년(태조 1)에 감이 설치되었다가 1466년(세조 12)에 시로 개칭되었다.

  • 창 / [역사/근대사]

    1904년 7월에 설치된 의 제조와 수리 등을 관장하던 관서. 창은 조선 말기 기기국 등을 개편한 것이다. 군부대신의 관할 아래 각 병과에서 필요로 하는 와 탄약의 제조 및 수리를 담당하였다. 설치 당시의 책임자는 제리라고 하였으나 뒤에는 관리, 창장 등으

  • 몽김장 / 夢金將 [문학/고전산문]

    조선 중기에 장경세(張經世)가 지은 한문소설. 몽유록(夢遊錄)계 작품으로, 작자의 문집인 『사촌집(沙村集)』 권3에 수록되어 있다. 이 작품은 정유재란 당시 남원성이 함락될 때 전사한 김경로 장군이 꿈에 나타나 자신의 내력과 순절하기까지의 과정을 전하면서 나라와 임금을

  • 흥선대원린흉배 / 興宣大院麟胸背 [생활/의생활]

    조선 말기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이 상복(常服) 단령(團領)에 달았던 기린(麒麟)이 수놓인 흉배. 단령 없이 흉배 1쌍이 1979년 1월 23일 중요민속자료 제65호로 지정되어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흉배는 관리의 관복 단령 앞뒷면에 부착하여 품계를 나타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