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군국기무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7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8)
사전(151)
- 의정존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94년 갑오경장이 전개되면서 군국기무처(軍國機務處)에서 의결한 사항들을 모은 존안. [서지적 사항] 1책 41장. 필사본. 표제는 『경장의정존안(更張議定存案)』으로 되어 있다. 군국기무처에서 1894년 6월 28일부터 10월이칭별칭경장의정존안(更張議定存案)
- 군국기무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발족 당시 군국기무처는 총재 1명, 부총재 1명, 그리고 16명 내지 20명 미만의 회의원(會議員)으로 구성되었다. 이밖에 군국기무처에는 2명 정도의 서기관이 있어서 활동을 도왔고, 또 회의원 중 3명이 기초 위원으로 선정되어 의안의 작성을 책임진 것 같다....
- 군국기무처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894년 7월 갑오개혁을 추진하기 위해 설치했던 관청.정의1894년 7월 갑오개혁을 추진하기 위해 설치했던 관청.[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Gun-guk Gimucheo | MR표기Kun’guk Kimuch’ŏ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군국기무처의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94년 7월 27일부터 12월 17일까지 144일간에 갑오경장의 담당기구인 군국기무처에 의결, 채택한 제도개혁안 내지 정책건의안. [개설] 총수는 약 210건에 달한다. 이들 의안은 정치‧경제‧사회‧사법‧군사 및 교육 등 여러 분야의...
- 군국기무처(軍國機務處)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군국기무처 군국기무처 軍國機務處 의정부(議政府) 총재(總裁), 부총재(副總裁), 의원(議員) 의안(議案), 교정청(校正廳), 갑오개혁(甲午改革)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고종 왕현종 1...상위어의정부(議政府) | 하위어총재(總裁), 부총재(副總裁), 의원(議員) | 관련어의안(議案), 교정청(校正廳), 갑오개혁(甲午改革)
고서·고문서(6)
- 관리 교체 및 개혁안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조혼금지, 조세제도, 법원, 경찰, 경복군점령, 일본군, 군국기무처대표표제어관리 교체 및 개혁안 | 발신자Krien | 수신자Caprivi | 발신지서울 | 수신지베를린
- 조선의 개혁 : 새로운 관제의 일람표와 알현 시의 가마 문제 해결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94.10.27 1894.12.22 서울 베를린 No.78 A.11701 사본 조선의 개혁 작업 중단. 조선 남부의 폭동(동학). 조선, 내정개혁, 군국기무처, 동학농민전쟁, 동학농민군, 반란, 전라도, 경기도, 대구 12월 25일 런던...대표표제어조선의 개혁 : 새로운 관제의 일람표와 알현 시의 가마 문제 해결 | 발신자Krien | 수신자Caprivi | 발신지서울 | 수신지베를린
- 조선의 개혁 : 새로운 관제의 일람표와 알현 시의 가마 문제 해결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서울 베를린 No.62 A.9244 보고 조선 개혁위원회의 제안들. 새로 임명된 관료 목록. 알현 시의 가마 문제가 해결됨. 외무부 장관에 김윤식(Kim Yun Sik), 차관에 김가진(Kim Ka Chin)이 임명됨. 조선, 내정개혁, 군국기무...대표표제어조선의 개혁 : 새로운 관제의 일람표와 알현 시의 가마 문제 해결 | 발신자Krien | 수신자Caprivi | 발신지서울 | 수신지베를린
- 조선의 정세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분리, 매관매직, 칙령, 박영효, 일본군, 동학농민전쟁, 내무대신, 서광범, 법무대신, 군국기무처, 충청도, 조선군, 양호도순무영, 전라도, 갑오개혁 조선 왕에게 제출한 이노우에 백작의 건백서 번역 연도번호 No.650대표표제어조선의 정세 | 발신자Krien | 수신자Hohenlohe-Schillingsfürst | 발신지서울 | 수신지베를린
- 손해금 청구 항소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도의 병마절도사와 수군절도사를 통틀어 이르던 말. 원문에는 ‘藩相’, 『고종실록』 31년 7월 15일조의 해당 의안에는 ‘藩梱守’라고 되어 있음., 수령 및 토호에게 강점되거나 가격을 낮추어 강제로 매입된 경우에는 10년 이내에 본 주인이 군국기무처[軍國機務所]에 소송...재판기관경성공소원(京城控訴院) 민사제2부 | 판결일자1909년 12월 21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신문·잡지(1)
- 법전월보_1964_00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농업기본법안 20 한국법제의근대화과정(2)-국회와 내각의 권한을 아울러 가진 군국기무처 남만성 23 무고자의 단죄 큐엔틴 레이놀드...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4
주제어사전(12)
-
군국기무처 / 軍國機務處 [정치·법제/법제·행정]
군국기무처는 대원군파(이태용, 이원긍, 박준양 등)와 반대파(김학우, 이윤용, 안경수 등) 사이의 갈등과 분쟁으로 기능이 점차 약화되었다. 그 뒤 10월 이후에 일본의 대한정책이 적극 개입정책으로 바뀌면서 결국 폐지되었다.
-
군국기무처의안 / 軍國機務處議案 [역사/근대사]
1894년 7월 27일부터 12월 17일까지 144일간 군국기무처에서 의결, 채택된사항을 수록한 정책서.관문서·의안. 총수는 약 210건에 달한다. 이들 의안은 정치·경제·사회·사법·군사 및 교육 등 여러 분야의 제도 개혁 내지 현안 해결에 관련된 것이었다.그 중에는
-
대신 / 大臣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의 궁내부, 의정부, 군국기무처, 내각과 내무아문 등 8아문, 내부 등 7부의 장관. 1894년 갑오경장 때 궁내부에 대신 1인, 의정부에 총리대신 1인, 군국기무처에 총재 1인을 두어 총리대신이 겸하였다. 1896년 내각을 다시 의정부로 환원하여 의정 1인
-
개국기년 / 開國紀年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갑오개혁 때 채택한 연호.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한 1392년을 원년으로 하고 채택년인 1894년을 503년으로 산정하였다. 군국기무처는 6월 28일 신분, 제도, 관습의 개혁과 아울러 모든 국내외의 공문서에 개국기년을 사용할 것을 의결하였다. 이 제도는 이
-
기공국 / 紀功局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녹훈의 업무를 관장하던 관청. 1894년 7월 11일 군국기무처 의안으로 충훈부를 개칭한 기공국을 의정부 안에 설치하여 관리의 규찰·상벌을 담당한 도찰원이 관리하도록 하였고, 주사 2인을 두었다. 그 해 7월 의정부 관제가 개편될 때 도찰원에서 독립, 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