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군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9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847)
사전(1,745)
- 군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衛軍)이나 영진군(營鎭軍)도 시위군관‧영진속군관(營鎭屬軍官)이라 호칭한 바 있다. 시위군이나 영진군에도 총패(摠牌)‧소패(小牌) 등 장교에 해당하는 직책이 있었다. 그러나 이들은 시취(試取)를 통해 별시위(別侍衛)‧갑사(甲士) 등으로 선발되거나 무과에 급제해야...
- 군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장수 휘하에서 여러 군사적 직임을 수행하던 장교급의 무관.정의장수 휘하에서 여러 군사적 직임을 수행하던 장교급의 무관.[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un-gwan | MR표기kun’gwa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장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각 군영에 속하여 있던 군관. [내용] 고려시대에는 주현군(州縣軍)의 장교에 호장층(戶長層)이 맡는 별장과 기관층(記官層)이 맡는 교위(校尉)‧대정(隊正)이 있었다. 조선시대에 오면 더 세분화되어 양반자손으로 구성되는 권...
- 군관(軍官)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군관 군관 軍官 무관(武官) 정치군사·국방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김종수 [정의] 조선시대 중앙과 지방의 군사기관에 소속되어 여러 군사적 직무를 수행하던 무관(武官). [내용] 조...관련어무관(武官)
- 군관(軍官)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936 제도 군관(軍官) 군관 軍官 사행 중 사신의 호위와 시중을 맡은 동시에 나라의 위상과 행렬의 위계질서를 세우는 일을 담당한 관리. 원래는 군에 적을 두고 군사 일을 맡아보는 관리이다. 일본에서 통신사절단을 구분하는 등급 가운...유형분류제도
단행본(3)
- 한반도주둔일본군 사료총서 8 - 아시아태평양전쟁과 조선군의 동원・개편・해체 [한반도 주둔 일본군(1875~1945) 관계 기초사료 수집 및 번역총서 발간 | 고려대학교]저자 : 김영숙 ... | 출판사 : 역사공간 | 출판일 : 20210830이 책은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진흥사업의 지원을 받아 2016년 12월부터 수행한 토대연구지원사업 ‘한반도주둔일본군(1875~1945) 관계 기초 사료수집 및 번역총서 발간’ 연구팀의 학술적 성과를 집대성한 것이다. 총 3년에걸친 연구를 바탕으로 ‘한반도주둔일본군 관계...
- 한반도주둔일본군 사료총서 7 - 일제 말기 조선군의 전시동원과 식민지배 [한반도 주둔 일본군(1875~1945) 관계 기초사료 수집 및 번역총서 발간 | 고려대학교]저자 : 조건 ... | 출판사 : 역사공간 | 출판일 : 20210830이 책은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진흥사업의 지원을 받아 2016년 12월부터 수행한 토대연구지원사업 ‘한반도주둔일본군(1875~1945) 관계 기초 사료수집 및 번역총서 발간’ 연구팀의 학술적 성과를 집대성한 것이다. 총 3년에걸친 연구를 바탕으로 ‘한반도주둔일본군 관계...
- 영조 자손 자료집 4 - 옹주, 세손, 왕손 -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정해은(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이근호(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임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3.10.15.분야언론‧출판 | 유형단행본《淸璿郡主嘉禮謄錄》 《恩彦君恩信君冠禮儀軌》 《淸瑾縣主嘉禮儀軌》 《恩全君嘉禮謄錄》
논문(1)
- 연행록을 통해 본 先來軍官의 운용 양상 [연행록사전(燕行錄事典) 편찬 및 DB 구축 사업 (Ⅱ) - 19세기 연행록 148종을 대상으로 -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김동건 | 게재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고서·고문서(4,969)
- 육군관과 육군관 내부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1897 P-SDK-01897-P-M-06-05 P-SDK-01897-P-M-06-05-1 P-SDK-01897-P-M-06-05-2 육군관과 육군관 내부 陸軍舘 陸軍舘內部 비행기와 곡사포가 전시된 육군관과 육군관 내부를 인쇄한 엽서 대동아건...자료명육군관과 육군관 내부 | 발행처大東亞建設博贊助會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연령군관례등록(延齡君冠禮謄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예조에서 숙종의 여섯째 아들 연령군의 관례와 가례를 기록한 등록이다. 표제는 연령군가례등록(延齡君嘉禮謄錄)으로 되어 있으나, 내용은 관례등록이 먼저 기록되어 있고 그 다음에 가례등록이 기록되어 있다. 1706년 8월 8일에 있었던 연령군의 관례과정, 그리고 1707년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연잉군관례등록(延礽君冠禮謄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숙종 29년(1703) 12월에 행해진 연잉군의 관례와 이듬해의 가례 그리고 동왕 36년(1710)의 출합(出閤)에 이르기까지 그 절차와 전말을 예조에서 날짜순으로 정리한 등록이다. 「관례(冠禮)」는 숙종 29년(1703) 11월에 논의를 시작하여 1...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화태관과 해군관과 육군관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0852 P-SDK-00852-P-M-16-11 P-SDK-00852-P-M-16-11-1 P-SDK-00852-P-M-16-11-2 화태관과 해군관과 육군관 조선박람회기념회엽서 봉투없음. 16매 세트. 사제엽서 문화생활 박람회 근...자료명화태관과 해군관과 육군관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연잉군관례등록(延礽君冠禮謄錄)(1)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기록되어 있다. 이 등록은 연잉군관례등록(K2-2661)을 후대에 발췌, 전사한 것으로 보인다. 관례와 출궁편은 내용이 일치하나, 가례편은 내용이 소략하다.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구술자료(4)
- 황헌친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만주생활 하우스만과의 관계 및 하우스만에 대한 평가 숙군관련 개인들에 대한 평가와 일화 고급부관역임 당시의 임무 및 청년단체와 군의 관계 상관에 대한 평가 장면정권에 대한 평가, 황태성사건분야역사 | 유형인물 | 지역서울 | 시대현대 | 테마현대사와 군
- 정원봉, 김원희, 김화성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스타크리닝, 안나 또리스, 알래스카, LST, S2, 여포, 연길, 연세대학교, 용강, 육군병원, 6.25, 의용군, 인민군, 인민군 군관학교, 인천, 일본, 1.4후퇴, 1대대 정보과, 장이욱, 전시연합대학, 정상준, 제주도, 조만식, 조운면, 종로경찰서, 종로5가,구술자정원봉, 김원희, 김화성 | 직업무직 | 지역평안도
- 1.4 후퇴 때 벌어진 보복사건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과 함께 죽창을 들고 싸우려고 했으나 상대가 되지 않았고 인민군이 항복하면 살려주겠다는 말에 모두 항복한다. 화자의 집에서 인민군들이 숙박을 해결했는데 어느 날 소대장급의 인민군관이 누이의 책가방을 보더니 고향 생각이 난다며 눈물 흘리는 모습을 보게 된다. 인민군들은조사지역충남 당진 | 조사일2013년 5월 9일
- 소년 빨치산에서 비전향장기수가 되다.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저녁마다 습격 하고- 습격해가지고 내중에는 100명의 무장대를 확보를 했어요. 그래서 인제 100명의 무장대는 어 떤 성원이냐? 민청학원 학생들하고 그 다음에 도당학교 학생들, 그 다음에 군경대학생들, 군관학교 학생들 잉, 이런 사람들로 인자, 정치공작대, 긍게 도당조사지역인천 | 조사일2013년 8월 1일
기초학문(4)
- 러시아의 민군관계 변화와 민주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홍섭, 게재일 : 201139857 이홍섭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슬라브어학회 2011 러시아의 민군관계 변화와 민주화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유형논문 | 게재일2011
- 북한의 민군관계: 군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성임, 게재일 : 200938533 정성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북한연구학회 2009 북한의 민군관계: 군 역할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유형논문 | 게재일2009
- 북한의 민군관계: 군의 성격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성임, 게재일 : 201240462 정성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북한연구학회 2012 북한의 민군관계: 군의 성격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유형논문 | 게재일2012
- 북한의 민군관계: 현지지도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성임, 게재일 : 201241772 정성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평화문제연구소 2012 북한의 민군관계: 현지지도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956)
- 槐郡官吏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젼젼호에 긔바 괴산군일은 군수쟝긔연씨가 은호구여호를 샤츌야 오여호만 탁지에 보고고그남어쟝군수가 소륭지라 인민표 젼덕호씨가그실을 질문즉 긔가 먹은돈은 몰수히여노마고 즁을다더니 죵시 츌급지 안고로 쇼쟝을 뎡즉 지령도 안이고젼씨를걸어 상부에보...게재일1907년 3월 29일 | 기사분류잡보
- 軍官疏遞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군부협판 량셩환씨와 군무국쟝 쟝화식씨 다 직샹소야갈녓더라게재일1905년 6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민세안재홍전집 : 安在鴻等三名 來月五日公判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125 1937 9 29 1 1 安在鴻等三名 來月五日公判 신문 조선일보 2면8단 조간 기사 정치 간접자료 선집외 軍官學校事件 A19370929조선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講義眞否 證人學生審問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128 1937 10 9 1 1 ◯◯講義眞否 證人學生審問 十二日安在鴻公判 신문 조선일보 2면7단 조간 기사 정치 간접자료 선집외 軍官學校事件 A19371009조선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安在鴻에게 懲役二年求刑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130 1937 10 13 1 1 安在鴻에게 懲役二年求刑 餘外兩名은一年式 신문 조선일보 2면9단 석간 기사 정치 간접자료 선집외 軍官學校事件 A19371013조선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기타자료(165)
- 연해주군관구 군사회의 결정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해방후 한국사회 관련 자료의 수집 번역 및 주해 (1945~1950) | 동국대학교]R007 ЦАМО,ф.142,оп.106479,д.1,лл.1-2. Постановление военного совета Приморского Военного Округа 연해주군관구 군사회의 결정 경제키워드연해주군관구, 군사회의, 북조선인민위원회, 전리품 | 대표주제어전리품 | 발신자연해주군관구 군사회의
- 연해주군관구 제25군 군사회의 결정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해방후 한국사회 관련 자료의 수집 번역 및 주해 (1945~1950) | 동국대학교]R195 ЦАМО,ф.379,оп.532092C,д.1,лл.1-3. Постановление военного совета 25 армии ПРИМ. Военного Округа 연해주군관구 제25군 군사회의 결정키워드일본인, 일본난민원조위원회, 생활개선 | 대표주제어일본인 | 발신자치스차코프, 레베데프, 푸르소프
- 연해주군관구 제25군 군사회의 결정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해방후 한국사회 관련 자료의 수집 번역 및 주해 (1945~1950) | 동국대학교]R197 ЦАМО,ф.379,оп.532092C,д.1,л.6. Постановление военного совета 25 армии приморского военного округа 연해주군관구 제25군 군사회의 결정키워드소련 화폐, 조선 군표 | 대표주제어조선 군표 | 발신자치스차코프, 레베데프, 푸르소프
- 연해주군관구 제25군 군사회의 결정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해방후 한국사회 관련 자료의 수집 번역 및 주해 (1945~1950) | 동국대학교]R198 ЦАМО,ф.379,оп.532092C,д.1,лл.7-8. Постановление военного совета 25 армии приморского военного округа 연해주군관구 제25군 군사회의 결정...키워드비행장, 건설 | 대표주제어비행장 | 발신자치스차코프, 푸르소프, 샤닌
- 연해주군관구 제25군 군사회의 결정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해방후 한국사회 관련 자료의 수집 번역 및 주해 (1945~1950) | 동국대학교]R199 ЦАМО,ф.379,оп.532092C,д.1,лл.19-20. Постановление военного совета 25 армии приморского военного округа 연해주군관구 제25군 군사회의키워드평성, 펌프장, 수도관 | 대표주제어펌프장 | 발신자치스차코프, 레베데프, 샤닌
연구과제(5)
-
연행록사전(燕行錄事典) 편찬 및 DB 구축 사업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조융희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4 | 국내 | 경기
-
한국현대사와 군
구술자료 아카이브 구축사업 | 정용욱 | 서울대학교 | 2015 | 국내 | 서울
-
연행록사전(燕行錄事典) 편찬 및 DB 구축 사업 (Ⅱ) - 19세기 연행록 148종을 대상으로 -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신익철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9 | 국내 | 경기
-
연행록사전(燕行錄事典) 편찬 및 DB 구축 사업 (Ⅲ) - 17세기 이전 연행록 230종을 대상으로 -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신익철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22 | 국내 | 경기
-
일제 말(1937~1945) 조선인 국방헌납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김인호 | 동의대학교 | 2022 | 국내 | 부산
주제어사전(68)
-
군관 / 軍官 [정치·법제/국방]
장수 휘하에서 여러 군사적 직임을 수행하던 장교급의 무관. 고려시대 이전의 경우는 확실하지 않으나, 조선시대에는 일반적으로 장수 휘하에서 여러 군사적 직무를 수행하던 무관을 칭하였다.
-
군관청 / 軍官廳 [예술·체육/건축]
부산광역시 동래구에 있는 조선시대 군관들이 집무를 보던 관청.시도유형문화재. 정면 6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건물.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1호. 동래부 청사건물의 하나로서 군관들의 집무소였다. 장관청(將官廳)과 함께 이곳 군방(軍防)을 담당하는 중추기관으로 세워진
-
권무군관 / 勸武軍官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 훈련도감·금위영·어영청의 3군영에 두었던 관직. 이는 3군영에 각각 50인씩 배정되어 있었는데, 이는 양반자제들을 위한 자리였다. 특히 재직 45개월 이내에는 타직으로 옮길 수 없었다. 권무군관은 1670년(현종 11) 어영청에 처음 설치되었고, 1706
-
별군관 / 別軍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훈련도감·금위영·어영청·수어청·총리청 등의 각 군영에 소속된 군직. 궁성의 순라(巡邏)를 담당한 군사이다. 정원은 각 10인씩이며, 수어청은 9인, 총리청은 100인이었다. 임용절차는 무재가 있는 한량이나 금군 중에서 차출하였으며, 수원부(水原府)의 총리영은
-
별선군관 / 別選軍官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신체가 건강하면서 힘이 센 자로 선발되어 특별히 대전을 호위하는 군관. 호위청에 있는 군관 400인은 서울에 거주하며 궁술에 능한 자로 각 영장이 책임을 지고 선발하여 충당한다. 유급자의 정원은 95인으로 매월 1일에 궁술을 고사하여 유급자를 편입한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