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국화”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42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351)
사전(990)
- 국화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국화’를 의인화한 것이다. 다섯 신하 중 아름답고 기운이 씩씩하다. 동군이 요구하는 바를 말하라고 하자, 자신의 내력과 나라에 기여한 일이 많다며, 자신이 으뜸에 해당한다고 한다. 참대와는 달리 다른 네 신하와 우열을 다투기 힘들어 같은 직임을맡는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국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학명은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이다. 높이는 1m에 달하며 잎은 어긋나고[互生] 자루가 있으며 난형(卵形)으로서 날개모양[羽狀]으로 중앙부까지 갈라진다. [내용] 가장자...
- 국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나라를 상징하는 꽃. [내용] 소수의 몇 나라에서는 국화를 법으로 공식화하였으나,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그렇지 않다. 따라서, 대부분의 나라에서 국화가 정해진 유래는 정확하지 않으며, 그 나라의 역사 및 문화와 깊은 관련을 가진 꽃이 자...
- 菊花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R2_D_0510 菊花 식물 紅菊, 黃菊, 名品, 烏紅, 鶴頂紅, 閨深紅, 三品, 都下人, 下輦紅, 下品, 江城黃, 甘菊, 錦銀黃, 下輦黃 東方 瑣錄 D_18_01_72 대동운부군옥 18권 1장 72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8권 1장 7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菊花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M7_D_0055 菊花 원예 渠若 牧隱, 淵明 菊花詩, 詩格 D_19_06_21 대동운부군옥 19권 6장 21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9권 6장 2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4)
- 우리철학, 어떻게 할 것인가 [우리철학, 어떻게 할 것인가? - 근대전환기 한국철학의 도전과 응전 - | 조선대학교]저자 : 이철승 ... | 출판사 : 학고방 | 출판일 : 20200915이 책은 21세기형 우리철학의 정립이라는 문제의식으로 ‘철학’ 용어가 출현한 19세기 후반부터 21세기가 진행되고 있는 현재까지 한국의 철학계 현황을 고찰한다. 우리철학 정립의 이론적 토대에 해당하는 고유의식, 외래철학의 한국화, 전통철학의 비판·계승·변용, 자생철학의...
- (조선시대 궁중회화 1) 왕과 국가의 회화 [장서각 왕실문화총서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박정혜(한국학중앙연구원 미술사학과 교수), 윤진영(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1.5.9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4) 궁중에 보관했던 그림들 (5) 일제 강점기 궁중 컬렉션 (6) 조선 궁중회화 컬렉션의 의미를 되새기며 4. 제국을 꿈꾸었던 전환기의 한국화단 (1) 전환기의 국가와 미술
- (조선시대 궁중회화 3) 왕의 화가들 [장서각 왕실문화총서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박정혜(한국학중앙연구원 미술사학과 교수), 윤진영(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2.10.31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1) 전환기 한국화단과 왕실의 화가 (2) 도화서의 마지막 화가들 (3) 외교의 문화사절이 되어 (4) 화가에서 기술직 전문인으로 (5) 근대 미술교육의 선구자들
- 韓國學研究論文集(四) [중국문화대학 | Chinese Culture University]저자 : ... | 출판사 : 中國文化大學華岡出版部 | 출판일 : 2015.12.유형단행본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李玮玮 ‧ 日本殖民時期朝鮮和臺灣辯士研究 - 金倫辰 ‧ 한국화교와 짜장면의 한국화 - 두언문
논문(3)
- 한국 한문문헌의 중국에서의 유전과 활용에 관한 연구 [중국 화남지역 한국학 교육연구 특성화 및 플랫폼 구축 | 吉林大学珠海学院]저자 : 유영련 | 게재정보 : 한중인문학연구
- 한국문학 번역전략 모색: 외국화와 국내화를 중심으로 [따따르스탄 및 러시아 중남부 지역의 한국학 진흥 | Kazan Federal University]저자 : CHUN HYUNJU | 게재정보 : The Journal of Direc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in Russia
- 최근 중국 통화 정책효과에 대한 실증 분석 關於近年來中國貨幣政策有效性的實證分析 [중한 전략적 동반자 협력관계 시각에서 복합형 한국학 인재 양성 모델 추진방안 | 遼寧大學 (Liaoning University)]저자 : Zhang ShengYu | 게재정보 : 접경지역통일연구
고서·고문서(4,238)
- Телеграмма Бахметьева к Извольскому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일본은 포츠머스조약에서 승인된 통치권과 보호권을 자신의 이익을 위해 아주 폭넓게 해석할 계획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인들이 러시아를 신뢰하도록 만들어야만 한다는 내용.작성국가러시아 | 원소장처러시아연방 국립문서보관소 | 발신일1906.5.25.-1906.6.6.
- 국화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7140 창가 表情遊戱唱歌集 第二輯 22104 1936 車士百 中央保育學校 車士百 金煥 壹円 四十錢 국화 〈mn〉오선악보 있음〈/mn〉 〈#57〉 [ 1 ] 곱다랏케 피엿고나 담장 아래 적은 국화 한 갓치 꺽습니다 금빗갓치 노...구분창가 | 편저자車士百
- 국화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국화 김 여자 황해북도 개성특급시 내몽골 자치구(内蒙古自治区) 호륜패아맹(呼伦贝尔盟) 해납이시(海拉尔市) 건화로18-35...대표표제어국화 | 성씨김
- 국화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국화 박 남자 황해북도 개성특급시 내몽골 자치구(内蒙古自治区) 호륜패아맹(呼伦贝尔盟) 해납이시(海拉尔市) 건화로 18-3...대표표제어국화 | 성씨박
- 국화(菊花)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6100 창가 叙情唱歌 22059 1922년 鄭敬惲 京城 廣文書市 鄭敬惲 金重煥 三十錢 국화(菊花) 〈#24〉 [ 一 ] 화란(花爛) 춘풍(春風) 조흔 를 무정(無情)하게 다 지내놋코 구추(九秋) 상강(霜降) 찬바람에 네 홀...구분창가 | 편저자鄭敬惲
구술자료(16)
- 국화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민요 17에 이어서 제보자의 자청으로 한 노래다. 주위가 어수선할 뿐 아니라 녹음기의 상태도 좋지 않아서 채록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조사일시1980-08-04 | 조사장소경상남도 진양군 미천면 | 제보자김순금
- 국화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장소경상남도 진양 | 제보자김순금
- 사랑앞에 국화를 심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한 번 부르고 난 뒤에 생각이 많이 났는지 연이어 계속 불러주었다.조사일시2009.02.15 | 조사장소경상남도 함양군 휴천면 대천리 미천마을 | 제보자민경옥(여,80세)
- 노랫가락(창밖에 국화를심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자가 노래를 한 번 불러달라고 부탁하자 처음에는 망설였지만, 이내 과감히 한 소절 시작하면서 자신있게 불러주었다.조사일시2011. 1. 18 (화) | 조사장소경상남도 남해군 남해읍 아산리 중앙경로당 | 제보자김말엽
- 창부타령(국화야 너는 어이하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보자가 노래를 시작하자 청중들은 잘한다며 박수를 치고 추임새를 넣으며 함께 즐거워하며 경청하였다.조사일시2011. 1. 18 (화) | 조사장소경상남도 남해군 남해읍 아산리 중앙경로당 | 제보자류복아
기초학문(224)
- 중국의 강대국화와 인도의 대응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병광, 게재일 : 200708887 박병광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타 2007 중국의 강대국화와 인도의 대응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유형논문 | 게재일2007
- 한국화교의 정의 및 범주에 관한 시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최승현, 게재일 : 201139322 최승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인문학회/중국인문학회 2011 한국화교의 정의 및 범주에 관한 시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11
- 불교 가람의 중국화에 관한 문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임남수, 게재일 : 201458906 임남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미술사연구회 2014 불교 가람의 중국화에 관한 문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지방의회선거를 통해 본 정치의 전국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정도, 게재일 : 201364616 김정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정치학회 2013 지방의회선거를 통해 본 정치의 전국화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유형논문 | 게재일2013
- 미국 개신교 선교사의 중국화 번역 전략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071633 한국연구재단 한국외대 중국연구소 2010 미국 개신교 선교사의 중국화 번역 전략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603)
- 典圜局火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본월일일 하오 오시에 룡산뎐환국 긔계소에셔 불이닐어나 그긔계등속이 몰슈이 회록이 되얏고 다이 부근인민의집은 연소치안이얏 그손된 춍이 삼만원가량이라더라게재일1906년 3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菊 (국화)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작품명_원문菊 | 게재일19290109 | 게재판무 | 게재면02 | 게재단6-8
- 韓國貨制决議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본진보당은 한국 화폐졔도 문뎨 연구즁이더니 방쟝 구졔법을만들어 목하뎐고문에게 일본졍부에셔 명령게기로 결의얏다더라게재일1905년 12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永田勝一郎(國華堂)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永田勝一郎(國華堂) 서울 永田勝一郎 國華堂 本町 4-131 오락구및운동구 - 축음기 및 레코드 소매 32.58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대표표제어永田勝一郎(國華堂) | 지역서울 | 품목오락구및운동구 | 영업종목축음기 및 레코드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韓德鎬(國華堂藥房)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韓德鎬(國華堂藥房) 서울 韓德鎬 國華堂藥房 明倫町 2-221 복장품 - 화장품 소매 18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韓德鎬(國華堂藥房) | 지역서울 | 품목복장품 | 영업종목화장품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멀티미디어(116)
- 15세기 중반 누른국화[黃菊]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O/X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경제_460_약재_15세기_중반_누른국화[黃菊] 경제_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불교의 전체적 흐름과 특징을 강의 한다. 1주차. 불교의 중국 전래와 동아시아 2주차. 불교의 중국화-도교와 유교 3주차. 불전 한역과 한자문화권 4주차. 학파불교와 고구려·백제·신라 5주차. 법상종·화엄종과 통일신라 6주차. 선종의 전개와 한반도 전래 7주차. 송강좌제목중국불교ㆍ한국불교의 관계 | 강의자김영진
- 불교의 전체적 흐름과 특징을 강의 한다. 1주차. 불교의 중국 전래와 동아시아 2주차. 불교의 중국화-도교와 유교 3주차. 불전 한역과 한자문화권 4주차. 학파불교와 고구려·백제·신라 5주차. 법상종·화엄종과 통일신라 6주차. 선종의 전개와 한반도 전래 7주차. 송강좌제목중국불교ㆍ한국불교의 관계 | 강의자김영진
- 불교의 전체적 흐름과 특징을 강의 한다. 1주차. 불교의 중국 전래와 동아시아 2주차. 불교의 중국화-도교와 유교 3주차. 불전 한역과 한자문화권 4주차. 학파불교와 고구려·백제·신라 5주차. 법상종·화엄종과 통일신라 6주차. 선종의 전개와 한반도 전래 7주차. 송강좌제목중국불교ㆍ한국불교의 관계 | 강의자김영진
- 불교의 전체적 흐름과 특징을 강의 한다. 1주차. 불교의 중국 전래와 동아시아 2주차. 불교의 중국화-도교와 유교 3주차. 불전 한역과 한자문화권 4주차. 학파불교와 고구려·백제·신라 5주차. 법상종·화엄종과 통일신라 6주차. 선종의 전개와 한반도 전래 7주차. 송강좌제목중국불교ㆍ한국불교의 관계 | 강의자김영진
기타자료(157)
- (시) 국화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시) 국화 (시) 국화 (詩) 菊花 교육 문헌 초등교육 교사문화 교육총류 기타총류 잡지 ...범주1초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노봉수 | 사료철명강원교육
- (시) 들국화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시) 들국화 (시) 들국화 (詩) 들菊花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초등교육 교사문화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박형균 | 사료철명강원교육
- 국화 재배의 실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국화 재배의 실제 국화 재배의 실제 교육 문헌 교육기회확대 학교시설설비 잡지범주1교육기회확대 | 형식잡지 | 한글저자서원석 | 사료철명수도교육
- (교단문원) 들국화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단문원) 들국화 (교단문원) 들국화 교육 문헌 초등교육 교사문화 교육총류 기타총류 잡...범주1초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군재 | 사료철명강원교육
- (문예) 다람쥐와 들국화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문예) 다람쥐와 들국화 (문예) 다람쥐와 들국화 교육 문헌 초등교육 교사문화 잡지 ...범주1초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강준영 | 사료철명문교경북
연구과제(6)
-
러일전쟁, 일제강점의 서막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항준 | 서울여자대학교 | 2020 | 국내 | 서울
-
미국문화의 수용과 한국매체의 발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윤상길 | 신한대학교 | 2019 | 국내 | 경기
-
국악찬양, 한국적 기독교음악 만들기의 역사와 제 양상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김묘신 | 한국예술종합학교 | 2023 | 국내 | 서울
-
제국의 형이상학과 식민지 공공성의 재구성: '신체제' 시기 조선의 역사철학자들을 중심으로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이혜진 | 세명대학교 | 2013 | 국내 | 충북
-
해방 이후 ‘한국적인 것’의 역사적 형성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김경일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5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67)
-
국화 / 菊花 [과학/식물]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학명은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이다. 높이는 1m에 달하며 잎은 어긋나고[互生] 자루가 있으며 난형(卵形)으로서 날개모양[羽狀]으로 중앙부까지 갈라진다. 가장자리는 불규칙한 톱니모양이다. 가을철에 원
-
국화 / 國花 [정치·법제/정치]
나라를 상징하는 꽃. 우리나라에서 무궁화는 역사적, 풍토적으로 우리 나라와 깊은 관련성이 있었기 때문에 국화로 자연스레 정해졌다. 그러나 광복 이후 무궁화의 국화로서의 자격에 대한 많은 시비가 일어나고 있으며, 그 대안으로 개나리나 진달래를 제시하기도 한다. 이러한
-
국화옆에서 / 菊花─ [문학/현대문학]
서정주(徐廷柱)가 지은 시. 4연 13행의 자유시로 서정주의 대표작이다. 1947년 11월 9일자 『경향신문』에 발표되었다. 이 작품이 시집에 수록된 것은 『서정주시선(徐廷柱詩選)』(1956)에서 비롯된다. 이 시는 국화를 소재로 하여 계절적으로는 봄·여름·가을까지
-
국화주 / 菊花酒 [생활/식생활]
국화를 이용하여 빚은 술. 술을 빚을 때 국화를 함께 넣어서 빚는 경우와 곡물과 누룩만으로 빚은 술에 국화향기를 침투시키는 방법이 있다. 고려시대의 『동국이상국집』·『파한집』 등의 문헌에 기록이 보이고, 조선시대의 세시기(歲時記)에도 나타난다. 『동의보감』·『요록』·
-
금국화 / 金菊花 [문학/현대문학]
작자·연대 미상의 신소설. 상·하 2권. 활자본. 이 작품은 계모와 전처소생 자식과의 갈등을 소재로 권선징악적 인과를 그리고 있다. 이는 고소설 중 가정소설의 전형적인 주제로 고소설과 신소설의 밀접한 관계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하겠다. 그러나 이 작품에서는 계모 최씨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