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국학”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44,70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44,163)
사전(30,352)
- 조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신라시대의 관직. [내용] 최고학부인 국학의 교수관으로, 747년(경덕왕 6)에 설치되어 박사를 보좌하였다. 『논어』ㆍ『효경』 등의 경전이나 『철경(綴經)』ㆍ『삼개(三開)』ㆍ『구장(九章)』ㆍ『육장(六章)』등 산학(算學)에 관한 교육을 담...
- 국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신라시대의 교육 기관. [개설] 682년(신문왕 2)에 설치하였다. 당시에는 국학이라 했다가 경덕왕 때 태학감(太學監)이라 했고, 혜공왕 때 다시 국학으로 고쳐 불렀다. 예부(禮部)에 속하였다. [연원 및 변천]이칭별칭태학감(太學監)
- 국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중앙에 있었던 교육기관. [내용] 국학은 992년(성종 11) 당나라의 제도를 본떠서 국자감(國子監)으로 개편되었다가 1275년(충렬왕 1)에 원나라의 간섭으로 국자감을 국학으로 고치면서 관원으로는 대사성(大司成)ㆍ전주(典酒)ㆍ...
- 국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국학이란 한국학을 지칭하나 좁게는 전통적인 한국의 어문학, 역사학, 철학, 농학, 법학 등을 가리킴. [내용] 현대의 한국에 관한 학문을 포괄할 경우 한국학이라 할 수 있으나 이를 국학이라고 칭할 수 없다는 점은 국학과 한국학의 차이를
- 국학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자기 나라의 고유한 역사‧언어‧풍속‧신앙‧제도‧예술 따위를 연구하는 학문.정의자기 나라의 고유한 역사‧언어‧풍속‧신앙‧제도‧예술 따위를 연구하는 학문.[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문광부표기gukhak | MR표기kukha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단행본(220)
- 절강성지역 해외한국학 논문집1 [중국 절강성지역 한국학 교육 플랫폼 구축 | 浙江越秀外國語學院 (Zhejiang Yuexiu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s)]저자 : 절강성중한경제문화교류연구회 ... | 출판사 : 항주한서수자출판전파유한공사 | 출판일 : 202302언어와 문학, 역사와 문화, 정치와 외교 등 분과를 나누어 한국학 관련 학과들에서 거둔 최신 연구성과들을 공유하고 향후 절강성지역 한국학 교육과 연구의 발전방향을 모색. 언어, 문학, 역사, 문화, 정치, 외교 등 한국학 관련 여러 영역에 걸쳐 진지한 연구와 탐색을 ...
- 한국학 3 [공존과 소통의 한국학: 중앙아시아 한국학의 가치 창출 | Kazakh Ablai Khan University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World Languages]저자 : 박 넬리, 장호종 ... | 출판사 : 카자흐 국제관계 및 세계언어대 출판부 | 출판일 : 202101유형단행본본교에서 개설한 한국학 강좌와 연계하여 한국학1은 지리, 역사, 경제, 교육 등 기초적인 단계의 한국학 입문교재로서 개발하였다. 한국학2는 경제와 산업을 중심으로, 한국학3은 정치와 외교를 중심으로 한국학 심화교재로 개발하였다. 본교 중핵대학사업단이 교재개발에 참여하고...
- 한국의 근대형상과 한국학: 비교 역사의 시각 [해방 이후 ‘한국적인 것’의 역사적 형성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김경일 ...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2012이 책은 한국과 한국인에 관한 서술과 기록, 관찰, 가치나 의식, 감정, 이데올로기나 지식 등을 역사와 장소에 따라 체계화하여 검토해 보고자 하는 의도에서 비롯되었다. 이른바 한국적인 것, 한국다움, 한국의 가치와 이념, 한국 특유의 행동 원리나 속성, 또는 문화의 맥...
- 한국학입문서 [태국 내 한국학 진흥을 위한 한국학 입문서 개발 | Burapha University]저자 : ... | 출판사 : BUU(부라파대학교 한국학센터) | 출판일 : 201801
- 실심실학과 국학 [우리철학, 어떻게 할 것인가? - 근대전환기 한국철학의 도전과 응전 - | 조선대학교]저자 : 김윤경 ... | 출판사 : 학고방 | 출판일 : 20201220본서는 근대 격변기 속에서 속일 수 없는 자기 본심을 자각하고 ‘실현’해 나간 양명학 수용자들의 독자적인 심학을 ’실심실학’으로 규명하고 그것이 역사적 시공간을 관통하여 국학으로 귀결된 과정을 고찰한 것이다. 실심실학자들의 중심에는 정제두 이래 양명학을 주체적으로 수용...
논문(46)
- 터키에서 한국학 발전에 있어서 번역의 중요성 [알타이 문화권을 역류하는 한국학의 새 물결 - 터키어권 인근 국가의 대학 연계를 통한 한국학 연구·교육 시스템 구축 - | Erciyes University]저자 : 괵셀 튀르쾨쥬 | 게재정보 : Journal of Korean Studies in Central Eurasia
- 슬로베니아 한국학의 현황과 전망에 관한 연구 [류블랴나의 한국학 발전 방안 연구 - 신설과목 개설 및 교재 개발 (문학을 중심으로) | University of Ljubljana (University of Ljubljana)]저자 : 강병융 | 게재정보 : 동방학지
- 미국 주요 대학의 한국 경제 관련 강좌 연구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저자 : 정재윤 | 게재정보 : 한국과 국제사회
- 국내 거주 베트남 유학생의 한국학 교육 경험과 문화적응의 관계 [정체성의 정치와 공공외교의 한국학 | 인하대학교]저자 : 박미화 | 게재정보 :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 2017년 중국학계의 고구려 및 발해 연구 목록 [융복합형 전문인력 양성: 중국 내 최고 수준의 한국학 선도대학 재건 프로젝트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저자 : 정경일 | 게재정보 : 고구려발해연구유형논문
고서·고문서(251,857)
- 중국학교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중국학교 김 남자 강원도 강릉시 흑룡강성(黑龙江省) 상지현(尚志县) 어지향 명신대대 3 3 중국학교, 고등학교과정...대표표제어중국학교 | 성씨김
- 한국학자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한국학자 조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하얼빈시(哈尔滨市) 용접연구소 제1연구실 2 2 한국학자, 만나, 과학, 토론하지못...대표표제어한국학자 | 성씨조
- 중국학교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중국학교 백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자무스공학원8121반 1 1 중국학교, 조선족, 청년, 한족학교, 공부, 자기, 민족,...대표표제어중국학교 | 성씨백
- 1890년까지 한반도에서 출판된 방대한 국의 고서에 대한 목록과 분류를 체계젹으로 시도한 프랑스어로 된 최초의 한국학서지. 총 3책 9부로 이루어져 있음. 제1권은 4부까지 포함 1부 [교육 학습서류] 2부 [언어 독본류] 3부 [유교 경전 및 논저] 4부 [...자료구분문헌 | 저자M. Courant | 출처Bibliographie coréenne : tableau littéraire de la Corée, contenant la nomenclature des ouvrages publiés dans ce pays jusqu'en 1890 I | 발행년도1894
- 2권은 5-6부를 포함 5부 [풍습 및 관례] 6부 [역사와 지리]자료구분문헌 | 저자M. Courant | 출처Bibliographie coréenne : tableau littéraire de la Corée, contenant la nomenclature des ouvrages publiés dans ce pays jusqu'en 1891 II | 발행년도1895
구술자료(12,203)
- 04. 청혼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기타 채록 04. 청혼 종교‧철학 행사 현대 4. 청혼.pdf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지역기타 | 구분채록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05. 문굿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기타 채록 05. 문굿 종교‧철학 행사 현대 5. 문굿.pdf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지역기타 | 구분채록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06. 문답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기타 채록 06. 문답 종교‧철학 행사 현대 6. 문답.pdf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지역기타 | 구분채록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24. 제반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기타 채록 24. 제반 종교‧철학 행사 현대 24. 제반.pdf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지역기타 | 구분채록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꽹과리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기타 악기 꽹과리 종교‧철학 행사 현대 꽹과리DB.pdf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지역기타 | 구분악기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기초학문(2,182)
- 러시아에서의 한국학의 제 분야와 범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권철근, 게재일 : 199909923 권철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1999 러시아에서의 한국학의 제 분야와 범위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유형논문 | 게재일1999
- 『세계를 향한 한국학 교과 과정 개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49076 한국연구재단 『세계를 향한 한국학 교과 과정 개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33479유형논문
- 한국학생의 중국어 문장성분 습득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윤유정, 게재일 : 201455510 윤유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어중문학회 2014 한국학생의 중국어 문장성분 습득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유형논문 | 게재일2014
- 2007 한국학세계대회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의영, 게재일 : 200702623 김의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경희대학교 중점연구소 2007 2007 한국학세계대회 .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유형논문 | 게재일2007
- 일본적 영성론과 국학의 생명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466539 한국연구재단 동아시아 고대학회 2014 일본적 영성론과 국학의 생명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96,440)
- 민세안재홍전집 : 獨立宣言記念雄辯大會 九,十兩日貞洞禮拜堂에서開催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282 1946 3 5 1 1 獨立宣言記念雄辯大會 九,十兩日貞洞禮拜堂에서開催 신문 동아일보 2면 5단 기사 정치 간접자료 선집외 己未獨立宣言記念全國學生雄辯大會 A19460305동아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나오라靑少年學徒들아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357 1946 8 7 1 1 나오라靑少年學徒들아 男女學生懸賞雄辯大會에 신문 동아일보 2면 3단 기사 교육 간접자료 선집외 全國學生總聯盟, 雄辯大會 A19460807동아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淸國學生黜校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본동경 륙군관학교에셔 공부 쳥국학 명이 쳥국공를야 무레 일을 엿 그쥬모쟈 십여명은 쳥국남방에셔 닐어난 혁명당과 긔을 샹통쟈이라야츌교기로 작뎡엿다더라게재일1907년 6월 16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 淸國學生服從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본잇난쳥국류학등이 격앙야 퇴학얏더니 학교연셜에 감복야 명년도 신학긔부터 취학다더라게재일1905년 12월 27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 淸國學堂復設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지금 북경에 대학당을복셜데 형부상셔 장희씨가 학부대신을 피임고 젼춍리아문안에 셜립얏든 동문관도 대학당에 합부야 장희씨다러 감독라신 칙령이반포가 되엿더라 장희씨가 젼강동셩에 학교교장이 되엿더니 황뎨가 셔안부로 파쳔엿슬에 각항건의셔를 만이상쥬야 호부상...게재일1902년 2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5,247)
- 족의식과 정체성 4주차. 불안한 근대, 미래를 사유하다 5주차. 조선 도학과 일본 주자학의 간극 6주차. 고학(古學)에서 국학(國學)으로 7주차. 위정척사사상의 문명사적 함의 8주차. 박은식: ‘진아(眞我)’로 근대를 꿰뚫다 – 양지(良知)로 계몽이성과 마주하다 9주차강좌제목일본의 근대와 한국철학 | 강의자박정심, 원용준, 안승우
- 족의식과 정체성 4주차. 불안한 근대, 미래를 사유하다 5주차. 조선 도학과 일본 주자학의 간극 6주차. 고학(古學)에서 국학(國學)으로 7주차. 위정척사사상의 문명사적 함의 8주차. 박은식: ‘진아(眞我)’로 근대를 꿰뚫다 – 양지(良知)로 계몽이성과 마주하다 9주차강좌제목일본의 근대와 한국철학 | 강의자박정심, 원용준, 안승우
- 족의식과 정체성 4주차. 불안한 근대, 미래를 사유하다 5주차. 조선 도학과 일본 주자학의 간극 6주차. 고학(古學)에서 국학(國學)으로 7주차. 위정척사사상의 문명사적 함의 8주차. 박은식: ‘진아(眞我)’로 근대를 꿰뚫다 – 양지(良知)로 계몽이성과 마주하다 9주차강좌제목일본의 근대와 한국철학 | 강의자박정심, 원용준, 안승우
- 족의식과 정체성 4주차. 불안한 근대, 미래를 사유하다 5주차. 조선 도학과 일본 주자학의 간극 6주차. 고학(古學)에서 국학(國學)으로 7주차. 위정척사사상의 문명사적 함의 8주차. 박은식: ‘진아(眞我)’로 근대를 꿰뚫다 – 양지(良知)로 계몽이성과 마주하다 9주차강좌제목일본의 근대와 한국철학 | 강의자박정심, 원용준, 안승우
- 족의식과 정체성 4주차. 불안한 근대, 미래를 사유하다 5주차. 조선 도학과 일본 주자학의 간극 6주차. 고학(古學)에서 국학(國學)으로 7주차. 위정척사사상의 문명사적 함의 8주차. 박은식: ‘진아(眞我)’로 근대를 꿰뚫다 – 양지(良知)로 계몽이성과 마주하다 9주차강좌제목일본의 근대와 한국철학 | 강의자박정심, 원용준, 안승우
연구결과보고서(96)
- 현대 한국학 연구소 [현대 한국학 연구소 | Far Eastern Federal University]자료유형연구보고서
- 태국 내 한국학 진흥을 위한 한국학 입문서 개발 [태국 내 한국학 진흥을 위한 한국학 입문서 개발 | Burapha University]자료유형연구보고서
- 러시아지역 한국학자 발굴 및 고전 한국학 자료 정리 결과보고서 [러시아지역 한국학자 발굴 및 고전 한국학 자료 정리 | 한국학중앙연구원]자료유형연구보고서
- 프랑크푸르트 한국학의 글로칼화를 통한 한국학 교육역량 강화 [프랑크푸르트 한국학의 글로칼화를 통한 한국학 교육역량 강화 | Johann Wolfgang Goethe University]자료유형연구보고서
- 칠레 센트럴대학교 한국학 석사과정 운영과 비교한국학 연구소 설립 [칠레 센트럴대학교 한국학 석사과정 운영과 비교한국학 연구소 설립 | Universidad Central]자료유형연구보고서
기타자료(45,520)
- 한국학생의 인상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한국학생의 인상 한국학생의 인상 韓國學生의 印象 교육 문헌 현대 고등교육 학생생활 잡지 ...범주1고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페기 빌링스 | 사료철명신태양
- (재외한국학교탐방) 홍콩한국학교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재외한국학교탐방) 홍콩한국학교 (재외한국학교탐방) 홍콩한국학교 교육 문헌 국제협력 재외국민교육범주1국제협력 | 형식잡지 | 사료철명교육월보
- 외국학교의 실상(1)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외국학교의 실상(1) 외국학교의 실상(1) 外國學校의 實狀(1) 교육 문헌 국제협력 국제교류범주1국제협력 | 형식잡지 | 한글저자채정근 | 사료철명학생월보
- 한국학생운동소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한국학생운동소사 한국학생운동소사 韓國學生運動小史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통사 잡지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박종화 | 사료철명학원
- 한국학생운동사자료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한국학생운동사자료 한국학생운동사자료 韓国学生運動史資料 교육 문헌 현대 국제협력 재외국민교육 고등교육 학생생활 교육총류범주1국제협력 | 형식문서 | 한글저자메이지대학한국사회문화연구회
연구과제(455)
-
한국학 센터 설립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Cogeanu Oana | Universitatea 'al.i.Cuza' Iasi | 2018 | 국외 | 해외
-
한국학 프로그램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Chong Eun Ahn | Central Washington University | 2019 | 국외 | 해외
-
한국학 전공 구축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Eunsook Yang | Universidad Complutense de Madrid (University of Complutense Madrid) | 2021 | 국외 | 해외
-
한국학 센터 설립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Santosh K. Gupta | Amity University | 2024 | 국외
-
한국학교재개발 및 출판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용범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 2007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90)
-
국학 / 國學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중앙에 있었던 교육기관. 국학은 992년(성종 11) 당나라의 제도를 본떠서 국자감으로 개편되었다가 1275년(충렬왕 1)에 원나라의 간섭으로 국자감을 국학으로 고치면서 관원으로는 대사성·전주·사예를 두었다. 그 뒤 1298년에 다시 성균감으로 고쳤다.
-
담원국학산고 / 薝園國學散稿 [종교·철학/유학]
문교사에서 한학자 정인보의 국학관련 논문집을 1955년에 간행한 학술서. 연구서·국학논문집. 고서해제편에는 감서(憨書)·주영편(晝永編)·고금석림(古今釋林)·팔도도(八道圖)·삼원관산고(三圓館散稿)·교통(交通)·하곡전서(霞谷全書)·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담헌서(湛軒書)
-
전국학도체육대회 / 全國學徒體育大會 [예술·체육/체육]
합 체조를 비롯하여 20여 개의 경기종목을 실시하였으며, 체조·육상·구기·투기 등 학교체육 종합발표장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다.중앙학도호국단에서 주최한 전국학도체육대회 외에 시도별 학도호국단에서 주최하는 학도체육대회가 있었다. 1958년부터는 서울학도체육대회 동계대회가
-
승보시 / 陞補試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 국학생에게 보인 승급시험. 고려시대의 승보시는 1109년(예종 4)에 국학에 칠재가 생긴 뒤 국자생·태학생·사문학생 등 일반국학생들이 칠재에 올라갈 수 있는 자격시험을 의미하였다. 그런데 조선시대의 승보시는 사학에서 성균관기재에 올라가는 자격시험을 의
-
국자감 / 國子監 [역사/고려시대사]
고려시대 설치된 국립대학. 국립대학은 태조 때부터 있었으며 그 명칭은 신라의 것을 계승한 국학이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그러므로 992년(성종 11) 국자감의 창설은 종래의 국학을 당·송 제도를 참착하여 정식 종합대학으로 개편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