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국조오례의” 에 대한 검색결과 92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82)

사전(84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전 進箋>이 있다. [내용] 이 책은 왕실을 중심으로 한 국가의 기본예식이 되어왔으며, 고대 중국에서부터 황실이나 제후와 관련된 행사의 기본이 되는 의식절차이다. 편찬 배경은 조선조에 들어와 유교의식이 주류를 이루어 처음에 정도...
    이칭별칭오례의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전기 신숙주(申叔舟, 1417-1475)‧정척(鄭陟, 1390-1475) 등이 왕명을 받아 오례의 예법과 절차 등을 그림을 곁들여 편찬한 책.
    정의조선 전기 신숙주(申叔舟, 1417-1475)‧정척(鄭陟, 1390-1475) 등이 왕명을 받아 오례의 예법과 절차 등을 그림을 곁들여 편찬한 책.[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ukjo oryeui | MR표기Kukcho oryeŭ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서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를 시행하는 데 필요한 참고사항을 규정하여 만든 책. [내용] 5권 2책. 목판본. 1474년(성종 5)에 신숙주(申叔舟)‧강희맹(姜希孟) 등이 왕명에 의하여 편찬하였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은 길례(吉禮) 20...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예전 한문 한국 조선 성종 성낙수 박종국 2015 신숙주(申叔舟), 정척(鄭陟) 1475 8권 6책 오례의(五禮儀) 규장각...
  • 사직제향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련이므로 사직제에도 음악이 필수적으로 편성되었다. 사직제례악으로 쓰이던 음악을 『』에 의거, 정리해 보면 우선 영신(迎神)에는 헌가(軒架)에서 순안지악(順安之樂)이 연주되고 열문지무(烈文之舞)가 추어졌으며, 그 다음의 제례절차인 전폐(奠幣) 때는 등가(...

고서·고문서(25)

  • 내용분류종교/풍속-유교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내용분류종교/풍속-유교 | 형식분류고서-경전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현빈궁상등록(賢嬪宮喪謄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등록에는 중도에 대공복에서 기년복으로 바뀐 사정 때문에 1752년 11월 12일 연제를 앞둔 시점까지 상례가 기재되었다. 복제가 바뀌는 계기는 다름 아닌 국왕 스스로가 『』에 실린 바 아버지가 아들과 며느리 상에 1년을 입도록 실려 있으므로 이전의 잘못된...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故大勲位李王国葬書類 巻二・大正十五年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2010022014201002_006 故大勲位李王国葬書類 巻二・大正十五年 国朝五礼序借用 차용 국립공문서관 本館-2A-038-05・葬00059100 0054 32 문서 장의위원장 학무국 학무과분실 ...
    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5. 04. 06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인렬왕후국휼등록(仁烈王后國恤謄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16대 국왕의 정비 인렬왕후 한씨가 1635년(인조 13) 12월 9일 창경궁에서 죽고 1636년 4월 24일 졸곡이 끝날 때까지 진행된 국상 과정을 기록한 책임. 상례는 『』조항에 의거하면서 변복(變服)할 때 『대명회전(大明會典)』을 참고하였고, 16...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기초학문(11)

  • ()』와 그 속보(續補)편의 편찬과정 및 내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안유경, 게재일 : 2010
    36497 안유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유교문화연구소 2010 『()』와 그 속보(續補)편의 편찬과정 및 내용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조선초기 흉례의 구조와 의례적 성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임민혁, 게재일 : 2013
    43254 임민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역사실학회 2013 조선초기 흉례의 구조와 의례적 성격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조선초기 예제 연구와 의 편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해영, 게재일 : 2010
    28772 김해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조선시대사학회 2010 조선초기 예제 연구와 의 편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에 규정된 大夫・士・庶人의四禮에 관한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장동우, 게재일 : 2013
    53433 장동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연구소 2013 에 규정된 大夫・士・庶人의四禮에 관한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經國大典 「禮典」과 「凶禮」에 반영된 宗法 이해의 특징에 관한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장동우, 게재일 : 2003
    32136 장동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상사학회 2003 經國大典 「禮典」과 「凶禮」에 반영된 宗法 이해의 특징에 관한 고찰 https://www.kr
    유형논문 | 게재일2003

멀티미디어(3)

  • 19세기 중반 에 명시된 단유(壇壝)
    [HGIS에 기반한 조선시대 전국지리지의 공간적 재현과 역사지도 제작 | 고려대학교]
    19세기 중반 에 명시된 단유(壇壝) 지리 제도 근현대 문화 단유 분포도 점묘도 전국 군현 1:4,000,000 19세기 중반 없음 대동지지 문화_029_19세기_중반_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대동지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서울의 제단 지리 제도 근현대 문화 단유 분포도 점묘도 서울 군현 1:125,000 19세기 중반 중사/소사 없음 대동지지 문화_031_서울의_제단 문화_031_서울의_제단.jpg 한국학분야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대동지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9세기 중반 제사등급 지리 제도 근현대 문화 단유 분포도 점묘도 전국 군현 1:4,000,000 19세기 중반 소사, 중사 없음 대동지지 문화_030_19세기_중반_제사등급 문화_030_19세기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대동지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기타자료(1)

  • 치하거나 목관에 넣어 안치한 형태를 보인다. 이러한 양식은 1728년 이후에 보이기 시작하는 무덤양식이라고 하겠다. 『』에 따르지 않고 회곽이 목관 또는 목곽의 기능을 대신했던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의 일반민들은 토광묘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거나 편의에 따라 회곽...
    발행연도2002 | 발굴기관충청매장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전라북도

연구과제(2)

주제어사전(40)

  • / [종교·철학/유학]

    조선 초기에 길례, 빈례, 가례, 군례, 흉례의 다섯 가지 의례를 중심으로 하여 모든 의식절차를 제정한 책. 8권 6책. 목판본. 세종 때 시작하여 세조 때에 강희맹의 손을 거쳐 1474년에 신숙주, 정척 등에 의해 완성되었다. 이 책은 길례가 권1에 30개조, 권2에

  • 서례 / 序例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문신 신숙주·강희맹 등이 『』를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여 1474년에 편찬한 예서. 5권 2책. 목판본. 1474년(성종 5)에 신숙주(申叔舟)·강희맹(姜希孟) 등이 왕명에 의하여 편찬하였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권1은 길례(吉禮) 20편, 권

  • 상설 / 象設 [예술·체육/건축]

    석물. 능(陵)·원(園)·묘(墓)에 설치한 여러 석물(石物)을 가리킨다. 조선왕릉의 상설제도는 기본적으로《()》,《속오례의(續五禮儀)》,《춘관통고(春官通考)》등의 전범을 따랐으나 시대의 형편과 피장자의 위상에 따라 적잖은 차이를 보인다.

  • 선온의 / 宣醞儀 [정치·법제]

    선온을 내려주는 절차. 선온의 구체적인 의식은 <> 「사신급외관수선로의」에 실려 있다. <국조속오례의>「친경후노주의」에는 친경 후 선온을 내려주는 절차가 있다.

  • 시제 / 時祭 [사회/가족]

    춘하추동의 길일이나 절일에 받드는 제사. 우리 나라에서의 사시제는 고려 공양왕 2년(1390) 8월에 「사대부가제의(士大夫家祭儀)」를 제정하여 사시제의 절차와 내용을 정하였고, 조선시대에는 『()』에 규정하고 있는데, 대체로 주자(朱子)의 『가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