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국조악장” 에 대한 검색결과 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

사전(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의식에서 쓰인 「친경악장」, 벼베기 때 왕의 행차에서 쓰인 「관예악장」, 왕비가 누에를 치려고 행차할 때 쓰인 「친잠악장」, 대사례의식에서 쓰인 「대사례악장」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영조 때 일단 다시 정리된 『』은 조선 전기의 것과 비교하여 역사적...
  • TD_K5_S_0017 음악 歌詞, 大葉調, 心方曲, 俚詞, 詞句, 黃葉飛, 腔調, 三疊陽關, 俗調, 樂歌, 韻語, 絃歌, 四言, 詞曲, 皇風樂, 正樂, 樂章, 與民樂, 腔節, 雅樂, 界面調, 瓜亭曲, 桑間濮上 唐時, 國初, 壬辰之變 東俗,...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13권 1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악장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이후 조선 초기에 걸쳐 악장으로 쓰인 아악(雅樂)과 속악(俗樂) 가사(歌詞)를 모아 엮은 가집(歌集). [내용] 목활자본. ‘국조사장(國朝詞章)’‧‘()’‧‘속악가사(俗樂歌詞)’ 등으로도 불린다. 편자 및 편찬 연대는...
  • 악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대의 행적을 노래한 서사시의 서문. 훈민정음언역의 시가이다. 규장각도서. 악장가사 / 보허자 / 감군은 고려 이후 조선 초기에 걸쳐 악장과 속악을 모아 엮은 가집. 목활자본. 국조사장, ,...
  • 문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은 가집. 국조사장, , 속악가사 등으로도 불린다. 편자 및 편찬 연대는 미상이다. 홍길동전 조선 중기 허균이 지은 소설. 최초의 한글 소설이다. ...

고서·고문서(2)

  • 人事門7_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東俗歌詞有大葉調, 四方同然, 槪無長短之別. 其中又有慢、中、數三調, 此本號心方曲. 慢者, 極緩, 人厭廢久. 中者, 差促, 亦鮮好者. 今之所通用, 卽大葉數調也. 其俚詞一篇, 可以通於三調. 然其語鄙俗, 不足道. 余嘗略依《草堂詩餘》詞句, 成一篇, 名曰《黃葉飛》, 其...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三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人事篇六]治道門三_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東俗歌詞 詞: 규장각본ㆍ성균관대본(가)ㆍ성호기념관본에는 ‘調’로 되어 있다. 有大葉 葉: 규장각본ㆍ성호기념관본에는 ‘業’으로 되어 있다. 調, 四方同然, 槪無長短之別. 其中又有慢、中、數三調, 此本號心方曲. 慢者, 極緩, 人厭廢久. 中者, 差促, 亦鮮好者.
    서명星湖僿說類選卷之四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주제어사전(2)

  • / [예술·체육/국악]

    1765년(영조 41) 홍계희·서명응·김치양 등이 영조의 명을 받들어 우리나라의 악장을 모아 엮은 책. 1책 44장 88면. 활자본. 발문에 이어서 종묘악장·문소전악장·열조악장·열조상존호악장·열조추상존호악장·진풍정악장·조회례연의통용악장·친경악장·관예악장·친잠악장·대사례

  • 대엽조 / 大葉調 [문학/고전시가]

    가곡의 전신에 해당하는 악곡을 포괄적으로 지칭하기 위하여 처음 사용하였다. 이익은 『성호사설』 권13 「()」에서 “우리나라 풍속 가사(歌詞)에 대엽조가 있는데, 형식이 다 같아서 길고 짧은 구별이 없다. 그 중에 또 느린 것[慢], 중간 것[中], 빠른